반응형

한자 96

한문 이론) 한자의 이해 – 漢字의 部首와 字劃

한자의 이해 4.漢字의 部首와 字劃 1)部首 부수란 한자의 字形을 구조에 따라 계통적으로 분류하여 공통된 자 형의 한자를 단위로 하고 다시 劃數에 따라 정리한 것인데,여기에 서 말한 공통된 자형이 곧 部首이다.가령 [心]과 같이 더 분석할 수 없는 글자도 있지만 대다수의 한자는 [禪](示+單)과 같이 두 부 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이때 [示]는 그 계열에 소속된 글자에 공통으로 쓰이는 부분이고, [單]은 공통 부분과 결합하는 개별 부 분으로서 전자를 部首라고 하고,후자를 몸(身)이라고 한다. 2) 字數 한자를 이루는 선과 점의 하나하나를 [획]이라고 하고,그 획의 수를 [획수]라고 한다.글씨를 쓸 때에 한번 붓을 대었다가 뗄 때까지 계속 된 선이나 점이 한 획이다.이때에 붓이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꺾이거..

배움/고사성어 2010.07.31

한문 이론) 한자의 이해 – 한자의 구조

한자의 이해 3.한자의 구조 중국 最古의 사전인 ■설문해자∼에서는 篆書를 기본 字體로 하여 9,35 3자를 대상으로, 그 형태에 따라 상형,지사 ,합의,형성,전주,가차의 6가 지로 붙류하고 자음,자의를 설명하였다. 이것을 [六書]라고 하는데,이 것은 漢字의 기원을 연구하는 데 매우 필요하다. 1)象形 구체적인 사물의 형태를 본떠서 만든 것으로,문자발생의 기본을 이 룬 초보적인 단계이다. 예)반달보양:月 ▲▲▲산모양:山 」태양모양:日 2)指事 사물의 형태를 繪畵(회화)적으로 형상화할 수 없는,추상적인 개념 이나 사물의 관계를 나타낼 때, 점이나 선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으로서 象形과 함께 문자발생의 초보적인 단계에 속한다. 예) 。 ─── ○ ─── : 上 。 : 下 ─── : 旦 3)會意 象形..

배움/고사성어 2010.07.31

한문 이론) 한자의 이해 – 한자의 특성, 한자의 변천

한자의 이해 1.한자의 특성 한자는 한 자가 한 음절로 성립된 單音節語에 속하며,語形의 변형이 나 어미의 변화 없이 句의 詞가 완전히 고립된 채,語順에 의하여 문 법적인 관계가 결정되는 孤立語에 해당한다. 漢字는 각기 그 짜임의 특징에 따라 독립된 글자를 형성했지만 모든 글자는 形(모양),音(소리),義(뜻)의 세 오소를 지니고 있다.가령 木 (나무)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 形:♣나무모양 木├ 音:목 └ 義:나무 2.한자의 변천 중국 고대의 전설에 의하면 伏犧라고 하는 황제가 자연 현상을 상징 적으로 표시하여 八卦를 만들었고,그 후에 神農이 새끼(繩)를 매듭 지어 기록을 대신하였다고 한다.그리고 나서 황제 때에 사관인 창힐 이 짐승의 足跡 모양이 相異한 데서 암시를 얻어 모방하여 처음으..

배움/고사성어 2010.07.31

고전)다산 정약용의 시 11 끝

다산 정약용 詩 23. 연을 심는 사연 種花莫種蓮 꽃 심어도 연일랑 심지 마세 朱華冒 泥 붉은 꽃 흙탕물 뒤집어쓰느니 亦有吉光鳥 또 길광이라는 새가 있어 枳棘枝間樓 가시나무 가지에 살기도 한다네 鉛刀不割肪 납칼은 기름덩어리도 못 자르면서 墅以交趾犀 칼집은 교지산 무쇠가죽이기도 하며 凌波七寶말 사뿐사뿐 칠보단장 버선으로 葛 凄凄 처량하게 짚신을 신기도 하고 玲瓏碧瑟珠 영롱하고 푸르고 선명한 진주를 藁索來穿兮 새끼줄에다 꿰기도 한다네 嗟嗟朱氏子 아 가여워라 주씨집 딸이 乃爲 人妻 바로 문둥이 아내가 되다니 玉顔澹嬋娟 관옥 같은 얼굴 그리도 아름다운데 肉眼嗟獨迷 속된 눈구멍 어찌 그리 어두울까 紅詞 蕩 사랑노래 제 아무리 무르익고 瑟秦東齊 배불러 피리 거문고 북적대도 平生燕婉求 내 평생 아름다운 짝 바랬더니 ..

배움/시 2010.07.08

고전)다산 정약용의 시 10

다산 정약용 詩 21. 중이 소나무를 뽑는 노래 〔僧拔松行〕 白蓮寺西石 峰 백련사 서쪽편에 석름봉이 있는데 有僧 行拔松 이리저리 걸어다니며 솔을 뽑는 중이 있어 穉松出地裳數寸 어린 솔 돋아나서 두어 치 자라게 되면 嫩幹柔葉何 茸 연한 줄기 부드러운 잎 어찌 그리 무성한지 孀孩直須深愛護 어린애를 다루듯이 조심조심 가꾸어야 老大 復成?龍 자라서 구불구불 용과 같은 재목 될 텐데 胡爲觸目皆拔去 어찌하여 보이는 족족 모두 다 뽑아버려 絶其萌蘗湛其宗 씨도 종자도 안 남기고 없애려고 들기를 有如田翁荷鋤携長裳 마치 농부가 호미 메고 가래 들고 力除 勤爲農 농사 위해 한사코 잡초를 뽑아 없애듯이 하는가 又如鄕亭小吏治官道 또 어쩌면 향정의 아전들이 관도를 닦으면서 剪伐茨棘通人 사람이 소통하도록 가시덤불 쳐버리듯 하는가 ..

배움/시 2010.07.08

고전)다산 정약용의 시 9

다산 정약용 詩 20. 여름에 술을 대하다 〔夏日對酒〕 后王有土田 임금이 땅을 가지고 있는 것이 譬如富家翁 말하자면 부잣집 영감 같은 것 翁有田百頃 영감 밭이 일백 두락이고 十男各異宮 아들 열이 제각기 따로 산다면 應須家十頃 당연히 한 잡에 열 두락씩 주어 飢飽使之同 먹고 사는 형편을 같게 해야지 男呑八九 교활한 녀석이 팔구십을 삼켜버리면 癡男庫常空 못난 자식은 곳간 늘 비기 마련이고 男粲錦服 교활한 녀석이 비단옷 찬란할 때 癡男苦 못난 자식은 병약에 시달리겠지 翁眼苟一 영감이 눈으로 그 광경 보면 惻?酸其衷 불쌍하고 소이 쓰리겠지만 任之不整理 맡겨버리고 직접 정리를 않았기에 宛轉流西東 서쪽 동쪽 제멋대로 돼버린 게지 骨肉均所受 똑같이 받은 뼈와 살인데 慈惠何不公 사랑이 왜 불공정한가 大綱旣 근본이 무너..

배움/시 2010.07.08

고전)다산 정약용의 시 8

다산 정약용 詩 17. 양근을 잘라버린 서러움 〔哀絶陽〕 蘆田少婦哭聲長 노전마을 젊은 아낙 그칠 줄 모르는 통곡소리 哭向縣門號穹蒼 현문을 향해 가며 하늘에 울부짖길 不征不復尙可有 쌈터에 간 지아비가 못 돌아오는 수는 있어도 自古未聞男絶陽 남자가 그걸 자른 건 들어본 일이 없다네 舅喪已縞兒未 시아버지는 삼상 나고 애는 아직 물도 안 말랐는데 三代名簽在軍保 조자손 삼대가 다 군보에 실리다니 薄言往 虎守 가서 아무리 호소해도 문지기는 호랑이요 里正咆哮牛去 이정은 으르렁대며 마굿간 소 몰아가고 磨刀入房血滿席 칼을 갈아 방에 들자 자리에는 피가 가득 自恨生兒遭窘厄 자식 낳아 군액 당한 것 한스러워 그랬다네 蠶室淫刑豈有辜 무슨 죄가 있어서 잠실음형 당했던가 去勢良亦慽 민땅 자식들 거세한 것 그도 역시 슬픈 일인데 ..

배움/시 2010.07.08

고전)다산 정약용의 시 7

다산 정약용 詩 15. 탐진의 농가 〔耽津農歌〕 臘日風薰雪正晴 납일에 훈풍 불고 눈도 정히 개었는데 籬邊札札曳犁聲 울가에는 이러쯔쯔 쟁기 끄는 소리로세 主翁擲杖嗔傭懶 머슴놈 게으르다 주인영감 호통치며 今歲裳蒜第二 금년 들어 이제 겨우 두벌갈이 하느냐네 稻田洩水須種麥 벼논에 물을 빼고 보리를 심었다가 刈麥卽時還 秧 보래 베어 낸 즉시 모를 또 심는다네 不肯一日休地力 지력을 하루라도 놀리려고 아니하여 四時 變色靑黃 푸른색 누른색이 철을 따라 아름답지 洌水之間丈二 한강부근 가래들은 그 길이가 두 발이어서 健夫齊力苦酸腰 장정들이 힘 합해도 허리리가 아프다던데 南童隻手持短 남쪽의 짧은 삽은 아이들도 한 손으로 容易治畦引灌遙 두둑 치고 물을 대고 쉽게 쉽게 하네그려 從來不用鋤 김을 매고 북을 줘도 호미를 쓴 일 없..

배움/시 2010.07.08

고전)다산 정약용의 시 6

다산 정약용 詩 13. 장기농가 〔長 農歌〕 麥嶺崎嶇似太行 보릿고개 험한 고개 태산같이 험한 고개 天中過後始登場 단오명절 지나야만 가을이 시작되지 誰將一椀熬靑 풋보리죽 한 사발을 그 누가 들고가서 分與籌司大監嘗 주사의 대감도 좀 맛보라고 나눠줄까 秧歌哀婉水如油 못노래는 애절하고 논에 물은 넘실대는데 嗔怪兒哥別樣羞 아가가 유별나게 수줍다고 야단이야 白苧新 黃苧 하얀 모시 새 적삼에 노란 모시 치마를 籠中十襲待中秋 장롱 속에 길이 간직 추석 오기만 기다린다네 曉雨廉纖合種煙 부슬부슬 새벽비가 담배 심기 알맞기에 煙苗移 小籬邊 담배모종 옮겨다가 울밑에다 심는다네 今春別學英陽法 올봄에는 영양에서 가꾸는 법 따로 배워 要販金絲度一年 금사처럼 만들어 팔아 그로 일년 지내야지 新吐南瓜兩葉肥 호박 심어 토실토실 떡잎이 ..

배움/시 2010.07.08

고전)다산 정약용의 시 5

다산 정약용 詩 10. 아가노래 〔兒哥詞〕 兒哥身不着一絲兒 실오라기 몸에 하나 안 걸친 아가가 出沒 海如淸池 맑은 연못 들락거리듯 짠 바다를 들락거리네 尻高首下驀入水 꽁무니 들고 머리 처박고 곧장 물로 들어가서 花鴨依然戱漣 오리처럼 자연스럽게 잔물결을 타고 가네 文徐合人不見 소용돌이 무늬도 흔적없고 사람도 안 보이고 一壺汎汎行水面 박 한 통만 두둥실 수면에 떳더니만 忽擧頭出如水鼠 홀연히 물쥐같이 머리통을 내밀고서 劃然一嘯身隨轉 휘파람 한 번 부니 몸이 따라 솟구치데 九孔大如掌 손바닥같이 큰 아홉 구멍짜리 전복은 貴人廚下充 膳 귀한 양반 부엌에서 안줏감으로 쓰이는데 有時蚌鷸 石齒 때로는 바위틈에 방휼처럼 붙어 있어 能者於斯亦抵死 솜씨꾼도 그 때는 죽고야 만다오 嗚呼兒哥之死何足言 아가가 죽는거야 말할 것은 ..

배움/시 2010.07.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