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검도 4

검도) 검도 이론 - 공부(工夫)와 계고(稽古) , 담력정쾌, 동선시, 사계

검도이론 공부(工夫)와 계고(稽古) 우리가 흔히 쓰는 말에 ‘공부’란 단어가 있다. 이는 글을 배우고 익힌다는 뜻으로 쓰이는 것이다. 그러나 공부’의 원뜻은 마음공부, 몸공부 즉 심신의 단련을 위하여 힘쓰는 일이다. 의지를 바르게 하는 모든 행위가 공부의 근본인 것이다. ‘계고’란 《서경(書經)》의 첫 구절에 나오는 글로 원뜻은 옛 도(道)를 상고하고 이를 좆아 학습한다는 의미이다. 옛 것은 낡은 것이 아니며 바른 것을 뜻한다. 바른 것은 변하는 것이 아니며 지켜서 전해야 하는 보편타당의 근본이다. 우리 나라, 중국, 일본에서는 같은 뜻으로 이 계고란 용어를 사용하여 왔으나 지금은 거의 쓰지 않고 있다. 다만 일본에서는 무도나 기예의 수련을 계고라 하며 현재에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공부나 계고는 모두..

배움/자료 2010.07.14

검도) 검도 경기규칙

검도 경기규칙 제1장 경기의 정의 제 1조(정의) 경기는 경기자 쌍방이 경기규칙과 심판규칙(이하 규칙이라 함)에 따라 규정된 경기장 내에서 검도용구를 사용하여 유효격자를 겨루 어 심판원의 판정에 의해 승패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 2장 경기장 제2조(경기장) 경기장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1. 경기장은 구획선을 포함하여 9m - 11m의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한다. 2. 경기장의 중심은 각 선이 30Cm 길이의 X표로 표시한다. 3. 경기장의 외측에는 1.5m 이상의 여지가 있어야 한다. 4. 각 선의 폭은 5Cm - 10Cm로 하고 백색을 원칙으로 한다. 제 3장 용구 제 3조(죽도의 정의) 죽도는 네 쪽의 대나무나 화학제품으로 만들며 선 혁내부의 심, 죽도 손잡이 끝에 몸체를 맞추기 위한 철편 외의 ..

배움/자료 2010.07.14

검도) 검도의 예(禮) , 검도의 이념,정의,목적

검도의 예(禮) 검도에서 말하는 예(禮)란 겉으로 나타내는 인사, 즉 형식적인 것을 우선 뜻한다. 보통 경례(敬禮)나 예의(禮儀)가 그것이다. 따라서 몸가짐이 단정해야 하며 상대를 마음으로부터 존중하는 태도가 배어나와야 한다.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며 사람을 사귈 때 그 처음은 예로 시작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검도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처음 검도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예’를 잘 지키게 해야 함은 물론이고 가르치는 사람이 행동으로 모범을 보여야 한다.예의 시작은 대자연에 대한 인간의 외경심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꿇어 엎드려 하는 절이 그 시초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두려움에 대한 표현 이라 할 것이다. 그것이 종교적인 것으로, 다시 권위에 대한 복종의 표시로 바뀌기도 하고 다양해지기도 하면서 차..

배움/자료 2010.07.14

검도) 검도의 정의, 검도의 역사

검도란 무엇인가 검도란 말하자면 칼싸움이다. 요즘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자취를 감추어 버렸지만 동네아이들이 모여 나무막대기로 싸움놀이를 하던 것, 그것이 바로 검도의 원형이다.그 역사는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편싸움에, 심지어는 궁중에서까지 봉희(棒戱)나 격검(擊劍)이라는 이름으로 행하여졌던 것이다.이집트에서는 BC 1500년경에 이미 막대기싸움(stick fighting)이 크게 유행하였으며, 아직도 당시의 부조물이 남아 있어 보는 사람을 놀라게 하고 있다.또한 신라의 화랑도(花郞徒)에게 있어 격검이 필수적인 수련과목이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그 근거가 바로 〈본국검법(本國劍法)〉이다. 이 〈본국검법〉은 현존하..

배움/자료 2010.07.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