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국사

한국사 연대표 (기원후 AD 1300년부터 1499년까지 한국의 역사)

올드코난 2017. 4. 16. 00:17
반응형

1308 원이 충선왕을 심양왕(瀋陽王) 봉함. 충렬왕 죽고(1236~), 충선왕 다시 복위. 서운관(書雲觀) 창설.

1309 각염법 제정.

1310 원에서 충선왕을 심왕(瀋王) 봉함.

1313 충선왕, 충숙왕에게 전위(傳位), 조카 연안군(延安君) 호를 심양왕(충선왕) 세자로 .

1316 상왕(上王), 심왕의 () 세자 호에게 전하고 태위왕(太尉王)이라 칭함.

1318 윤번(輪番)으로 근무하던 진변별초제도(鎭邊別抄制度) 복구.

1320 정방(政房) 다시 설치, 관리임명을 담당. , 상왕 충선왕을 토번(吐蕃)으로 귀양보냄.

1323 왜구 추자도(楸子島)에서 만행, 군산 앞바다에서 조운선을 약탈.

1325 상왕 충선왕 원에서 죽음(1275~).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1332 상왕 충숙왕 복위하고, 충혜왕은 원나라로 .

1340 충혜왕 복위. 원나라의 문제, 고려인 기씨(奇氏) 3황후에 봉함.

1342 이제현(李齊賢) 역옹패설 지음.

1343 , 충혜왕을 게양(揭陽) 귀양.

1344 충혜왕 악양(岳陽)에서 죽고(1315~), 충목왕(忠穆王) 원나라에서 즉위(~1348). 숭문관(崇文館) 설치.

1347 정치도감(整治都監) 설치. 각도의 양전(量田)사업 시작.

1349 충정왕(忠定王) 즉위(~1351). 정치도감 폐지. 경순부(慶順府) 설치.

1350 합포천호(合浦千戶) 최선(崔禪) 등이 고성˙거제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

1352 충정왕 강화에서 죽음(1337~). 변발(辨髮) 금지. 안흥˙서산˙강화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1356 원나라 연호 사용을 중지. 쌍성총관부 회복.

1358 최영(崔瑩) 왜구체복사(倭寇體覆使) .

1359 홍건적(紅巾賊) 1 침입. 4만여명이 압록강을 건너, 서경 함락.

1360 각군 홍건적 무찌르고 서경수복. 강화에 왜구 침입.

1361 홍건적 10만으로 2 침입. 개경 함락, 공민왕 복주(福州) 파천. 이성계(李成桂), 홍건적을 대파.

1363 문익점(文益漸), 원나라에서 목화씨 가지고 .

1366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 설치, 신돈(辛旽) 판사(判事) .

1369 이성계를 보내 동녕부 공격, ()나라와 절교.

1370 명나라의 연호 사용.

1374 공민왕 피살되고(1330~), 우왕(禑王) 즉위(~1389).

1377 최무선(崔茂宣), 화통도감 설치.

1378 최영˙이성계, 왜구를 승천부(昇天府)에서 대파.

1387 왜구를 막기 위해 기선군(騎船軍) 편성.

1388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 이성계, 우왕을 폐하고 창왕(昌王) 세움.

1389 박위, 대마도(對馬島) 정벌. 왜선 300 격파. 창왕 폐위되고 공양왕(恭讓王) 즉위.

1391 이성계,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 되어 군사통수권을 장악.

1392 정몽주 피살(1337). 이성계 즉위. 문무백관의 제도 제정.

1393 국호를 조선(朝鮮)으로 결정. 식년문과(式年文科) 실시(33 급제).

1394 정도전(鄭道傳),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편찬. 한양(漢陽)으로 천도.

1395 정도전 등이 고려사 37권을 간행. 예문춘추관 설치. 중앙군 10() 10() 고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소속.

1398 1 왕자의 (戊寅靖社). 태조가 왕세자 방과(芳果)에게 선위(禪位), 정종(定宗) 즉위.

1400 2 왕자의 (芳幹 ). 방원(芳遠) 왕세자로 책봉. 정종이 방원에게 선위. 태종(太宗) 즉위.

1401 증광문과(增廣文科) 실시. 신문고(申聞鼓) 설치.

1402 무과의 과거 실시. 호패법(號牌法) 실시.

1403 계미자(癸未字) 주조(鑄造). 명나라에서 고명(告命)˙인장(印章)˙조칙(詔勅) 보내옴.

1411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승문원(承文院)으로 고침. 오부학당(五部學堂) 운영. 동북면지방으로 양전(量田) 실시.

1413 ()˙()˙() 칭호 개정.

1414 노비소산한품속신법(奴婢所産限品贖身法) 제정. 무과(武科) 삼장통고법(三場通考法) 적용.

1415 시장세와 상인세를 저화(楮貨) 징수. 장인세(匠人稅) 신설.

1417 () 잠소(蠶所) 설치. 의흥현(義興縣)에서 향약구급방 중간.

1419 이종무(李從茂),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 정벌. 제주에 양전(量田) 시행.

1420 집현전(集賢殿) 설치. 경연청(經筵廳) 설치.

1423 한성의 남산에 봉수대 축조. 불교를 선교(禪敎) 양종으로 정리. 조선통보(朝鮮通寶) 주조.

1429 정초(鄭招), 농사직설(農事直說) 저술. 경상도˙충청도에서 양전사업(量田事業) 진행.

1432 맹사성(孟思誠) 등이 신찬팔도지리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편찬. 세종실록지리지 편찬. 설순 등이 여연군(閭延郡) 침입한 여진기병을 격퇴.

1433 압록강변의 여진족을 토벌. 화포전(火砲箭) 발명.

1434 갑인자(甲寅字) 주조, 갑인자로 자치통감(資治通鑑) 간행. 북동˙북서에 6() 설치. 장영실 등이 경복궁에 자격루(自擊漏) 설치.

1435 화약무기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발명. 함길도에 목화를 심게 .

1436 납활자 병진자(丙辰字) 주조.

1437 물시계인 행루(行漏)˙앙부일구 등을 제조, 간의대(簡儀臺) 설치.

1438 왜선의 삼포평균분박(三浦平均分泊) 엄수를 지시. 장영실, 자동물시계 옥루(玉漏) 제작.

1441 장영실 등이 세계 최고(最古) 측우기(測雨器) 설치하고, 양수표(量水標) 세움.

1443 통신사와 대마도주가 계해조약(癸亥條約) 체결. 세견선(歲遣船) 5척으로 약정.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4 양전산계법(量田算計法) 제정. 무과삼관법(武科三官法) 실시.

1446 수양대군이 석보상절(釋譜詳節) 편찬. 훈민정음 반포(頒布).

1447 용비어천가 주해 완성.

1450 동활자 경자자(庚子字) 주조. 정음청(正音廳) 설치.

1451 국방강화를 위해 군사(軍士) 늘림. 문종이 창안한 화차(火車) 제작하여 배치. 김종서(金宗瑞) 등이 고려사 136권을 개찬.

1452 김종서 등이 고려사절요 편찬. 동국정운(東國正韻) 과거과목 신설.

1453 계유정난(癸酉靖難). 수양대군이 김종서˙황보 등을 죽이고 정권장악. 안평대군(安平大君) 사사(賜死). 이징옥(李澄玉) .

1456 사육신(死六臣)사건.

1457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 영월로 유배. 노산군(단종) 죽음.

1460 하삼도민(下三道民) 4,500호를 평안˙강원˙황해도에 이주시킴.

1461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

1463 홍문관(弘文館) 설치.

1464 전폐(箭幣) 주조.

1466 과전법(科田法) 폐지하고 직전법(職田法) 실시.

1467 이시애(李施愛) . 규형(窺衡) 인지의(印地儀)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발명.

1468 남이(南怡)˙강순(康純) 등이 반역으로 사형됨.

1474 개찬한 경국대전 속록 반포.

1481 서거정(徐居正) 등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0권을 찬진(撰進).

1484 성균관에 학전(學田) 400() . 서거정 등이 동국통감(東國通鑑) 찬진.

1489 유교(儒敎) 전적(典籍) 향교(鄕校) 배포.

1490 울산˙거제˙동래˙남해 등지에 축성. 순천에 전라좌수영을 설치.

1491 북정(北征) 결의. 두만강 방면의 여진족 정벌.

1493 성현(成俔) 등이 악학궤범(樂學軌範) 9권을 완성.

1496 무오사화(戊午史禍). 유자광(柳子光) 등의 무고로 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 등이 처형되고, 김종직(金宗直) 부관참시(剖棺斬屍).

1498 상평창(常平倉) 설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