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

조선왕비들의 표본 세종대왕의 정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생애

올드코난 2015. 12. 12. 22:44
반응형

조선시대 최고의 성군이며 지금도 존경을 받고 있는 세종대왕의 정비인 소헌왕후는 시아버지되는 태종에 의해 처가가 멸문을 당하고 만다. 남편은 후세토록 존경을 받는 현군으로 불리지만, 소헌왕후는 생전의 영광 보다는 가족을 잃은 한이 더 큰 여인이었다. 소헌왕후 심씨에 대해 정리해 본다.

조선 세종대왕의 정비, 이후 조선왕비들의 표본이며 조선 사대부 여인상이었던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생애


1. 출생 및 가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 조선 세종대종의 정비(왕비), 별호 공비(恭妃), 시호 선인제성소헌왕후(宣仁齊聖昭憲王后), 1395년 고려 문하시중 심덕부의 아들 청천부원군 안효공 심온(靑川府院君 安孝公 沈溫)과 부인 순흥 안씨의 장녀 장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2.충녕군(세종)과 혼인 그리고 왕비 책정

조선 태종 8년 1408년 충녕군(忠寧君)과 혼례를 올리고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해졌다. 심씨가 충녕대군의 배필이 된 이유는 숙부 심종의 아내(숙모)가 태종의 누나인 경선공주였기 때문이다. 또 심온이 개국공신이라는 이유도 있었다.

1412년에 충녕대군으로 진봉 된후 태종 17년 1417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고, 태종 18년인 1418년 음력 6월, 충녕대군이 왕세자에 책봉되자 경빈(敬嬪)이 되었고 그해 음력 8월 충녕대군이 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중궁(中宮)이 되어 공비(恭妃)라는 책봉명을 받았다.


3.비극의 시작

세종에게 양위한 태종은 권력의 맛을 잊지 못하고 있었다. 신료들이 자신들을 찾아 오지 않기 시작하자 섭섭한 마음이 커진 듯 한데, 여기에 강상인이 군사 관련 사항을 자신이 아닌 세종에게 보고를 하는 일이 있었다. 태종은 대노하여 강상인을 고문한다. 강상인은 고문에 못 이겨 소헌왕후의 숙부 심정과 병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고한다. 하지만, 이는 큰 죄가 될 수 없는 일이었다. 다른 이들이 보기에는 작아 보였던 이 일이 친정집안에 비극이 될 줄은 당시 아무도 몰랐다.


4.친정집안의 몰락

태종은 우선 심정과 강상인을 귀양 보낸다. 이후 세종의 장인이며 소헝왕후의 아버지인 심온이 양위 문제를 명나라에 알리기 위해 명나라 사은사로 떠난다. 문제는 심온을 배웅하는 사람들이 많아 화려한 행차가 되어 버렸다는 점인데, 태종은 이에 분노한다. 여기게 박은 같은 자들이 태종에게 이간질을 하자 태종은 결국 심온을 처형하기로 한다. 명나라에서 돌아온 심온을 수원으로 압송해가 사약을 내려 사사했다. (심온은 반남 박씨 집안과 혼례를 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한다.)

그리고 심온의 부인이며 소헌왕후의 모친은 관노비가 되는데, 1426년이 되어서야 모친 안씨와 가족들이 천안에서 제명되고 직첩이 복원된다.


5. 한 많았던 삶

소헌왕후에 대해 폐비(廢妃)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크고, 왕자를 2명이나 출산하였고 당시에도 안평대군을 임신중이었기에 폐비되지 않았다.

하지만 소헌왕후에게는 시련이 계속되는데, 소헌왕후는 세종과의 사이에서 총 8남 2녀를 출산햇는데 이 중 3명의 자녀가 소헌왕후보다 일찍 세상을 떠난다. 1녀 정소공주는 1424년 12세 나이로 사망한다. 1444년에는 모친 안씨가 사망한지 얼마 되지 않아 5남 광평대군이 사망하고 그 이듬해인 1445년 7남 평원대군이 사망한다. 이후 소헌왕후가 1446년(세종 28년) 52세로 사망하게 된다. 어머니의 죽음과 두 아들의 죽임을 본 소헌왕후에게 마음의 병이 컸기때문으로 보여진다.

소헌왕후는 사망당시 수양대군의 저택에서 병간호를 받고 있다 승하했다.


6.사후

아들인 문종 대에 선인제성(宣仁齊聖)의 존호가 올려졌다. 능은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에 위치한 영릉(英陵)이다. 세종과 합장되었는데, 세종은 소헌왕후가 죽자 차기 왕이 부모의 합장릉을 명하는 것과는 달리 자신이 직접 합장릉을 명하였고 자신이 죽기 전까지 다른 왕비를 맞이하지 않았다.



7.평가

소헌왕후는 훌륭한 아내이며 어머니였다. 성격이 워낙 부드럽고 온화하지만 기강이 엄정하다고 하였다. 세종을 깊게 이해하며 내조하고, 내명부를 잘 통솔했다고 역사는 기록한다. 소헌황비는 이후 조선 왕비의 이상형으로 여겨지게 된다.

총애받는 후궁을 잘 대해주고 신뢰를 보내는데, 여러 자녀들을 후궁들에게 양육하도록 한다. 8남 2녀 중 막내인 영응대군의 양육은 신빈에게, 6남 금성대군의 양육은 태종 후궁 의빈에게, 문종의 자녀인 경혜공주와 단종의 양육은 혜빈에게 맡기기도 한다. 흔히 말하는 투기가 없었던 왕비였던 셈이다.

그리고 소헌왕후는 강단있는 모습도 많이 보여주는데, 세종 21년(1439) 평소 후궁 뿐만 아니라 왕의 자녀들의 동태에 대해서도 귀를 기울였던 소헌왕후는 임영대군의 유모를 통해 이러한 일들을 전달받았고 이를 임금에게 전달한다. 이로 인해 임영대군은 세종에게 벌을 받는다. 소헌왕후는 친자식의 소행이라고 하여 눈감아주지 않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문종의 세자빈, 휘빈과 순빈의 만행들도 소헌왕후의 귀에 들어갔고, 그녀를 통해 밝혀졌는데 이는 평소 소헌왕후의 내명부에 대한 통솔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런 소헌왕후 덕분에 당시의 내명부는 조선시대 가장 안정적이었고 후덕한 성품이었던 심씨의 내조 덕분에 세종이 최고의 성군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 -세종 112권, 28년(1446 병인 / 명 정통(正統) 11년) 6월 6일(임인) 2번째기사]

왕후가 인자하고 어질고 성스럽고 착한 것이 천성(天性)에서 나왔는데, 중궁(中宮)에 정위(正位)한 뒤로는 더욱 스스로 겸손하고 조심하여 빈잉(嬪媵)을 예(禮)로 접대하고, 아래로 궁인(宮人)이 미치기까지 어루만지고 사랑하여 은혜를 가하지 않음이 없으며, 후궁(後宮)이 나아와서 뵙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위로하고 용납하는 것을 가하며, 만일 상감께서 총애하신 자는 특별히 융성한 대우를 주어, 지극한 정[至情]이 사이가 없으며, 낳으신 여러 아들을 모두 후궁으로 하여금 기르게 하시니, 후궁이 또한 마음을 다하여 받들어 길러서 자기 소생보다 낫게 하였으며, 또 일을 위임하여 의심하지 않고 맡기시니, 후궁이 또한 지성껏 받들어 순(順)히 하여 감히 게을리 함이 없었다. 이 때문에 빈(嬪)·잉(媵)이하가 사랑하고 공경하기를 부모 대접하듯이 하였다. 서출(庶出)의 자식 보기를 모두 소생 아들과 같이 하였으며, 어선(御膳)이 나오면 반드시 몸소 살펴보아 힘써 정성과 공경을 다하였으며, 국모(國母)로 있은 지 29년 동안에 경계(儆戒)의 도움이 있고, 연안(宴安)의 사사(私事)가 없었으며, 한 번도 친척을 위하여 은혜를 구하지 않았으며, 또 절대로 바깥 일에 참여하지 않고, 비록 궁중에서 날마다 쓰는 자디잔 일이라도 반드시 위로 들리어 감히 임의로 하는 일이 없었다.

글 작성/편집 올드코난 (Old Conan)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트위터,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안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