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움/고사성어 322

토사구팽 (免死狗烹)[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토사구팽 (免死狗烹) 免:토끼 토. 死:죽을 사. 狗:개 구. 烹:삶을 팽. [원말] 교토사 양구팽(狡免死良狗烹) [동의어] 야수진 엽구팽(野獸盡獵狗烹) [유사어] 고(비)조진 양궁장[高(飛)鳥盡良弓藏]. [출전]《史記》〈淮陰侯列傳〉,《十八史略》,《韓非子》〈內儲說篇〉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 곧 쓸모가 있을 때는 긴요하게 쓰이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초패왕(楚霸王) 항우(項羽)를 멸하고 한(漢)나라의 고조(高祖)가 된 유방(劉邦)은 소하(蕭何)‧장량(張良)과 더불어 한나라 창업 삼걸(三傑)의 한 사람인 한신(韓信:?~B.C.196)을 초왕(楚王)에 책봉했다(B.C.200).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퇴고 (推敲)[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퇴고 (推敲) 推:밀 퇴‧옮을 추. 敲:두드릴 고 [출전]《唐詩紀事》〈卷四十 題李凝幽居〉 민다, 두드린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을 이르는 말. 당나라 때의 시인 가도[賈島:자는 낭선(浪仙),777~841]가 어느 날, 말을 타고 가면서〈이응의 유거에 제함[題李凝幽居]〉이라는 시를 짓기 시작했다. 이웃이 드물어 한거하고 [閑居隣竝少(한거린병소)] 풀숲 오솔길은 황원에 통하네 [草徑入荒園(추경입황원)] 새는 연못가 나무에 잠자고 [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 중은 달 아래 문을 두드린다 [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 그런데 마지막 구절인 ‘중은 달 아래 문을……’에서 ‘민다[推]’라고..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파죽지세 (破竹之勢) 세여파죽(勢如破竹)[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파죽지세 (破竹之勢) 破:깨뜨릴‧깨어질 파. 竹:대나무 죽. 之:갈 지(…의). 勢:기세‧형세 세. [동의어] 영인이해(迎刃而解), 세여파죽(勢如破竹). [출전]《晉書》〈杜預專〉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 곧 ① 맹렬한 기세. ②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의 비유. ③ 무인지경을 가듯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진군함의 비유. 위(魏)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염(司馬炎)은 원제(元帝)를 폐한 뒤 스스로 제위에 올라 무제(武帝:265~290)라 일컫고, 국호를 진(晉)이라고 했다(265년). 이리하여 천하는 3국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오(吳)나라와 진나라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었다. 이윽고 무제는 진남 대장군(鎭南大將軍) 두예(杜預)에게 출병을 명했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포호빙하 (暴虎馮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무모한 행동,용기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포호빙하 (暴虎馮河) 暴:사나울 폭(관용)‧포. 虎:범 호. 馮:탈 빙. 河:물 하 [동의어] 포호빙하지용(暴虎馮河之勇) [참조] 전전긍긍(戰戰兢兢). [출전] ≪論語≫ 〈述而篇〉 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고 걸어서 황하를 건넌다는 뜻. 곧 무모한 행동.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한 용기의 비유. 공자의 3000여 제자 중 특히 안회(顔回)는 학재(學才)가 뛰어나고 덕행이 높아 공자가 가장 아끼던 제자라고 한다. 그는 가난하고 불우했지만 이를 전혀 괴로워하지 않았으며 또한 32세의 젊은 나이로 죽을 때까지 노하거나 실수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 안회에게 어느 날,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왕후(王侯)에게 등용되면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풍성학려 (風聲鶴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풍성학려 (風聲鶴唳) 風:바람 풍. 聲:소리 성. 鶴:학 학. 唳:학울 려. [출전] ≪晉書≫ ≪謝玄載記≫ 바람 소리와 울음소리란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의 비유. 동진(東晉:317~420)의 9대 효무제(孝武帝) 때인 태원(太元) 8년(383)의 일이다. 오호 십육국(五胡十六國) 중 전진(前秦)의 3대 임금인 부견(苻堅:338~385)이 10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오자, 효무제는 재상 사안(謝安)의 동생인 정토대도독(征討大都督) 사석(謝石)과 조카인 전봉도독(前鋒都督) 사현(謝玄)에게 8만의 군사를 주고 나가 싸우게 했다. 우선 참모인 유로지(劉窂之)가 5000의 군사로 적의 선봉을 격파하여 서전을 장식했다. 이 때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학철부어 (涸轍鮒魚)[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매우 위급한 상황,몹시 고단하고 옹색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학철부어 (涸轍鮒魚) 涸:마를 학. 轍:수레바퀴 자국 철. 鮒:붕어 부. 魚:고기 어. [준말] 학부(涸鮒), 철부(轍鮒). [동의어] 철부지급(轍鮒之急), 학철지부(涸轍之鮒), 학철부어(涸轍鮒魚). [유사어] 우제지어(牛蹄之魚). [출전] ≪莊子≫ 〈外物篇〉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란 뜻으로, 매우 위급한 경우에 처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함의 비유. 전국 시대,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했던 장자(莊子)의 이야기이다. 그는 왕후(王侯)에게 무릎을 굽혀 안정된 생활을 하기보다는 어느 누구에게도 구속받지 않는 자유로운 생활을 즐겼다. 그러다 보니 가난한 그는 끼니조차 잇기가 어려웠다. 어느 날 장자는 굶다 못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한단지몽 (邯鄲之夢)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의 비유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한단지몽 (邯鄲之夢) 邯:땅 이름 한. 鄲: 땅 이름 단. 之:갈 지(…의). 夢:꿈 몽. [동의어] 한단지침(邯鄲之枕), 한단몽침(邯鄲夢枕), 노생지몽(盧生之夢), 일취지몽(一炊之夢), 영고일취(榮枯一炊), 황량지몽(黃粱之夢) [출전] 심기제(沈旣濟)의 ≪枕中記≫ 한단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의 비유. 당나라 현종(玄宗)때의 이야기이다. 도사 여옹이 한단[하북성(河北省)내]의 한 주막에서 쉬고 있는데 행색이 초라한 젊은이가 옆에 와 앉더니 산동(山東)에서 사는 노생(盧生)이라며 신세 한탄을 하고는 졸기 시작했다. 여옹이 보따리 속에서 양쪽에 구멍이 뚫린 도자기 베개를 꺼내 주자 노생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호가호위 (狐假虎威)[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호가호위 (狐假虎威) 狐:여우 호. 假:거짓 가. 虎:범 호. 威:위엄 위 [준말] 가호위(假虎威). [동의어] 가호위호(假虎威狐) [출전] ≪戰國策≫ 〈楚策〉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어 다른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에 비유. 전국시대인 기원전 4세기 초엽, 초(楚) 나라 선왕(宣王) 때의 일이다. 어느 날 선왕은 위(魏:梁) 나라에서 사신이 왔다가 그의 신하가 된 강을(江乙)에게 물었다. “위나라를 비롯한 북방 제국이 우리 재상 소해휼(昭奚恤)을 두려워하고 있다는데 그게 사실이오?” “그렇지 않사옵니다. 북방 제국이 어찌 일개 재상에 불과한 소해휼 따위를 두려워하겠나이까. 전하, 혹..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호접지몽 (胡蝶之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생의 덧없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호접지몽(胡蝶之夢) 胡:오랑캐‧어찌 호. 蝶:나비 접. 之:갈 지(…의). 夢:꿈 몽. [유사어] 장주지몽(莊周之夢) [출전] ≪莊子≫ 〈齊物篇〉 나비가 된 꿈이란 뜻. 곧 ① 물아 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물아의 구별을 잊음의 비유. ②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심경. ③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④ 꿈. 전국 시대의 사상가 장자[莊子:이름은 주(周), B.C. 365~290]는 맹자와 같은 시대의 인물로서 물(物)의 시비(是非)‧선악(善惡)‧진위(眞僞)‧미추(美醜)‧빈부(貧富)‧귀천(貴賤)을 초월하여 자연 그대로 살아가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제창한 사람이다. 장자가 어느 날 꿈을 꾸었다. 꽃과 꽃 사이를 훨훨 날아다니는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