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청천벽력 (靑天霹靂)[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갑자기 일어난 큰 사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청천벽력 (靑天霹靂) 靑:푸를 청. 天:하늘 천. 霹:벼락 벽. 靂:벼락 력. [원말] 청천비벽력(靑天飛霹靂). [출전] 육유(陸游)의《劍南詩稿》〈九月四日鷄未鳴起作〉 맑게 갠 하늘의 벼락(날벼락)이란 뜻. ① 약동하는 필세(筆勢)의 형용. ② 생각지 않았던 무서운 일. ③ 갑자기 일어난 큰 사건이나 이변(異變)의 비유. 이 말은 남송(南宋)의 대시인 육유[陸游:호(號)는 방옹(放翁)]의《검남시고(劍南詩稿)》〈9월4일 계미명기작(九月四日鷄未鳴起作)〉에 나오는 오언절구(五言絶句)의 끝 구절이다. 방옹이 병으로 가을을 지내고 [放翁病過秋(방옹병과추)] 홀연히 일어나 취하여 글을 쓰니 [忽起作醉墨(홀기작취묵)] 정히 오래 움츠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청출어람 (靑出於藍)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나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청출어람 (靑出於藍) 靑:푸를 청. 出:날 출. 於:어조사 어(…에,…에서,…보다). 藍:쪽 람. [준말] 출람(出藍). [동의어] 출람지예(出藍之譽), 출람지재(出藍之才), 후생각고(後生角高), 출람지영예(出藍之榮譽). [출전]《荀子》〈勸學篇〉 쪽[藍]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나음을 이르는 말. 이 말은 전국 시대의 유학자(儒學者)로서 성악설(性惡說)을 창시한 순자(荀子)의 글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학문은 그쳐서는 안 된다 [學不可以已(학불가이이)] 푸른색은 쪽에서 취했지만 [靑取之於藍(청취지어람)] 쪽빛보다 더 푸르고 [而靑於藍(이청어람)] 얼음은 물이 이루었지만 [氷..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축록자불견산 (逐鹿者不見山)[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한 가지 일에 마음을 빼앗기는 사람은 다른 일을 생각하지 않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축록자불견산 (逐鹿者不見山) 逐:쫓을 축. 鹿:사슴 록. 者:놈 자. 不:아니 불. 見:볼 견. 山:메 산. [동의어] 축수자목불견태산(逐獸者目不見太山). [출전]《淮南子》〈說林訓篇〉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명예와 이욕(利慾)에 미혹(迷惑)된 사람은 도리도 저버림. ② 이욕에 눈이 먼 사람은 눈앞의 위험도 돌보지 않음. 또는 보지 못함. ③ 한 가지 일에 마음을 빼앗기는 사람은 다른 일을 생각하지 않음. 전한(前漢)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중앙 정권에 대항적인 입장을 취했던 왕족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 : ? ~ B.C.122)은 문하(門下) 식객(食客)의 도움을 받아 많은 서책을 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치인설몽 (癡人說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리석기 짝이 없는 짓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치인설몽 (癡人說夢) 癡:어리석을 치. 人:사람 인. 說:말씀 설, 달랠 세. 夢:꿈 몽. [원말] 대치인몽설(對癡人夢說). [동의어] 치인전설몽(癡人前說夢). [출전]《冷齋夜話》〈卷力〉,《黃山谷題跋》 바보에게 꿈 이야기를 해준다는 뜻. 곧 ① 어리석기 짝이 없는 짓의 비유. ② 종작없이 지껄이는 짓의 비유. ③ 이야기가 상대방에게 이해되지 않음의 비유. 남송(南宋:1127~1279)의 석혜홍(釋惠洪)이 쓴《냉재야화(冷齋夜話)》〈권9(卷九)〉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당나라 시대, 서역(西域)의 고승인 승가(僧伽)가 양자강과 회하(淮河) 유역에 있는 지금의 안휘성(安徽省) 지방을 행각(行脚:여기 저기 돌아다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칠보지재 (七步之才)[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아주 뛰어난 글재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칠보지재 (七步之才) 七:일곱 칠. 步:걸음 보. 之:갈 지(…의). 才:재주 재. [동의어] 칠보재(七步才), 칠보시(七步詩). [유사어] 의마지재(倚馬之才), 오보시(五步詩). [출전]《世說新語》〈文學篇〉 일곱 걸음을 옮기는 사이에 시를 지을 수 있는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삼국 시대의 영웅이었던 위와(魏王) 조조(曹操)는 문장 출신이었지만 건안(建安) 문학의 융성을 가져왔을 정도로 시문을 애호하여 우수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 영향을 받아서인지 맏아들인 비(丕:186~226)와 셋째 아들인 식(植)도 글재주가 출중했다. 특히 식의 시재(詩才)는 당대의 대가들로부터도 칭송이 자자했다. 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타산지석 (他山之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기의 지식이나 인격을 닦는 데에 도움이 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타산지석 (他山之石) 他:다를 타. 山:메 산. 之:갈 지(…의). 石:돌 석. [원말] 타산지석 가이공옥(可以攻玉). [유사어] 절차탁마(切磋琢磨), 공옥이석(攻玉以石). [출전]《詩經》〈小雅篇〉 다른 산의 거친(쓸모 없는) 돌이라도 옥(玉)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 곧 ①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기의 지식이나 인격을 닦는 데에 도움이 됨의 비유. ② 쓸모 없는 것이라도 쓰기에 따라 유용한 것이 될 수 있음의 비유. 이 말은《시경(詩經)》〈소아편(小雅篇)〉‘학명(鶴鳴)’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시(일부)의 한 구절이다. ‥‥‥‥‥ 즐거운 저 동산에는 [樂彼之園(낙피지원)] 박달나무 심겨 있고 [爰有樹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태산북두 (泰山北斗)[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권위자. 제일인자. 학문‧예술 분야의 대가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태산북두 (泰山北斗) 泰:클 태. 山:메 산. 北:북녘 북. 斗:말‧별자리 두. [준말] 泰斗(태두). 山斗(산두). [동의어] 여태산북두(如泰山北斗). [출전] ≪唐書≫ 〈韓愈傳贊〉 태산과 북두칠성을 가리키는 말. 곧 ① 권위자. 제일인자. 학문‧예술 분야의 대가. ② 세상 사람들로부터 우러러 받듦을 받거나 가장 존경받는 사람. 당나라 때 사대시인(四大詩人)의 한 사람으로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굴지의 명문장가로 꼽혔던 한유[韓愈:자는 퇴지(退之)]는 768년, 지금의 하남성(河南省)에서 태어났다. 그는 9대 황제인 덕종(德宗:779~805) 때 25세의 나이로 진사(進士) 시험에 급제한 뒤 이부상서(吏部尙書)까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토사구팽 (免死狗烹)[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토사구팽 (免死狗烹) 免:토끼 토. 死:죽을 사. 狗:개 구. 烹:삶을 팽. [원말] 교토사 양구팽(狡免死良狗烹) [동의어] 야수진 엽구팽(野獸盡獵狗烹) [유사어] 고(비)조진 양궁장[高(飛)鳥盡良弓藏]. [출전]《史記》〈淮陰侯列傳〉,《十八史略》,《韓非子》〈內儲說篇〉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 곧 쓸모가 있을 때는 긴요하게 쓰이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초패왕(楚霸王) 항우(項羽)를 멸하고 한(漢)나라의 고조(高祖)가 된 유방(劉邦)은 소하(蕭何)‧장량(張良)과 더불어 한나라 창업 삼걸(三傑)의 한 사람인 한신(韓信:?~B.C.196)을 초왕(楚王)에 책봉했다(B.C.200).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퇴고 (推敲)[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퇴고 (推敲) 推:밀 퇴‧옮을 추. 敲:두드릴 고 [출전]《唐詩紀事》〈卷四十 題李凝幽居〉 민다, 두드린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을 이르는 말. 당나라 때의 시인 가도[賈島:자는 낭선(浪仙),777~841]가 어느 날, 말을 타고 가면서〈이응의 유거에 제함[題李凝幽居]〉이라는 시를 짓기 시작했다. 이웃이 드물어 한거하고 [閑居隣竝少(한거린병소)] 풀숲 오솔길은 황원에 통하네 [草徑入荒園(추경입황원)] 새는 연못가 나무에 잠자고 [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 중은 달 아래 문을 두드린다 [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 그런데 마지막 구절인 ‘중은 달 아래 문을……’에서 ‘민다[推]’라고..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파죽지세 (破竹之勢) 세여파죽(勢如破竹)[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파죽지세 (破竹之勢) 破:깨뜨릴‧깨어질 파. 竹:대나무 죽. 之:갈 지(…의). 勢:기세‧형세 세. [동의어] 영인이해(迎刃而解), 세여파죽(勢如破竹). [출전]《晉書》〈杜預專〉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 곧 ① 맹렬한 기세. ②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의 비유. ③ 무인지경을 가듯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진군함의 비유. 위(魏)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염(司馬炎)은 원제(元帝)를 폐한 뒤 스스로 제위에 올라 무제(武帝:265~290)라 일컫고, 국호를 진(晉)이라고 했다(265년). 이리하여 천하는 3국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오(吳)나라와 진나라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었다. 이윽고 무제는 진남 대장군(鎭南大將軍) 두예(杜預)에게 출병을 명했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