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포호빙하 (暴虎馮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무모한 행동,용기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포호빙하 (暴虎馮河) 暴:사나울 폭(관용)‧포. 虎:범 호. 馮:탈 빙. 河:물 하 [동의어] 포호빙하지용(暴虎馮河之勇) [참조] 전전긍긍(戰戰兢兢). [출전] ≪論語≫ 〈述而篇〉 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고 걸어서 황하를 건넌다는 뜻. 곧 무모한 행동.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한 용기의 비유. 공자의 3000여 제자 중 특히 안회(顔回)는 학재(學才)가 뛰어나고 덕행이 높아 공자가 가장 아끼던 제자라고 한다. 그는 가난하고 불우했지만 이를 전혀 괴로워하지 않았으며 또한 32세의 젊은 나이로 죽을 때까지 노하거나 실수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 안회에게 어느 날,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왕후(王侯)에게 등용되면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풍성학려 (風聲鶴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풍성학려 (風聲鶴唳) 風:바람 풍. 聲:소리 성. 鶴:학 학. 唳:학울 려. [출전] ≪晉書≫ ≪謝玄載記≫ 바람 소리와 울음소리란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의 비유. 동진(東晉:317~420)의 9대 효무제(孝武帝) 때인 태원(太元) 8년(383)의 일이다. 오호 십육국(五胡十六國) 중 전진(前秦)의 3대 임금인 부견(苻堅:338~385)이 10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오자, 효무제는 재상 사안(謝安)의 동생인 정토대도독(征討大都督) 사석(謝石)과 조카인 전봉도독(前鋒都督) 사현(謝玄)에게 8만의 군사를 주고 나가 싸우게 했다. 우선 참모인 유로지(劉窂之)가 5000의 군사로 적의 선봉을 격파하여 서전을 장식했다. 이 때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학철부어 (涸轍鮒魚)[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매우 위급한 상황,몹시 고단하고 옹색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학철부어 (涸轍鮒魚) 涸:마를 학. 轍:수레바퀴 자국 철. 鮒:붕어 부. 魚:고기 어. [준말] 학부(涸鮒), 철부(轍鮒). [동의어] 철부지급(轍鮒之急), 학철지부(涸轍之鮒), 학철부어(涸轍鮒魚). [유사어] 우제지어(牛蹄之魚). [출전] ≪莊子≫ 〈外物篇〉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란 뜻으로, 매우 위급한 경우에 처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함의 비유. 전국 시대,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했던 장자(莊子)의 이야기이다. 그는 왕후(王侯)에게 무릎을 굽혀 안정된 생활을 하기보다는 어느 누구에게도 구속받지 않는 자유로운 생활을 즐겼다. 그러다 보니 가난한 그는 끼니조차 잇기가 어려웠다. 어느 날 장자는 굶다 못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한단지몽 (邯鄲之夢)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의 비유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한단지몽 (邯鄲之夢) 邯:땅 이름 한. 鄲: 땅 이름 단. 之:갈 지(…의). 夢:꿈 몽. [동의어] 한단지침(邯鄲之枕), 한단몽침(邯鄲夢枕), 노생지몽(盧生之夢), 일취지몽(一炊之夢), 영고일취(榮枯一炊), 황량지몽(黃粱之夢) [출전] 심기제(沈旣濟)의 ≪枕中記≫ 한단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의 비유. 당나라 현종(玄宗)때의 이야기이다. 도사 여옹이 한단[하북성(河北省)내]의 한 주막에서 쉬고 있는데 행색이 초라한 젊은이가 옆에 와 앉더니 산동(山東)에서 사는 노생(盧生)이라며 신세 한탄을 하고는 졸기 시작했다. 여옹이 보따리 속에서 양쪽에 구멍이 뚫린 도자기 베개를 꺼내 주자 노생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호가호위 (狐假虎威)[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호가호위 (狐假虎威) 狐:여우 호. 假:거짓 가. 虎:범 호. 威:위엄 위 [준말] 가호위(假虎威). [동의어] 가호위호(假虎威狐) [출전] ≪戰國策≫ 〈楚策〉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어 다른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에 비유. 전국시대인 기원전 4세기 초엽, 초(楚) 나라 선왕(宣王) 때의 일이다. 어느 날 선왕은 위(魏:梁) 나라에서 사신이 왔다가 그의 신하가 된 강을(江乙)에게 물었다. “위나라를 비롯한 북방 제국이 우리 재상 소해휼(昭奚恤)을 두려워하고 있다는데 그게 사실이오?” “그렇지 않사옵니다. 북방 제국이 어찌 일개 재상에 불과한 소해휼 따위를 두려워하겠나이까. 전하, 혹..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호접지몽 (胡蝶之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생의 덧없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호접지몽(胡蝶之夢) 胡:오랑캐‧어찌 호. 蝶:나비 접. 之:갈 지(…의). 夢:꿈 몽. [유사어] 장주지몽(莊周之夢) [출전] ≪莊子≫ 〈齊物篇〉 나비가 된 꿈이란 뜻. 곧 ① 물아 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물아의 구별을 잊음의 비유. ②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심경. ③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④ 꿈. 전국 시대의 사상가 장자[莊子:이름은 주(周), B.C. 365~290]는 맹자와 같은 시대의 인물로서 물(物)의 시비(是非)‧선악(善惡)‧진위(眞僞)‧미추(美醜)‧빈부(貧富)‧귀천(貴賤)을 초월하여 자연 그대로 살아가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제창한 사람이다. 장자가 어느 날 꿈을 꾸었다. 꽃과 꽃 사이를 훨훨 날아다니는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홍일점 (紅一點)[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여러 하찮은 것 가운데 단 하나 우수한 것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홍일점 (紅一點) 紅:붉을 홍. 一:한 일. 點:점‧점 찍을‧흠 점. [출전] ≪唐宋八家文≫ 〈王安石 詠石榴詩〉 ① 여럿 가운데서 오직 하나 이채를 띠는 것. ② 많은 남자들 틈에 오직 하나뿐인 여자. ③ 여러 하찮은 것 가운데 단 하나 우수한 것. 북송(北宋) 6대 황제인 신종(神宗) 때 왕안석(王安石:1021~1086)이란 재상이 있었다. 당시 신법당(新法黨)의 지도인 왕안석은 재상에 임명되자 부국강병을 위한 이른바 ‘왕안석의 개혁’을 실시했다. 처음에는 구양수(歐陽脩)‧사마광(司馬光)‧정이[程頤:호는 이천(伊川)]‧소식(蘇軾) 등 유명한 문신들이 주축이 된 구법당(舊法黨)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쳤으나 신종의 적극적인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화서지몽 (華胥之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좋은 꿈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화서지몽 (華胥之夢) 華:빛날 화. 胥:서로 서. 之:갈 지(…의). 夢:꿈 몽. [유사어] 화서지국(華胥之國). 유화서지국(遊華胥之國). [참조] 호접지몽(胡蝶之夢). [출전] ≪列子≫〈黃帝篇〉 화서의 꿈이란 뜻으로, 좋은 꿈이나 낮잠을 이르는 말. 먼 옛날 중국 최초의 성천자(聖天子)로 알려진 황제[黃帝:공손헌원(公孫軒轅)]는 어느 날,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화서씨(華胥氏)의 나라에 놀러 가 안락하고 평화로운 이상경(理想境)을 보았다. 그곳에는 통치자도 신분의 상하도 연장(年長)의 권위도 없고, 백성들은 욕망도 애증(愛憎)도 이해(利害)의 관념도 없을 뿐 아니라 삶과 죽음에도 초연하다. 또 물 속에 들어가도 빠져 죽..

배움/고사성어 2012.10.05

화씨지벽 (和氏之璧)[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화씨지벽 (和氏之璧) 和:화할 화. 氏:각시 씨. 之:갈 지(…의). 璧:둥근 옥 벽. [준말] 화벽(和璧). [동의어] 변화지벽(卞和之璧) [유사어] 완벽(完璧). 연성지벽(連城之璧) [참조] 완벽(完璧). [출전] ≪韓非子≫ 〈卞和〉 천하 명옥(天下名玉)의 이름. 전국 시대, 초(楚)나라에 변화씨(卞和氏)란 사람이 산 속에서 옥(玉)의 원석을 발견하자 곧바로 여왕(厲王)에게 바쳤다. 여왕이 보석 세공인(細工人)에게 감정시켜 보니 보통 돌이라고 한다. 화가 난 여왕은 변화씨를 월형(刖刑:발뒤꿈치를 자르는 형벌)에 처했다. 여왕이 죽은 뒤 변화씨는 그 옥돌을 무왕(武王)에게 바쳤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번에는 왼쪽 발..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