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론 16

낚시) 낚시 강좌 3 – 가지채비, 뜰낚시

낚시 기초 강좌 가지채비, 뜰낚시 ### !!! 가지채비 ### 한참 기온이 올라가는 계절입니다. 저수지에서건 댐에서건 특히 양어장 에서는 오전 10시만 지나면 많은 고기들이 물위에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낚시 기법으로는 절대로 입질도 없으며, 또한 떠있는 고기를 잡을 수 가 없습니다. 근자에는 저수지나 댐에서는 아주 긴 대 즉, 5칸 대 이상을 쓰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양어장에서는 특히나 짧은 대가 아니면 거의 불가능합니다.몇 일 전에도 밤낚시에서 한칸 대(1.8M)가 아니면 입질이 거의 없었습니다. 양어장에서는 5월 후반기에서 부터 10월 중반까지는 낮낚시에서 가지채비로 1.0칸, 1.25칸, 1.5칸 대가 아니면 반대로 아주 긴대 즉, 5칸 이상 대를 사용하십시오.어..

배움/자료 2010.07.09

낚시) 낚시 강좌 2 - 찌 맞춤(2)

낚시 기초 강좌 찌 맞춤(2) 찌맞춤, 케미를 달아서 맞추는 방법 찌를 맞출 적에 그장소에서 찌맞춤을 하여도 우리가 집에서 하는 그런식의 바늘과 찌가 직각으로 올라와 있는 상황이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전회에 이야기 한대로 목줄의 저항이나 또는 본줄의 영향으로 일단은 봉돌이 수면에 떠 있는 상황이라도 바늘과 봉돌은 직각이 아니라는 이야기 입니다. 봉돌이 바늘을 끌고오는 상황에서 바늘이 지상에 착수한것이라면 당연히 봉돌보다 바늘이 약간 뒤에 쳐저있는것이 정상입니다. 또한 낚시대를 던져 놓아도 낚시대와 찌와 바늘이 직각 90도의 상태가 아닙니다. 낚시꾼들의 이상적인 바램이 90도를 유지하기를 원하지만 이런 상황이 이루워 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낚시대를 스윙으로 던져 대와 바늘이 180도에서 바늘..

배움/자료 2010.07.09

낚시) 낚시 강좌 1 - 찌 맞춤(1)

낚시 기초 강좌 찌 맞춤(1) 찌 맞춤의 형태에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많은 낚시인들이 각자의 낚시 장르별로 다른 찌 맞춤을 선호하며 어떤것이 정설이다 아니다란 논리 보다는 한번쯤 짚어 보고 넘어가는것이 앞으로 자기가 하고자하는 낚시종류에 합당한 것인지 각자가 생각해보고 사용하자는 생각으로 이글을 쓰게된 동기이다. 근자에 많은 낚시인들에게 이 문제로 많은 논란과 의문을제시해와 나름대로의 생각을 여러분에게 전하고자 한다. 찌 맞춤에는 1) 봉돌만 단 상태로 맞추는 방법. 2) 봉돌 + 바늘과 같이 달어서 맞추는 방법. 3) 봉돌 + 바늘 + 케미를 달어서 맞추는 방법. 4) 봉돌 + 바늘 + 케미 + 미끼까지 달아서 맞추는 방법. 통상 낚시인들이 사용하는 4가지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 (2..

배움/자료 2010.07.09

고전 시에 대한 분류와 이해 (설명)

고전 시에 대한 분류와 이해 (설명) 고대 가요의 일반적 이해 농경 생활을 위주로 했던 우리 조상들은 농사가 시작되고 끝나는 시기마다 각 각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춤추며 노래를 부르고 놀았다는 문헌 기록이 전한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 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백제의 오월제(五月祭) 등과 같은 제천 의식이 그것인 데, 이 과정에서 행해진 원시 종합 예술로서의 제의(祭儀)놀이 속에서 고대 가요가 발생했으 리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이렇게 하여 발생한 가요는 집단적 민속요와 개인적 서정요로 분화되어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이 같은 고대 가요는 오늘날 거의 전해 내려오지 않고, 다만 나 및 중국의 문헌에 단편적으로 한역되어 전해 오고 있을 뿐이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고조선 ..

배움/시 2010.07.09

한방) 체질 감별법 -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체질 감별법 한방에서는 흔히 체질을 중요시한다. 체질에 따라 천부적으로 받은 장부의 허실이 있고, 체질에 따라 잘 걸리는 병과 잘 걸리지 않는 병이 있으며, 체질에 따라 써야 할 약재와 처방이 있는 반면 삼가야 할 약재와 처방도 있는 것으로 본다. 또 체질에 따라 외모와 성격, 심리상태 등이 각기 다르며, 먹어서 적합한 음식물이 있고, 적합하지 못 한 음식물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같은 체질의학은 사상의학의 창시자인 동무이제마에 의해 비롯된 것이다. 물론 그 이전에도 ‘병자에 따라 약을 달리 써야 한다’는 주장은 어렴풋이나마 있었지만, 그것은 막연한 주장에 불과했을 뿐이다. 뚜렷한 이론적 근거도 없었고 깊은 연구 또한 없었다. 풍부한 의술 경험과 해박한 지식, 오랜 연구 등을 통해 이제마가 비로소 ..

배움/자료 2010.07.02

한방) 한방약 이야기

* 한방약은 대자연의 선물 신은 인간에게 여러 가지 질병도 주셨지만, 그와 더불어 질병을 물리칠 수 있는 양 도 함께 주셨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그 약이란 광대한 대자연 속에서 얻을 수 있는 수 많은 생약 일 것이다. 식물과 동물, 광물 등에서 얻은 천연 약재와 이것들을 약간 가공하여 건조시킨 약재 들을 통털어 생약이라고 한다. 그러나 동물성 생약과 광물성 생약은 극히 적은 편이 고, 생약의 대부분은 식물성 생약이 차지하고 있자. 인간이 자연 속에서 생약을 채취하여, 이를 의료 목적에 사용한 것은 아주 오랜 옛 날부터이다. 역사상의 여러 기록과 발견물 등에 따르면, 고대의 슈메르인들은 B.C 250 0년에 이미 약초에 대해 알고 있었고, 앗시리아인들은 약 260종의 식물성 생약과 약용 식물의 재배법도 알..

배움/자료 2010.07.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