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좋은말

유명인사들의 명언과 격언 모음 집- 2

올드코난 2010. 7. 1. 11:21
반응형
유명인사들의 명언과 격언 - 2


* 성공의 사다리를 올라갈 때 그 사다리를 붙들어주신 하나님을 잊지 말라.

  - 엔리코 카루소(이탈리아 테너가수:1873~1921)

 

* 전통적인 또는 기성의 권위가 낡고 부패하여 흔들리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은 지적인 계층이다. 그들의 섬세한 감각은 일반 민중들이 아직

그 흔들림을 느끼기도 전에 벌써 붕괴의 예감에 떨며 괴로워한다. 이때 그들이

보여주는 반응의 형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전통의 권위를 옹호하려는 쪽으로, 그들은 자기들이 의지해 온 권위가  

흔들리기 때문에 오히려 더 열정적으로 그 회복에 몸과 마음을 바친다. 동양에

서 각 왕조의 교체가 있을 때마다 나타나는 충신 열사가 그들이며, 서양의 개혁

기에도 또한 어김없이 나타나는 극단한 반동주의자가 그들이다. 다른 하나는

전통의 권위로부터 탈주하는 쪽이다. 그들 중에 야심과 능력을 겸비한 자는 스

스로 새로운 권위가 되어 기존의 체제에 도전하고, 거기에 이르지 못하는 자는

나름대로 선택한 새로운 권위를 위해 낡은 권위를 타도하는 데 앞장선다. 그들

을 지배하는 열정의 근원은 자기들의 권위가 새로움이며 그 선택이 모험이라는

점으로서 좋은 뜻으로는 혁명가이고 나쁜 뜻으로는 반역자라 불리는 이들이 그

들이다. 그런데 여기서 다시 한번 살펴보고 싶은 것은 그들 탈주한 지식계급 또

는 대항정영(= 대항 엘리트)의 유형이다. 혁명을 향한 열정과 재능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대략 네 가지가 되는데, 그 첫 번째는 열정도 재능도 없이 혁명에 참

가한 자들이다. 이들은 머릿수를 채우는 데는 혁명에 도움을 주지만 너무도 쉽

게 무너진다는 점에서는 없는 것과 크게 다름이 없다. 사소한 이해나 은원관계

로 혁명에 가담하거나 반체제의 선전에 충동되어 모인 일시적인 다중의 대부분

이 이들이다. 두 번째는 혁명운동에 필요한 재능, 즉 음모와 조직과 선동의 능

력은 있으나 열정과 그에 따르는 신념이 없는 부류이다. 이들은 혁명이 성공적

으로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놀랄 만한 일을 한다. 그러나 기성의 권위가 뜻밖

으로 완강하게 버티거나 거세게 반격해 오면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대항 집단

에 입히게 된다. 거사 직전의 밀고, 결정적인 시기의 변절 따위가 이들의 솜씨

이며, 때로 이들에게 있어서 반항은 혁명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좋은 조건으로 기성의 권위 체제에 수용되기 위한 수단으로 보여지기까지 한다.

세 번째는 앞서와 반대로 혁명에 필요한 재능은 없고 열정만 있는 부류이다.

들은 모든 혁명운동에 있어서 힘의 원천이며 마지막 보루다. 그러나 또한 가장

많이 희망하면서도 가장 적게 얻는 것이 이들이다. 어떤 혁명에서도 그 과일은

이들의 것이 되지 못하며, 심지어는 그들에게 돌아가는 유일한 과일인 공허한

말의 성찬조차도 누구에겐가 가로채이고 만다. 마지막이 열정과 재능을 한 몸

에 모두 지닌 경우이다. 이들이야말로 모든 대항 집단의 핵심 세력이 되며 미래

의 새로운 권위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자세히 살피면 이들도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권위의 틀인 제도를 위주로 한 혁명으로 사회를 밑바닥에

서부터 뒤엎는 극단한 양상을 보이는 한편, 다른 하나는 권위의 담당자를 위주

로 하는 경우로 담당의 정당성만 확보되면 그 전의 제도를 계승, 답습하는 부분

적인 혁명이 되고 만다. 이러한 구분은 물론 엄격한 서구식의 혁명 개념에는 맞

지 않을는지 모른다. 뒤의 경우, 즉 동양형의 혁명은 결국 자기가 쓰러뜨린 왕

조와 비슷한 새 왕조를 여는 것으로 끝나 버리고, 그나마도 어리석은 후계자와

그를 둘러싼 권력 장치의 무능 및 부패로 세월이 갈수록 혁명이란 말에는 어울

리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소한 자신이 몸을 일으킬 때보다는 나은 세

상을 꿈꾸고, 또 실제로도 어느 정도 그 꿈을 실현한 점에 있어서는 그들 역시

도 혁명가들이다. 혁명이란 말에는 약방의 감초처럼 따라붙는 민중을 끌어대 봐

도 마찬가지다. 도대체 동양의 어떤 태조가 민중의 지지 없이 새 왕조를 열 수

있었을 것인가. 하지만 그런 동양적인 혁명가들 가운데 한층 억울한 것은 찬탈

자란 이름을 가진 자이다. 그들은 살아서는 끊임없이 충의를 앞세운 반동 세력

의 도전을 받고, 죽어서는 아름답지 못한 이름에 시달린다. 그들이 우리의 감

정을 거스르는 것은 양위를 받는 순간까지도 충성을 다짐하고 마지막 정적을 없

앨 때까지도 자기가 말살시키려는 그 권위에 의지한다는 점일 것이다. 그러나

찬탈자로 태어나는 자가 따로 있지 않을 바에야 어느 시기까지의 충성은 진정

한 것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그러다가 끝내 그 낡은 권위에 절망한 나머지 찬

탈자의 길을 갔다면 반드시 그만을 나무랄 수도 없으리라. 또 자기가 말살할

권위를 끝까지 이용한 것도 그렇다. 그만큼 전통적인 권위가 갖는 상징적인 힘

을 잘 알았다는 뜻에서 역시 비범이라고 봐주어야 하지 않을까.

- 이문열 <삼국지>

 

* 고목은 높은 가지부터 마른다.

 

* 너희 둘은 책읽기를 즐겨 경전의 장구에도 밝지 못하고, 시사에 빠져 문장을

곱게 다듬지도 않았다. 배우는 자로서는 마땅히 그 게으름에 벌을 받아야 하나,

내가 크게 너희를 꾸짖지 않은 것은 그래도 너희가 배움에 큰 가지와 줄기는

항상 잡고 있기 때문이며, 시절 또한 장구에 매달리고 사부나 읊조리며 보낼

수는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진정한 난세가 이르면, 필요한 것은 문장과 학식이나

사사로운 수양이 아니라 그것들을 활발하게 실천하는 힘이다. - 이문열 <삼국지>

 

* 사람이 거울을 지님은 옷과 갓을 바로 하기 위함이요, 옛일을 돌이켜 봄은 내일을

미루어 살피고자 함이라. 

 

* 일하지 않고 먹는 것은 도둑과 거지뿐.

 

*  티끌 자욱한 이 땅 일을 한바탕 긴 봄꿈이라 이를 수 있다면, 그 한바탕 꿈

을 꾸미고 보태 이기함 또한 부질없는 일이 아니겠는가. 사람은 같은 냇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고, 때의 흐름은 다만 나아갈 뿐 되돌아오지 않는 것을,

삼 지나간 날 스러진 삶을 돌이켜 길게 적어 나감도 마찬가지로 헛되이 값진

종이를 버려 남의 눈만 어지럽히는 일이 되지 않겠는가. 그러하되 꿈속에 있으

면서 그게 꿈인 줄 어떻게 알며, 흐름 속에 함께 흐르며 어떻게 그 흐름을 느끼

겠는가. 꿈이 꿈인 줄 알려면 그 꿈에서 깨어나야 하고, 흐름이 흐름인 줄 알려

면 그 흐름에서 벗어나야 한다. 때로 땅끝에 미치는 큰 앎과 하늘가에 이르는

높은 깨달음이 있어 더러 깨어나고 또 벗어나되, 그 같은 일이 어찌 여느 우리

에게까지도 한결같을 수가 있으랴. 놀이에 빠져 해가 져야 돌아갈 집을 생각하

는 어린아이 처럼, 티끌과 먼지 속을 어지러이 헤매다가 때가 와서야 놀람과 슬

픔 속에 다시 한줌 흙으로 돌아가는 우리인 것을. 또 일찍 옛사람은 말하였다.

<그대는 저 물과  달을 아는가. 흐르는 물은 이와 같아도 아직 흘러 다해 버린

적이 없으며 차고 이지러지는 달 저와 같아도 그 참 크기는 줄어 작아짐도 커

서 늘어남도 없었다. 무릇 바뀌고 달라지는 쪽으로 보면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이

짧은 사이도 그대로일 수가 없지만, 그 바뀌고 달라지지 않는 쪽으로 보면 나와

남이 모두 바뀌고 달라짐이 없다.> 그게 글 잘하는 이의 한갓 말장난이 아닐진

, 오직 그 바뀌고 달라짐에 치우쳐 우리 삶의 짧고 덧없음만 내세울 수는 없

으리라. 더욱이 수풀 위를 떼지어 나는 하루살이에게는 짧은 한낮도 즈믄 해에

값하고, 수레바퀴 자국 속에 나는 미꾸라지에게는 한 말 물도 네 바다에 갈음한

. 우리 또한 그와 같아서 가시덤불과 엉겅퀴로 뒤덮인 이 땅, 끝 모를 하늘에

견주면 수레바퀴 자국이나 다름없고, 그 속을 앉고 서서 보낸 예순 해 또한

다함없는 때의 흐름에 견주면 짧은 한낮에 지나지 않으나, 차마 그 모두를 없음

이요 비었음이요 헛됨이라 잘라 말할 수는 없으리라. - 이문열 <삼국지>

 

* 아침에 집을 나설 때 메모장이 있는가 꼭 확인. - 안병욱

 

* 그들은 사막을 만들어 그것을 평화라고 부른다.

 

* 한 문학작품을 결정짓는 것은 그 민족과 환경과 시대이다. - 뗀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