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움/고사성어 322

절차탁마 (切磋琢磨)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수양에 수양을 쌓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절차탁마 (切磋琢磨) 切:끊을‧자를 절. 磋:탄식할‧찬탄할 차. 琢:쫄 탁. 磨:갈 마. [원말]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如磋如琢如磨). [준말] 절마(切磨). [출전]《論語》〈學而篇〉,《詩經》〈衛風篇〉 뼈‧상아‧옥‧돌 따위를 깎고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① 수양에 수양을 쌓음의 비유. ② 학문‧기예 따위를 힘써 갈고 닦음의 비유.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자공(子貢)이 어느 날 스승인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貧而無諂] 부자가 되더라도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富而無驕]. 그건 어떤 사람일까요?” “좋긴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貧而樂道] 부자가 되더라도 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정중지와 (井中之蛙)[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우물 안 개구리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정중지와 (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蛙:개구리 와. [원말] 정중와 부지대해(井中蛙不知大海). [준말] 정와(井蛙). [동의어] 정와(井蛙), 정중와(井中蛙), 정저와(井底蛙), 감정지와(坎井之蛙). [유사어] 촉견폐일(蜀犬吠日), 월견폐설(越犬吠雪). [참조] 망양지탄(望洋之嘆), 득롱망촉(得隴望蜀). [출전]《後漢書》〈馬援專〉,《莊子》〈秋水篇〉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① 왕망(王莽)이 전한(前漢)을 멸하고 세운 신(新)나라 말경, 마원(馬援)이란 인재가 있었다. 그는 관리가 된 세 형과는 달리 고향에서 조상의 묘를 지키다가 농서[隴西:감숙성(甘肅省)]에 웅..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조강지처 (糟糠之妻)[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조강지처 (糟糠之妻) 糟:술재강 조. 糠:겨 강. 之:갈 지(…의). 妻:아내 처. [원말] 조강지처 불하당(糟糠之妻不下堂). [출전]《後漢書》〈宋弘專〉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전한(前漢)을 찬탈한 왕망(王莽)을 멸하고 유씨(劉氏) 천하를 재흥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일이다. 건원(建元) 2년(26), 당시 감찰(監察)을 맡아보던 대사공(大司空:御史大夫) 송홍(宋弘)은 온후한 사람이었으나 간할 정도로 강직한 인물이기도 했다. 어느 날, 광무제는 미망인이 된 누나인 호양공주(湖陽公主)를 불러 신하 중 누구를 마음에 두고 있는지 그 의중을 떠보았다. 그 결과 호양 공주는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조명시리 (朝名市利)[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무슨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행하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조명시리 (朝名市利) 朝:아침‧조정 조. 名:이름‧이름날 명. 市:저자 시. 利:이로울 리. [유사어] 적시적지(適時適地). [참조] 일거양득(一擧兩得). [출전]《戰國策》〈秦策〉 명성은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저자[市場]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행하라는 말. 진(秦)나라 혜문왕(惠文王) 때(B.C. 317)의 일이다. 중신 사마조(司馬錯)는 어전에서 ‘촉(蜀)의 오랑캐를 정벌하면 국토도 넓어지고 백성들의 재물도 쌓일 것이므로, 이야말로 일거양득(一擧兩得)’이라며 촉으로의 출병을 주장했다. 그러나 종횡가(縱橫家) 출신의 재상 장의(張儀)는 그와는 달리 혜문왕에게 이렇게 진언했다. “진나라는 우선..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조삼모사 (朝三暮四)[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조삼모사 (朝三暮四)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준말] 조삼(朝三). [동의어] 조사모삼(朝四暮三). [출전]《列子》〈黃帝篇〉,《莊子》〈齊物論〉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 곧 ① 당장 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송(宋)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저(狙)란 원숭이를 뜻한다. 그 이름이 말해 주듯이 저공은 많은 원숭이를 기르고 있었는데 그는 가족의 양식까지 퍼다가 먹일 정도로 원숭이를 좋아했다. 그래서 원숭이들은 저공을 따랐고 마음까지 알았다고 한다. 그런데 워낙 많은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먹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좌단 (左袒)[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에게 편들어 동의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좌단 (左袒) 左:왼 좌. 袒:옷 벗어 멜 단. [출전]《史記》〈呂后本紀〉 웃옷의 왼쪽 어깨를 벗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편들어 동의함을 이르는 말. 한(漢)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인 여태후(呂太后)가 죽자(B.C. 180) 이제까지 그녀의 위세에 눌려 숨도 제대로 못 쉬고 살았던 유씨(劉氏) 일족과 진평(陳平)‧주발(周勃) 등 고조의 유신(遺臣)들은 상장군(上將軍)이 되어 북군(北軍)을 장악한 조왕(趙王) 여록(呂祿), 남군(南軍)을 장악한 여왕(呂王) 여산(呂産)을 비롯한 외척 여씨(呂氏) 타도에 나섰다. 그간 주색에 빠진 양 가장했던 우승상(右丞相) 진평은 태위(太尉) 주발과 상의하여 우선 여록으로부터 상..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주지육림 (酒池肉林)[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호사스럽고 방탕한 주연

호사스럽고 방탕한 주연 주지육림 (酒池肉林) 酒:술 주. 池:못 지. 肉:고기 육. 林:수풀 림. [동의어] 육산주지(肉山酒池). [유사어] 육산포림(肉山脯林). [참조] 은감불원(殷鑑不遠). [출전]《史記》〈殷本紀〉,《帝王世紀》,《十八史略》 술로 못[池]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극히 호사스럽고 방탕한 주연(酒宴)을 일컫는 말. 고대 중국의 하(夏)나라 걸왕(桀王)과 은(殷)나라 주왕(紂王)은 원래 지용(智勇)을 겸비한 현주(賢主)였으나 그들은 각기 말희(妺喜), 달기(妲己)라는 희대의 요녀독부(妖女毒婦)에게 빠져 사치와 주색에 탐닉하다가 결국 폭군음주(暴君淫主)라는 낙인이 찍힌 채 나라를 망치 말았다. 하나라 걸왕은 자신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有施氏國)에서 공물로 바친 희대의 요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죽마고우 (竹馬故友)[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렸을 때 친하게 사귄 사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죽마고우 (竹馬故友) 竹:대나무 죽. 馬:말 마. 故:예‧연고 고. 友:벗 우. [동의어] 죽마지우(竹馬之友), 죽마구우(竹馬舊友). [유사어] 기죽지교(騎竹之交), 죽마지호(竹馬之好). [출전]《世說新語》〈品藻篇〉,《晉書》〈殷浩專〉 어릴 때 같이 죽마(대말)를 타고 놀던 벗이란 뜻. 곧 ① 어렸을 때의 벗. 소꼽동무. ② 어렸을 때 친하게 사귄 사이. ③ 어렸을 때부터의 오랜 친구. 진(晉:東晉)나라 12대 황제인 간문제(簡文帝:371~372) 때의 일이다. 촉(蜀) 땅을 평정하고 돌아온 환온(桓溫)의 세력이 날로 커지자 간문제는 환온을 견제하기 위해 은호(殷浩)라는 은사(隱士)를 건무장군(建武將軍) 양주자사(揚州刺史)..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준조절충 (樽俎折衝)[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교섭에서 유리하게 담판하거나 흥정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준조절충 (樽俎折衝) 樽:술통 준. 俎:도마 조. 折:꺾을 절. 衝:충돌할 충. [유사어] 준조지사(樽俎之師). [출전]《晏子春秋》〈內篇〉 ‘술자리[樽俎(間)]에서 유연한 담소(談笑)로 적의 창끝을 꺾어 막는다[折衝]는 뜻으로, 외교를 비롯하여 그 밖의 교섭에서 유리하게 담판하거나 흥정함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제(齊)나라 장공(莊公)이 신하인 최저(崔杼)에게 시해되자 동생이 뒤를 잇고 경공(景公)이라 일컬었다. 경공은 최저를 좌상(左相)에 임명하고 그를 반대하는 자는 죽이기로 맹세까지 했다. 이어 모든 신하가 맹세했다. 그러나 단 한 사람, 안영(晏嬰:晏子)만은 맹세하지 않고 하늘을 우러러보며 탄식했다고 한다. ‘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중과부적 (衆寡不敵)[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한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중과부적 (衆寡不敵) 衆:무리 중. 寡:적을 과. 不:아니 불. 敵:대적할‧원수‧적수 적. [출전]《孟子》〈梁惠王篇〉 적은 수효가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 전국 시대, 제국을 순방하며 왕도론(王道論)을 역설하던 맹자가 제(齊)나라 선왕(宣王)에게 말했다. “전하 스스로는 방일(放逸)한 생활을 하시면서 나라를 강하게 만들고 천하의 패권(覇權)을 잡으려 드시는 것은 그야말로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과 같사옵니다.” “아니, 과인의 행동이 그토록 나쁘단 말이오?” “가령, 지금 소국인 추(鄒)나라와 대국인 초(楚)나라가 싸운다면 어느 쪽이 이기겠나이까?” “그야, 물론 초나라가 이길 것이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