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움/고사성어 322

우공이산 (愚公移山)[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떤 큰 일이라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우공이산 (愚公移山) 愚:어리석을 우. 公:귀 공. 移:옮길 이. 山:메 산. [유사어] 마부작침[磨斧作針(鍼)], 수적천석(水適穿石), 적토성산(積土成山). [출전]《列子》〈湯問篇〉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 일이라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의 비유. 춘추 시대의 사상가 열자[列子:이름은 어구(禦寇)]의 문인들이 열자의 철학 사상을 기술한《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에 다음과 같은 우화가 실려 있다. 먼 옛날 태행산(太行山)과 왕옥산(王玉山) 사이의 좁은 땅에 우공(愚公)이라는 90세 노인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사방 700리에 높이가 만 길[仞]이나 되는 두 큰 산이 집 앞뒤를 가로막고 있어 왕래에 장애가 되었다. 그래서 우공은 어느..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원교근공 (遠交近攻)[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원교근공 (遠交近攻) 遠:멀 원. 交:사귈 교. 近:가까울 근. 攻:칠 공. [참조] 누란지위(累卵之危). [출전]《史記》〈范雎列傳〉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 전국 시대, 위(魏)나라의 책사(策士)인 범저(范雎)는 제(齊)나라와 내통하고 있다는 모함에 빠져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했으나 진(秦)나라의 사신 왕계(王稽)를 따라 함양(咸陽)으로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진나라 소양왕(昭襄王)은 진나라는 ‘알을 쌓아 놓은 것처럼 위태롭다[累卵之危]’고 자국(自國)의 정사를 혹평한 범저를 환영하지 않았다. 따라서 범저는 소양왕에게 자신의 장기인 변설(辯舌)을 펼쳐 볼 기회도 없었다. 그런데 소양왕..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먼 데 있으면 급할 때 아무 소용이 없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遠:멀 원. 水:물 수. 不:아니 불. 救:구원할 구. 近:가까울 근. 火:불 화. [출전]《韓非子》〈說林篇〉 ‘먼 데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는 뜻으로, 먼 데 있으면 급할 때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 《한비자(韓非子)》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춘추 시대, 노(魯)나라 목공(穆公)은 아들들에게도 진(晉)나라와 형(荊)나라를 섬기게 했다. 그 무렵 노나라는 이웃 나라인 강국 제(齊)나라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그래서 위급할 때 진나라와 형나라 같은 강국의 도움을 받으려는 속셈에서였다. 목공의 그런 속셈을 이서(梨鉏)가 간했다.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 먼 월(越)나라에서 사람을 청해다가 구하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원입골수 (怨入骨髓)[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원한이 뼈에 사무친다는 뜻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원입골수 (怨入骨髓) 怨:원망할 원. 入:들 입. 骨:뼈 골. 髓:골수 수. [원말] 원입어골수(怨入於骨髓). [동의어] 원철골수(怨徹骨髓), 한입골수(恨入骨髓). [출전]《史記》〈秦本紀〉 원한이 뼈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원한이 마음 속 깊이 맺혀 잊을 수 없다는 말. 춘추시대 오패(五霸)의 한 사람인 진(秦)나라 목공(繆公)은 중신 백리해(百里奚)와 건숙(蹇叔)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 장군에게 정(鄭)나라를 치라고 명했다. 진나라 군사가 주(周)나라의 북문에 이르렀을 때 마침 이곳에 소를 팔러 온 정나라의 소장수인 현고(弦高)는 진나라 장군 앞으로 나아가 이렇게 말했다. “정나라 주상(主上)께서는 장병들을 위로하시기 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월단평 (月旦評)[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물에 대한 비평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월단평 (月旦評) 月:달 월. 旦:아침 단. 評:평론할 평. [준말] 월단(月旦). [동의어] 월조평(月朝評). [출전]《後漢書》〈許劭專〉 ‘매달 첫날의 평’이란 뜻으로, 인물에 대한 비평을 일컫는 말. 후한(後漢) 말, 12대 황제인 영제(靈帝:167~189) 17년(184)에 일어난 ‘황건(黃巾)의 난(亂)’ 때 큰 공을 세운 조조(曹操)가 아직 두각을 나타내기 전 일이다. 그 무렵, 여남(汝南:호북성 내) 땅에 허소(許劭)와 그의 사촌 형 허정(許靖)이라는 두 명사가 살고 있었다. 이 두 사람은 ‘매달 첫날[月旦]’이면 허소의 집에서 향당(鄕黨:향-1만 2500집, 당-500집)의 인물을 뽑아 비평했는데 그 비평이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월하빙인 (月下氷人)[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결혼 중매인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월하빙인 (月下氷人) 月:달 월. 下:아래 하. 氷:얼음 빙. 人:사람 인. [동의어] 월하로(月下老), 빙상인(氷上人), 빙인(氷人). [유사어] 적승(赤繩). [출전]《續幽怪錄》,《晉書》〈索耽篇〉 월하로(月下老)와 빙상인(氷上人)이 합쳐진 것으로, 결혼 중매인을 일컫는 말. ① 당나라 2대 황제인 태종(太宗)때의 이야기이다. 위고(韋固)라는 젊은이가 여행 중에 송성(宋城:하남성 내)에 갔을 때 ‘달빛 아래 한 노인[月下老]’이 손에 빨간 끈을[赤縄]을 든 채 조용히 책장을 넘기고 있었다. 위고가 ‘무슨 책을 읽고 있느냐’고 묻지 그 노인은 이렇게 대답했다. “이 세상에 혼사에 관한 책인데, 여기 적혀 있는 남녀를 이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은감불원 (殷鑑不遠)[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은감불원 (殷鑑不遠) 殷:은나라 은. 鑑:거울 감. 不:아니 불. 遠:멀 원. [원말]~재하후지세(在夏后之世). [동의어] 상감불원(商鑑不遠). [유사어] 복차지계(覆車之戒), 복철(覆轍). [참조] 주지육림(酒池肉林), 맥수지탄(麥秀之嘆). [출전]《詩經》〈大雅篇〉 은(殷)나라 왕이 거울로 삼아야 할 멸망의 선례는 먼데 있지 않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고대 중국 하(夏)‧은(殷)‧주(周)의 3왕조 중 은왕조의 마지막 군주인 주왕(紂王)은 원래 지용(智勇)을 겸비한 현주(賢主)였으나 그를 폭군 음주(淫主)로 치닫게 한 것은 정복한 오랑캐의 유소씨국(有蘇氏國)에서 공물로 보내 온 달기(妲己)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읍참마속 (泣斬馬謖)[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법의 공정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情)을 버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읍참마속 (泣斬馬謖) 泣:울 읍. 斬:벨 참. 馬:말 마. 謖:일어날 속. [출전]《三國志》〈蜀志 諸葛亮專〉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 곧 ① 법의 공정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情)을 버림의 비유. ② 큰 목적을 위해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가차없이 버림의 비유. 삼국시대 초엽인 촉(蜀)나라 건흥(建興) 5년(227) 3월, 제갈량(諸葛亮)은 대군을 이끌고 성도(成都)를 출발했다. 곧 한중(漢中:섬서성 내)을 석권하고 기산(祁山:감숙성 내)으로 진출하여 위(魏)나라 군사를 크게 무찔렀다. 그러자 조조(曹操)가 급파한 위나라의 명장 사마의[司馬懿:자는 중달(中達), 179~251]는 20만 대군으로 기산의 산야에 부채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의심암귀 (疑心暗鬼)[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선입관은 판단을 빗나가게 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의심암귀 (疑心暗鬼) 疑:의심할 의. 心:마음 심. 暗:어두울 암. 鬼:귀신 귀. [원말]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 [유사어] 절부지의(竊斧之疑), 배중사영(杯中蛇影). [출전]《列子》〈說符篇〉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있지도 않은 귀신이 나오는 듯이 느껴진다는 뜻. 곧 ① 마음속에 의심이 생기면 갖가지 무서운 망상이 잇달아 일어나 불안해짐. ② 선입관은 판단을 빗나가게 함. ① 어떤 사람이 소중히 아끼던 도끼를 잃어버렸다. 도둑 맞은 게 틀림없다는 생각이 들자 아무래도 이웃집 아이가 수상쩍다. 길에서 마주쳤을 때에도 슬금슬금 도망갈 듯한 자세였고 안색이나 말투도 어색하기만 했다. ‘내 도끼를 훔쳐 간 놈은 틀림없이 그 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이목지신 (移木之信)[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을 속이지 아니한 것을 밝힘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이목지신 (移木之信) [동의어] 사목지신(徙木之信). [반의어] 식언(食言). [출전]《史記》〈商君列專〉 위성자가 나무 옮기기로 백성들을 믿게 한다는 뜻. 곧 ① 남을 속이지 아니한 것을 밝힘. ② 약속을 실행함. 진(秦)나라 효공(孝公) 때 상앙(商鞅:?~B.C. 338)이란 명재상이 있었다. 그는 위(衛)나라의 공족(公族) 출신으로 법률에 밝았는데 특히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한 부국 강병책(富國强兵策)을 펴 천하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정치가로 유명했다. 한 번은 상앙이 법률을 제정해 놓고도 즉시 공포하지 않았다. 백성들이 믿어 줄지 그것이 의문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앙은 한 가지 계책을 내어 남문에 길이 3장(三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