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대원군이라고 불리운 사람은 단 4명뿐이다. 이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본다.
1. 덕흥대원군
조선 최초의 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본관 전주(全州), 휘는 이초(李岹), 자는 경앙(景仰), 아명(兒名)은 환수(歡壽). 조선 제14대 임금 선조의 생부로 선조는 덕흥대원군을 왕으로 추존하려 하였으나 신하들의 반대한다. 1569년(선조 2년) 11월 1일에 선조는 북송 영종의 생부 복왕(濮王)을 추존하는 고사를 따라 생부 덕흥군을 추숭하여 덕흥대원군으로, 생모 하동군부인은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으로 추존하고, 나라에서 제사를 지내 고하려면 황백부모(皇伯父母)를 칭한다.
선조의 친형 하원군 정에게는 작위 정1품에, 4대에게 작위를 내리고 덕흥대원군묘를 봉사하게 하였다. 이후 잠저(도정궁) 후원에 가묘(家廟, 덕흥궁)를 세워 신위는 백세토록 조천하지 않는 것으로 정하였다.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수락산에 있다.
2. 정원대원군 (원종)
인조의 아버지로 성은 이(李), 휘는 부(琈), 본관은 전주(全州), 정식 시호는 원종공량경덕인헌정목장효대왕(恭良敬德仁憲靖穆章孝大王)이며 명나라로부터 공량(恭良)의 시호를 받았다. 명나라로부터 시호를 받은 마지막 왕이다.
대원군에서 왕으로 추존되었는데 시호는 원종(元宗, 1580년 8월 2일/음력 6월 22일 ~ 1619년 음력 12월 29일)으로 불린다.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생전의 작위는 정원군(定遠君)이고 사후에 대원군으로 추존되었다가 인조에 의해 다시 왕으로 추존된 것이다.
3. 전계대원군
철종의 아버지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경기도 강화군 출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광(㼅), 자는 창강(昌康), 초명은 해동(海東)이다. 장조의 서자 은언군의 5남이며 서자로 정조에게는 조카가 된다. 이복 형 상계군과 아버지 은언군에 연루되어 강화도로 추방되어 빈농으로 생애를 마쳤다. 은언군의 서자라 작위가 내려지지 않았다.
소실 중 한명인 용성염씨에게서 얻은 셋째 서자 원범(철종)이 1849년 순조의 양자 자격으로 왕위에 오르면서 전계군(全溪君)의 작호가 내려졌다가, 다시 대원군으로 추봉되어 전계대원군이 되었다. 1841년(헌종 7) 12월 14일(음력 11월 2일) 사저에서 원인모를 병에 걸려 향년 57세로 사망하였다.
4. 흥선대원군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음력 11월 16일(양력 12월 21일) ~ 1898년 음력 2월 2일(양력 2월 22일))은 본관은 전주(全州), 한성 출신으로 자는 시백(時伯), 호는 석파(石坡)·해동거사(海東居士), 이름은 이하응(李昰應)이다. 1907년 10월 1일 대원왕(大院王)으로 추봉되었고, 헌의(獻懿)를 시호로 받아 흥선헌의대원왕(興宣獻懿大院王)이 되었다. 왕 대신 일반적으로 흥선대원군으로 부른다.
남연군(원래는 인평대군의 6대손이나 후에 양자 입적)과 군부인 민씨의 넷째 아들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친아버지 자격으로 1863년 어린 고종을 대신해 섭정을 했다. 과단성 있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며느리 민씨와 권력다툼을 벌렸고, 경복궁 재건 등으로 재정을 낭비하는 등 많은 실정을 하기도 했다.
1896년 아관파천이 일어나자 대원군은 은퇴하여 양주로 가서 은거하다가 1898년 1월 부인 여흥부대부인의 죽음을 본 후, 2월 운현궁 별장 아소당 정침(正寢)에서 죽었다. 장례식에 아들 고종이 불참할 정도로 사이는 좋지 않았다. 1898년 5월 16일 한성부 성저십리 서강방 상수일리에 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와 처음 묻혔다가 1908년(융희 2년) 1월 30일 경기도 파주군 운천면 대덕동(雲川面 大德洞) 산 동쪽 언덕으로 이장되었다.] 1907년 왕의 예로써 다시 장례하라는 명이 내려진 이후 흥원의 천봉은 융희(隆熙) 원년(1907년) 11월10일에 시작돼 융희 2년(1908년) 2월1일에 마무리됐다. 1966년 6월 16일 다시 경기도 남양주군으로 이장되었다.
이상 조선시대 4명의 대원군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봤다.
'역사 > 국사-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종의 러시아공사관 피신 아관파천 (俄館播遷)의 뜻과 역사적 의미 (0) | 2016.07.21 |
---|---|
조선후기 이인좌의 난(李麟佐亂) 내용과 영향 (0) | 2016.03.29 |
조선을 여성차별 국가로 만든 세종대왕 (조선 세종 朝鮮 世宗) (2) | 2015.12.14 |
고려멸망 조선건국의 원인 요동정벌과 위화도 회군 (0) | 2015.12.08 |
3일천하 갑신정변(甲申政變) 원인과 배경, 실패 이유, 평가 (1) | 2015.12.04 |
정유재란,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露梁海戰) (0) | 2015.07.27 |
정유재란, 순천왜성 전투 이순신 최후의 승리 장도해전(獐島海戰) 설명 (0) | 2015.07.27 |
정유재란, 사로병진작전 (四路竝進作戰)과 사천 전투(泗川 戰鬪, 사천성전투) (1) | 2015.07.27 |
조선 수군의 대승 절이도 해전(折爾島海戰)이 평가 절하된 이유 설명 (0) | 2015.07.24 |
정유재란 최대 전투, 임진왜란을 사실상 종식시킨 울산성 전투(蔚山城戰鬪) (1) | 201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