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국사

한국사 연대표 (AD 1500년부터 1699년까지 한국의 역사)

올드코난 2017. 4. 16. 00:19
반응형

韓國史(한국사) 연대표 (기원후 AD 1500년부터 1699까지 한국의 역사 연대표 정리)

1502 하삼도(下三道) 주민 1,600호를 평안˙함경˙황해도에 이주시킴.

1503 김감불(金甘佛)˙김검동(金儉同) 등이 연철(鉛鐵)에서 () 분리하는 제련법을 발명.

1504 갑자사화(甲子士禍).

1506 중종반정(中宗反正).

1507 이과(李顆) 등이 반란을 꾀하다 발각되어 옥사.

1510 삼포왜란(三浦倭亂), 황형(黃衡)˙유담년(柳聃年) 등이 이를 평정.

1512 일본과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하여 세견선(歲遣船) 세사미(歲賜米) 반감함.

1515 을해동활자(乙亥銅活字) 주조.

1517 김안국(金安國) 여씨향약(呂氏鄕約) 간행하여 반포.

1518 소격서(昭格署) 혁파하고, 소장한 그림을 도화서(圖畵署) 이장(移藏).

1519 기묘사화(己卯士禍)

1520 제주의 한지(閑地) 군량을 마련하기 위해 둔전(屯田) 설치.

1527 동궁에 작서(灼鼠) 변이 일어남. 4, 최세진(崔世珍) 훈몽자회(訓蒙字會) 지음.

1530 이행(李荇) 등이 신증동국여지승람 편찬.

1532 조정관리의 녹봉을 감하여 구황(救荒) 충당.

1538 동국여지승람 기록되지 않는 사찰을 폐지함.

1543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건립.

1544 4, 사량진왜란(蛇梁鎭倭亂).

1545 조광조 복관(復官)되고, 현량과 다시 실시. 왕대비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가 섭정. 8, 을사사화(乙巳士禍).

1547 정미사화(丁未士禍). 대마도주(對馬島主) 정미약조 체결(수호조약을 개정).

1549 이홍윤(李洪胤) 일어남.

1550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紹修書院) 편액을 하사함(사액서원의 시초). 12, 선교양종(禪敎兩宗) 다시 .

1551 양종선과(兩宗禪科) 설치하고 시경승(試經僧)에게 도첩(度牒) 발급.

1555 을묘왜변(乙卯倭變).

1559 황해도에서 임꺽정(林巨正) 일어남(~1562). 이황(李滉) 기대승(奇大升) 사이에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관한 서신왕래 시작(~1566).

1560 이황, 예안(禮安) 도산서원(陶山書院) 세움(75년에 사액).

1561 10, 이정(李楨) 경주에 서악서원(西岳書院) 세우고 설총(薛聰)˙김유신˙최치원을 향사(享社). 이지함이 토정비결 지음.

1562 임꺽정의 난을 평정.

1567 명종 죽고(1534~), 선조(宣祖) 즉위(~1608).

1572 이이(李珥) 성혼(成渾) 사이에 사단칠정론에 관하여 서신 왕래 시작(~1578).

1574 안동에 도산서원(陶山書院) 세우고 이황을 향사(75년에 사액).

1575 대마도주(對馬島主) 왜국이 조선침략을 위해 전선을 건조하고 있음을 통지. 7, 심의겸(沈義謙)˙김효원(金孝元) 동서당론이 일어남.

1577 이이, 격몽요결(擊蒙要訣) 간행.

1583 이이,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 건의함.

1589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 일어남.

1592 임진왜란(壬辰倭亂) 시작. 일본침략군 21만이 부산포에 상륙. 옥포해전에서 왜선 26척을 대파. ()나라의 1차원군 압록강을 건너옴.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 명나라의 2차원군 4만이 압록강을 건너옴.

1593 왜군이 철수 시작. 선조가 한성으로 귀환.

1597 정유재란(丁酉再亂), 20만의 왜군 상륙. 원균(元均) 휘하의 수군이 칠천(漆川)˙고성(固城)에서 대패.

1598 이순신(李舜臣)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 왜군 철수.

1601 한성에 동묘(東廟) 건립.

1603 이광정(李光庭) 권희(權憘) 연경에서 마테오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 가져옴.

1604 유정(惟政) 쓰시마섬과 일본에 보내어 그곳 사정을 알아보게 .

1605 유정이 포로 3,000 명을 데리고 일본에서 귀국.

1608 선조 죽고, 왕세자 즉위(광해군).

1610 허준(許浚) 동의보감 25 찬진.

1613 영창대군의 관작을 삭탈하고 서인으로 . 폐모론 일어남.

1614 강화부사 정항(鄭沆) 영창대군을 죽임.

1618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대북파 정권 장악.

1619 명나라에 1 명의 원군 파견.

1623 김류 등이 광해군을 폐하고 능양군(綾陽君) 추대, 정권을 잡음(인조반정).

1624 이괄(李适) 반란을 일으킴.

1626 호패법시행. 남한산성을 쌓고 수어청을 .

1627 후금이 조선에 침입(정묘호란). 인조가 강화로 피신.

1628 2, 명나라의 숭정연호(崇禎年號) 사용.

1630 무감(武監) 설치.

1633 척화(斥和) 교를 내리고, 후금의 침략에 대비케 . 임경업(林慶業)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 임명. 상평청에서 상평통보(常平通寶) 주전.

1635 금나라 사신 마부대(馬夫大) 국서를 전함.

1636 후금의 국서를 거절. 금나라 사신 용골대(龍骨大) . 청군 침입(병자호란).

1637 강화도 함락됨. 인조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 인조 환궁. 왕세자 일행 불모가 되어 선양[瀋陽] 도착. 명나라 연호를 폐지하고 청나라 연호를 .

1640 세자 선양에서 돌아옴.

1645 소현세자, 독일인 신부 아담 (湯苦望)로부터 천문˙산학(算學)˙천주교에 관한 서적 등을 받아 가지고 한성으로 돌아 옴. 왕세자(소현세자) 죽음. 봉림대군(鳳林大君) 한성으로 돌아와 세자로 책봉됨.

1649 인조 죽음. 세자 봉림대군 즉위(효종). 관상감 청나라 역서에 따라 역법(曆法) 고침.

1652 연경에 천문학관을 보내어 시헌력법(時憲曆法) 배워오게 . 어영청(御營廳) 설치.

1653 제주목사, 네덜란드인 하멜 일행의 화순포(和順浦) 표착을 보고.

1655 추쇄도감을 두고 전국의 노비를 추쇄, 강화(江華)방비에 임하게 . 일본통신사 조형(趙珩) 일행 부산에서 대마도로 떠남.

1657 최유지(崔攸之) 천문관측기구를 제작.

1658 청나라가 러시아정벌에 원군을 요청해 .

1659 효종 죽음. 왕세자 즉위(현종).

1660 남인˙서인 간에 예론시비(禮論是非) 시작됨. 전라도 산간군(山間郡) 대동법 실시.

1662 현종 창덕궁으로 옮김. 고려조의 능침(陵寢) 봉식(封植).

1671 현종 경덕궁으로 옮김. 전국적으로 대기근. 경기˙충청도에서 민란 일어남.

1674 현종 죽음. 세자 즉위(숙종). 북한산성을 수축함.

1679 강화에 돈대(燉臺) 축조함.

1682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설치.

1687 금위영(禁衛營) 폐지. 숙종 탕평책(蕩平策) 유시함.

1688 창덕궁 금호문 밖에 관천대(觀天臺) 축조.

1689 세자책봉문제로 노론(老論)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기사환국). 왕비 인현왕후 민씨 폐출됨.

1690 장희빈을 왕비로 책봉함.

1692 숙종 창덕궁으로 돌아옴. 북경에서 동을 수입, 화폐 주조.

1694 노론에 의해 남인 몰락(갑술옥사). 4, 폐비 민씨를 복위하고 왕후 장씨를 다시 희빈으로 강등. 수도 방위를 위해 문수산에 성을 쌓음.

1697 장길산(張吉山) 이끈 농민군 봉기. 도성안의 거지들을 섬으로 보냄. 막부(幕府) 통하여 왜인의 울릉도 출입금지를 보장받음.

1698 숙종 탕평책을 지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