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국사

한국사 연대표 (기원후 AD 1920년부터 1939년까지 한국의 역사)

올드코난 2017. 4. 16. 00:28
반응형

韓國史(한국사) 연대표 (기원후 AD 1920년부터 1939까지 한국의 역사 연대표 정리)

1920 1 6, 총독부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신보(時事新報) 발행을 허가. 4 28, 영친왕 이은(李垠), 일본에서 황족 마사코[方子] 결혼. 6 25, 월간종합지 개벽(開闢) 창간. 7 13, 고원훈(高元勳)˙김성수(金性洙) 조선체육회 창립. 25, 오상순(吳相淳) 등에 의해 폐허(廢墟) 창간. 10 20, 김좌진(金佐鎭)˙지청천(池靑天) 휘하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청산리(靑山里)에서 대승(청산리대첩). 유관순(柳寬順), 옥중에서 죽음. 윤심덕(尹心悳), 일본에서 한국인 최초로 레코드 취입.

1921 1 2,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독립 지원 요청. 12 3,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16, 조선어연구회 창립(대표 任景宰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 최초의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 1 7, 조선불교도총회, 30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 모스크바에서 극동민족 무산자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23.9. 통권 3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 3 31, 총독부, 신교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조선공립학교 관제 공포(4.1.시행). 6 1, 1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 개최(~6.21). 6,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비행 성공.

1923 1,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3,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 9 2,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미수 혐의로 도쿄경시청에 구금됨. 9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 창간.

1924 1 4,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 나주바시[二重槁] 폭탄 투척(二重槁사건). 3 31,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 17, 서울에서 전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 2,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전국여자배구대회 사진> 촬영˙제작. 8 5,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 문인 30 ,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1925 1 3,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 17,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 11 27, 신의주에서 1 공산당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 체포. 10 13,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참배 거부. 15, 서울운동장 개장.

1926 1 2,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학살사건 발생. 4 1,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 순종(純宗) 승하. 27, 영친왕 (), 왕위계승. 6˙10만세 사건. 9,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 경성방송국 창립. 12 28,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

1927 4 7, 이상재(李商在)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 1, 경성~오사카[大阪] 정식으로 무선통신 개통. 2,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시간 29 37) 수립.

1928 3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김구(金九) , 상하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6 5, 이영행(李永行)˙방용배(方龍培),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우리말본(1) 간행.

1929 4 1, 여의도비행장 개장. 일본항공수송주(), 도쿄~울산 , 울산~타이롄[大連] 항공로 개설. 6 24, 총독부 독직(瀆職)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 8 17, 총독에 사이토[齋藤實] 재임. 11 3, 광주학생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 13, 신간회 44, 근우회 간부 47 검거됨(민중대회사건). ,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 1 24,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 수업 마비상태. 8 7, 평양고무 근로자들 1,800 , 임금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 1,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도제(道制) 공포.

1931 3 29,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 18, 임시정부, 삼균제도(三均制度) 건국원칙으로 천명. 6 17,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 2,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 농민 충돌(만보산사고). 서울˙인천˙평양 전국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하에 일본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한인애국단 조직.

1932 1 8,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 29,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홍커우공원에서 일황생일경축식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 옮김.

1933 2,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공박. 11 4,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 기념식 갖고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1934 5 7, 이병도˙김윤경˙이병기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 11, 조선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 겸이포제철(兼二浦製鐵), 1, 부산~신경(新京)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 4 15, 회령(會寧) 유선(遊仙)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 갱부 매몰. 7 5,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민족당˙대한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 3, 청진(淸津)비행장 개장.

1936 8 26,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일장기(日章旗) 말소 보도(8.25). 29,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 23, 한강인도교 개통(381`m). 12 12,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 공포(12.21. 시행).

1937 3 10, 총독부 강권에 따른 1 간도이민단 일행 1 2000 출발. 5 만주 동북(東北)항일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주재소 습격(보천보사건). 6 7, 안창호 150 ,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헌납을 강요. 11,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 이전.

1938 2 9,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제도 창설. 3 3,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학교, 신사참배 거부하고 폐교. 7,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 2, 광복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공작대 조직. 3, 임시정부, 쓰촨성[四川省]으로 옮김. 7 3, 경방단(警防團)규칙 공포. 22,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 개통식. 9 28,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 총독부, 국민정용령 발동(10.1.~45년까지 45 동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