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연목구어 (緣木求魚)
緣:인연‧인할 연. 木:나무 목. 求:구할 구. 魚:고기 어.
[유사어] 지천사어(指天射魚). [출전]《孟子》〈梁惠王篇〉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 곧
① 도저히 불가능한(가당찮은) 일을 하려 함의 비유.
② 잘못된 방법으로 목적을 이루려 함의 비유.
③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의 비유.
전국 시대인 주(周)나라 신정왕(愼靚王) 3년(B.C. 318), 양(梁:魏)나라 혜왕(惠王)과 작별한 맹자(孟子)는 제(齊)나라로 갔다. 당시 나이 50이 넘는 맹자는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인의(仁義)를 치세의 근본으로 삼는 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유세(遊說)중이었다.
동쪽의 제나라는 서쪽의 진(秦)나라, 남쪽이 초(楚)나라와 함께 대국이었고 또 선왕(宣王)도 역량 있는 명군이었다. 그래서 맹자는 그 점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그러나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왕도정치가 아니라 무력과 책략을 수단으로 하는 패도정치(覇道政治)였으므로, 선왕은 맹자에게 이렇게 청했다.
“춘추 시대의 패자(覇者)였던 제나라 환공(桓公)과 진(晉)나라 문공(文公)의 패업(霸業)에 대해 듣고 싶소.”
“전하께서는 패도에 따른 전쟁으로 백성이 목숨을 잃고, 또 이웃 나라 제후들과 원수가 되기를 원하시옵니까?”
“원하지 않소. 그러나 과인에겐 대망(大望)이 있소.”
“전하의 대망이란 무엇이오니까?”
선왕은 웃기만 할 뿐 입을 열려고 하지 않았다.
맹자 앞에서 패도를 논하기가 쑥스러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맹자는 짐짓 이런 질문을 던져 선왕의 대답을 유도했다.
“전하,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옷이, 아니면 아름다운 색이 부족하시기 때문이오니까?”
“과인에겐 그런 사소한 욕망은 없소.”
선왕이 맹자의 교묘한 화술에 끌려들자 맹자는 다그치듯 말했다.
“그러시다면 전하의 대망은 천하통일을 하시고 사방의 오랑캐들까지 복종케 하시려는 것이 아니오니까? 하오나 종래의 방법(무력)으로 그것(천하통일)을 이루려 하시는 것은 마치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과 같사옵니다.”
‘잘못된 방법(무력)으론 목적(천하통일)은 이룰 수 없다’는 말을 듣자 선왕은 깜짝 놀라서 물었다.
“아니, 그토록 무리한 일이오?”
“오히려 그보다 더 심하나이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일은 물고기만 구하지 못할 뿐 후난(後難)은 없나이다. 하오나 패도를 쫓다가 실패하는 날에는 나라가 멸망하는 재난을 면치 못할 것이옵니다.”
선왕은 맹자의 왕도정치론을 진지하게 경청했다고 한다.
'배움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롱중물 (藥籠中物)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항상 곁에 없어서는 안 될 긴요한 인물(심복) (0) | 2012.10.05 |
---|---|
양두구육 (羊頭狗肉)[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음 (0) | 2012.10.05 |
양약고구 (良藥苦口)[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린다 (0) | 2012.10.05 |
어부지리 (漁父之利)[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쌍방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챙긴다는 말 (0) | 2012.10.05 |
여도지죄 (餘桃之罪)[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애정과 증오의 변화가 심함 (0) | 2012.10.05 |
오리무중 (五里霧中)[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사물의 행방이나 사태의 추이를 알 길이 없음 (0) | 2012.10.05 |
오손공주 (烏孫公主)[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정략 결혼의 희생양 (0) | 2012.10.05 |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론 마찬가지 (0) | 2012.10.05 |
오월동주 (吳越同舟)[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적의를 품은 사람끼리라도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도움 (0) | 2012.10.05 |
오합지중 (烏合之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갑자기 모인 훈련 없는 군세 (0) | 201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