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움/고사성어 322

농단 (壟斷)[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이익을 독점함

2016년 최순실의 국정농단에 대해 전국민이 분노를 느끼고 있다. 여기서 나오는 농단이라는 단어의 유래에 대해 정리해 본다. 농단 (壟斷) 壟:언덕 롱. 斷:끊을 단. [원말] 농단(籠斷). [출전]《孟子》〈公孫추篇(공손추편)〉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아 있는 언덕이란 뜻. 곧 ① 재물을 독차지함. ② 이익을 독점함. 전국시대, 제(齊)나라 선왕(宣王) 때의 일이다. 왕도정치(王道政治)의 실현을 위해 제국을 순방 중이던 맹자는 제나라에서도 수년간 머물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귀국하려 했다. 그러자 선왕은 맹자에게 높은 봉록을 줄 테니 제나라를 떠나지 말아 달라고 제의했다. 그러나 맹자는 거절했다. “전하, 제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데도 봉록에 달라붙어서 ‘재물을 독차지[壟斷]’할 생각은 없나이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누란지위 (累卵之危)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위태로운 형세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누란지위 (累卵之危) 累:여러‧포갤 루. 卵:알 란. 之:갈 지(…의). 危:위태할 위. [준말] 누란(累卵). [동의어] 위여누란(危如累卵). [참조] 원교근공(遠交近攻). [출전]《史記》〈范雎列傳〉 알을 쌓아(포개) 놓은 것처럼 위태로운 형세의 비유. 전국시대, 세 치의 혀[舌] 하나로 제후를 찾아 유세하는 세객(說客)들은 거의 모두 책사(策士)‧모사(謀士)였는데, 그 중에서도 여러 나라를 종횡으로 합쳐서 경륜하려던 책사‧모사를 종횡가(縱橫家)라고 일컬었다. 위(魏)나라의 한 가난한 집 아들로 태어난 범저(范雎)도 종횡가를 지향하는 사람이었으나 이름도 연줄도 없는 그에게 그런 기회가 쉽사리 잡힐 리 없었다. 그래서 우..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능서불택필 (能書不擇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능서불택필 (能書不擇筆) 能:능할 능. 書:글 서. 不:아니 불. 擇:가릴 택. 筆:붓 필. [출전]《唐書》〈歐陽詢傳〉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 곧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데 종이나 붓 따위의 재료 또는 도구를 가리는 사람이라면 서화의 달인이라고 할 수 없다는 말. 당나라는 중국사상 가장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나라의 하나였다. 당시 서예의 달인으로는 당초 사대가(唐初四大家)로 꼽혔던 우세남(虞世南)‧저수량(褚遂良)‧유공권(柳公權)‧구양순(歐陽詢) 등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의 서체를 배워 독특하고 힘찬 솔경체(率更體)를 이룬 구양순이 유명한데 그는 글씨를 쓸 때 붓..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다기망양 (多岐亡羊)[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방침이 많아 갈 바를 모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다기망양 (多岐亡羊) 多:많을 다. 岐:가닥나뉠 기. 亡:잃을 망. 羊:양 양. [동의어] 망양지탄(亡羊之歎). [유사어] 독서망양(讀書亡羊). [출전]《列子》〈說符篇〉 달아난 양을 찾는데 길이 여러 갈래로 갈려서 양을 잃었다는 뜻. 곧 ① 학문의 길이 다방면으로 갈려 진리를 찾기 어려움의 비유. ② 방침이 많아 갈 바를 모름. 전국시대의 사상가로 극단적인 개인주의를 주장했던 양자[楊子:이름은 주(朱), B.C.395?~335?]와 관계되는 이야기이다. 어느 날 양자의 이웃집 양 한 마리가 달아났다. 그래서 그 집 사람들은 물론 양자네 집 하인들까지 청해서 양을 찾아 나섰다. 하도 소란스러워서 양자가 물었다. “양 한 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다다익선 (多多益善)[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다다익선 (多多益善) 多:많을 다. 益:더할 익. 善:착할‧좋을‧잘할 선. [동의어] 다다익판(多多益瓣) [출전]《史記》〈淮陰侯列傳〉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는 뜻. 한(漢)나라 고조 유방(劉邦)은 명장으로서 천하 통일의 일등 공신인 초왕(楚王) 한신(韓信)을 위험한 존재로 여겼다. 그래서 계략을 써 그를 포박한 후 회음후(淮陰侯)로 좌천시키고 도읍 장안(長安)을 벗어나지 못하게 했다. 어느 날, 고조는 한신과 여러 장군들의 능력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던 끝에 이렇게 물었다. “과인은 몇 만의 군사를 통솔할 수 있는 장수감이라고 생각하오?” “아뢰옵기 황공하오나 폐하께서는 한 10만쯤 거느릴 수 있으실 것으로 생각하나이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단장 (斷腸)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큰 슬픔을 뜻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단장 (斷腸) 斷:끊을 단. 腸:창자 장. [유사어] 구회지장(九回之腸). [출전]《世說新語》 채염(蔡琰)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뜻. 전하여, 창자가 끊어질 듯한 슬픔의 비유. 진(晉:東晉, 317~420) 나라의 환온(桓溫)이 촉(蜀) 땅을 정벌하기 위해 여러 척의 배에 군사를 나누어 싣고 양자강 중류의 협곡인 삼협(三峽)을 통과할 때 있었던 일이다. 환온의 부하 하나가 원숭이 새끼 한 마리를 붙잡아서 배에 실었다. 어미 원숭이가 뒤따라왔으나 물 때문에 배에는 오르지 못하고 강가에서 슬피 울부짖었다. 이윽고 배가 출발하자 어미 원숭이는 강가에 병풍처럼 펼쳐진 벼랑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필사적으로 배를 쫓아왔다. 배는 100..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당랑거철 (螳螂拒轍)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허세, 무모한 행동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당랑거철 (螳螂拒轍) 螳:버마재비 당. 螂:버마재비 랑. 拒:막을 거. 轍:수레바퀴 자국 철. [동의어] 당랑지부(螳螂之斧), 당랑당거철(螳螂當車轍), 당랑지력(螳螂之力). [유사어] 당랑규선(螳螂窺蟬). [출전]《韓語外傳》,《文選》 사마귀[螳螂]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가로막는다는 뜻. 곧 ① 허세. ② 미약한 제 분수도 모르고 강적에게 항거하거나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의 비유. ①《한시외전(韓時外傳)》〈권팔(卷八)〉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춘추 시대, 제(齊)나라 장공(莊公:B.C.794~731) 때의 일이다. 어느 날, 장공이 수레를 타고 사냥터로 가던 도중 웬 벌레 한 마리가 앞발을 ‘도끼처럼 휘두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대기만성 (大器晩成)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대기만성 (大器晩成) 大:클 대. 器:그릇 기. 晩:늦을 만. 成:이룰 성. [대응어] 대방무우(大方無隅). [동의어] 대기난성(大器難成). [유사어] 대재만성(大才晩成). [출전]《三國志》〈魏志 崔琰傳〉.《後漢書》〈馬援傳〉.《老子》〈四十一章〉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뜻. 곧 ①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의 비유. ② 만년(晩年)이 되어 성공하는 일. ③ 과거에 낙방한 선비를 위로하여 이르던 말. ① 삼국 시대, 위(魏)나라에 최염(崔琰)이란 풍채 좋은 유명한 장군이 있었다. 그러나 그의 사촌 동생인 최림(崔林)은 외모가 시원치 않아서인지 출세를 못 하고 일가 친척들로부터도 멸시를 당했다. 하지만 최염만은 최림의 인물됨을 꿰뚫어 보고 이렇게 말했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대의멸친 (大義滅親)[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대의를 위해서는 친족도 멸한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대의멸친 (大義滅親) 大:클 대. 義:옳을 의. 滅:멸할 멸. 親:친할‧육친 친. [출전]《春秋左氏傳》〈隱公三‧四年條〉 대의를 위해서는 친족도 멸한다는 뜻으로, 국가나 사회의 대의를 위해서는 부모 형제의 정도 돌보지 않는다는 말. 춘추 시대인 주(周)나라 환왕(桓王) 원년(元年:B.C.719)의 일이다. 위(衛)나라에서는 공자(公子) 주우(州吁)가 환공(桓公)을 시해하고 스스로 군후의 자리에 올랐다. 환공과 주우는 이복 형제간으로서 둘다 후궁의 소생이었다. 선군(先君) 장공(莊公) 때부터 충의지사로 이름난 대부 석작(石碏)은 일찍이 주우에게 역심(逆心)이 있음을 알고 아들인 석후(石厚)에게 주우와 절교하라고 했으나 듣지 않았다. 석작은 환공의 시대가 되자 은퇴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도외시 (度外視)[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문제삼지 않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도외시 (度外視) 度:법도 도. 外:바깥 외. 視:볼 시. [유사어] 치지도외(置之度外). [반의어] 문제시(問題視). [참조] 오합지중(烏合之衆), 정중지와(井中之蛙). [출전]《後漢書》〈光武記〉 ① 가욋것으로 봄. 안중에 두지 않고 무시함. ② 문제삼지 않음. 불문에 붙임. 후한의 시조 광무제(光武帝)때의 일이다. 광무제 유수(劉秀)는 한(漢:前漢)나라를 빼앗아 신(新)나라를 세운 왕망(王莽)을 멸하고 유현(劉玄)을 세워 황제로 삼고 한나라를 재흥했다. 대사마(大司馬)가 된 유수는 그 후 동마(銅馬)‧적미(赤眉) 등의 반란군을 무찌르고 부하들에게 추대되어 제위에 올랐으나 천하 통일에의 싸움은 여전히 계속되었다. 이윽고..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