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움/고사성어 322

도청도설 (道聽塗說)[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소문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도청도설 (道聽塗說) 道:길 도. 聽:들을 청. 塗:길 도. 說:말씀 설. [유사어] 구이지학(口耳之學), 가담항설(街談巷說), 유언비어(流言蜚語). [출전]《論語》〈陽貨篇〉,《漢書》〈藝文志〉,《荀子》〈勸學篇〉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는 뜻. 곧 ① 설들은 말을 곧바로 다른 사람에게 옮김. ②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소문. ①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논어(論語)》〈양화편(陽貨篇)〉에는 이런 글이 실려 있다.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는 것[道聽塗說]’은 덕을 버리는 것과 같다[德之棄也].” 길거리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간직하여 자기 수양의 양식으로 삼지 않고 길거리에서 바로 다른 사람에게 말해 버리는 것[塗..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독안룡 (獨眼龍)[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애꾸눈의 영웅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독안룡 (獨眼龍) 獨:홀로 독. 眼:눈 안. 龍:용 룡. [출전]《五代史》〈唐記〉,《唐書》〈李克用傳〉 애꾸눈의 용이란 뜻. 곧 ① 애꾸눈의 영웅 또는 용맹한 장수. ② 애꾸눈의 고덕(高德)한 사람. 당나라 18대 황제인 희종(僖宗:873~883)때의 일이다. 산동(山東) 출신인 황소(黃巢)는 왕선지(王仙芝) 등과 반란을 일으킨지 5년만에 10여 만의 농민군을 이끌고 마침내 도읍인 장안에 입성했다. 그리고 스스로 제제(齊帝)라 일컫고 대제국(大齊國)을 세웠다. 한편 성도(成都)로 몽진(蒙塵)한 희종은 돌궐족(突厥族) 출신인 맹장 이극용(李克用:856~908)을 기용하여 황소 토벌을 명했다. 당시 4만 여에 이르는 이극용의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동병상련 (同病相憐)[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딱하게 여겨 동정하고 돕는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동병상련 (同病相憐) 同:한가지 동. 病:앓을 병. 相:서로 상. 憐:불쌍히 여길 련. [유사어] 동우상구(同優相救), 동주상구(同舟相救), 동기상구(同氣相救), 동악상조(同惡相助),동류상구(同類相救), 오월동주(吳越同舟), 유유상종(類類相從). [참조] 와신상담(臥薪賞膽).[출전]《吳越春秋》〈闔閭內傳〉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딱하게 여겨 동정하고 돕는다는 말. 전국시대인 기원전 515년, 오(吳)나라의 공자 광(光)은 사촌 동생인 오왕 요(僚)를 시해한 뒤 오왕 합려(闔閭)라 일컫고, 자객을 천거하는 등 반란에 적극 협조한 오자서(伍子胥)를 중용했다. 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동호지필 (董狐之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정직한 기록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동호지필 (董狐之筆) 董:동독할 동. 狐:여우 호. 之:갈 지(…의). 筆:붓 필. [동의어] 태사지간(太史之簡). [출전]《春秋左氏傳》〈宣公二年條〉 ‘동호의 직필(直筆)’이라는 뜻. 곧 ① 정직한 기록. 기록을 맡은이가 직필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음을 이름. ②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적어 역사에 남기는 일. 춘추 시대, 진(晉)나라에 있었던 일이다. 대신인 조천(趙穿)이 무도한 영공(靈公)을 시해했다. 당시 재상격인 정경(正卿) 조순(趙盾)은 영공이 시해되기 며칠 전에 그의 해학을 피해 망명 길에 올랐으나 국경을 넘기 직전에 이 소식을 듣고 도읍으로 돌아왔다. 그러자 사관(史官)인 동호(董狐)가 공식 기..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득록망촉 (得隴望蜀)[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만족할 줄 모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득록망촉 (得隴望蜀) 得:얻을 득. 隴:땅 이름 롱. 望:바랄 망. 蜀:나라 이름 촉. [준말] 망촉(望蜀). [동의어] 평롱망촉(平隴望蜀), 망촉지탄(望蜀之歎). [유사어] 계학지욕(谿壑之慾), 차청차규(借廳借閨), 거어지탄(車魚之歎), 기마욕솔노(騎馬欲率奴). [참조]계륵(谿肋). [출전]《後漢書》〈光武記〉〈獻帝記〉.《三國志》〈魏志〉 농을 얻고 나니 촉을 갖고 싶다는 뜻. 곧 ①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② 한 가지 소원을 이룬 다음 또다시 다른 소원을 이루고자 함을 비유. ③ 만족할 줄 모름의 비유. ① 후한을 세운 광무제 유수(劉秀)가 처음으로 낙양에 입성하여 이를 도읍으로 삼았을 무렵(A.D. 26..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등용문 (登龍門)[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주요한 시험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등용문 (登龍門) 登:오를 등. 龍:용 룡. 門:문 문. [반의어] 점액(點額). 용문점액(龍門點額). [출전]《後漢書》〈李應傳〉 용문에 오른다는 뜻. 곧 ① 입신 출세의 관문을 일컫는 말. ② 영달의 비유. ③ 주요한 시험의 비유. ④ 유력자를 만나는 일. 용문(龍門)은 황하(黃河) 상류의 산서성(山西省)과 섬서성(陝西省)의 경계에 있는 협곡의 이름인데 이곳을 흐르는 여울은 어찌나 세차고 빠른지 큰 물고기도 여간해서 거슬러 올라가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나 일단 오르기만 하면 그 물고기는 용이 된다는 전설이 있다. 따라서 ‘용문에 오른다’는 것은 극한의 난관을 돌파하고 약진의 기회를 얻는다는 말인데 중국에서는 진사(進士)..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마부작침 (磨斧作針)[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노력을 거듭해서 목적을 달성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마부작침 (磨斧作針) 磨:갈 마. 斧:도끼 부. 作:지을(만들) 작. 針:바늘 침. [동의어] 철저성침[鐵杵成針(鍼)]. 마저작침[磨杵作針(鍼)]. [유사어] 우공이산(愚公移山). 수적천석(水滴穿石). [유사어]《唐書》〈文藝(苑)傳〉.《方與勝覽(방여승람)》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 곧 ①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계속하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함의 비유. ② 노력을 거듭해서 목적을 달성함의 비유. ③ 끈기 있게 학문이나 일에 힘씀의 비유. 시선(詩仙)으로 불리던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자는 태백(太白), 701~762]의 어렸을 때의 이야기이다. 이백은 아버지의 임지인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서 자랐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마이동풍 (馬耳東風)[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 버린다는 의미로 쓰이는 사자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에 대해 정리해 본다. 馬:말 마. 耳:귀 이. 東:동녘 동. 風:바람 풍. [유사어] 우이독경(牛耳讀經). 오불관언(吾不關焉). 대우탄금(對牛彈琴). [출전]《李太白集》〈券十八〉 말의 귀에 동풍(東風:春風)이 불어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 버림의 비유. ② 무슨 말을 들어도 전혀 느끼지 못함의 비유. ③ 남의 일에 상관하지 않음의 비유. 당나라의 대시인 이백(李白)이 벗 왕십이(王十二)로부터〈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추운 방에 홀로 술잔을 기울이며 느낀 바 있어서)]〉라는 시 한 수를 받자 이에 답하여〈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라는 시를 보냈는데..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만가 (輓歌)[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만가 (輓歌) 輓:수레 끌 만. 歌:노래 가. [출전]《古今洼》〈音樂篇〉,《晉書》〈禮志篇〉,《古詩源》 〈薤露歌〉〈蒿里曲〉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한(漢)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즉위하기 직전의 일이다. 한나라 창업 삼걸(三傑) 중 한 사람인 한신(韓信)에게 급습 당한 제왕(齊王) 전횡(田橫)은 그 분풀이로 유방이 보낸 세객(說客) 역이기(酈食其)를 삶아 죽여 버렸다. 이윽고 고조가 즉위하자 보복을 두려워한 전횡은 500여 명의 부하와 함께 발해만(渤海灣)에 있는 지금의 전횡도(田橫島)로 도망갔다. 그 후 고조는 전횡이 반란을 일으킬까 우려하여 그를 용서하고 불렸다. 전횡은 일단 부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만사휴의 (萬事休矣)[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떻게 달리 해볼 도리가 없다는 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만사휴의 (萬事休矣) 萬:일만 만. 事:일 사. 休:그칠‧쉴 휴. 矣:어조사 의(…이다). [유사어] 능사필의(能事畢矣). [출전]《宋史》〈荊南高氏世家〉 모든 일이 끝장났다(가망 없다)는 뜻으로, 어떻게 달리 해볼 도리가 없다는 말. 당나라가 망하고 송(宋:北宋, 960~1127) 나라가 일어날 때까지 53년 동안에 중원에는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晉)‧후한(後漢)‧후주(後周)의 다섯 왕조가 일어났다가 쓰러지곤 했는데 이 시대를 오대[五代:후오대(後五代)의 준말]라 일컫는다. 또 다시 중원을 벗어난 각 지방에는 전촉(前蜀)‧오(吳)‧남한(南漢)‧형남(荊南)‧오월(吳越)‧초(楚)‧민(閩)‧남당(南唐)‧후촉(後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