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움/고사성어 322

관포지교 (管鮑之交)[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두터운 우정을 뜻함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관포지교 (管鮑之交) 管:대롱 관. 鮑:절인 고기 포. 之:갈 지(...의). 交:사귈 교. [동의어] 관포교(管鮑交). [유사어] 문경지교(刎頸之交), 금란지교(金蘭之交), 단금지교(斷金之交), 수어지교(水魚之交), 교칠지교(膠漆之交), 막역지우(莫逆之友). [반의어] 시도지교(市道之交). [출전]《史記》〈管仲列傳〉, 《列子》〈力命篇〉 관중(管仲)과 포숙아(鮑淑牙) 사이와 같은 사귐이란 뜻으로, 시세(時勢)를 떠나 친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을 일컫는 말. 춘추 시대 초엽, 제(濟)나라에 관중(?~B.C. 645)과 포숙아라는 두 관리가 있었다. 이들은 죽마 고우(竹馬故友)로 둘도 없는 친구 사이였다. 관중이 공자(公子) 규(糾)의 측근(보좌관)으로, 포숙아가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괄목상대 (刮目相對)[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눈에 띄게 발전하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괄목상대 (刮目相對) 刮:비빌 괄. 目:눈 목. 相:서로 상. 對:마주 볼‧대할 대. [출전]《三國志》〈吳志 呂蒙傳注〉 눈을 비비고 본다는 뜻. 곧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전에 비하여 딴 사람으로 볼 만큼 부쩍는 것을 일컫는 말. 삼국시대(三國時代) 초엽, 오왕(吳王) 손권(孫權:182~252)의 신하 장수에 여몽(呂蒙)이 있었다. 그는 무식한 사람이었으나 전공을 쌓아 장군이 되었다. 어느 날 여몽은 손권으로부터 공부하라는 충고를 받았다. 그래서 그는 전지(戰地)에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手不釋卷(수불석권)]’ 학문에 정진했다. 그 후 중신(重臣) 가운데 가장 유식한 재상 노숙(魯肅)이 전지 시찰 길에 오랜 친구인 여..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광일미구 (曠日彌久)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오랫동안 쓸데없이 세월만 보내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광일미구 (曠日彌久) 曠:빌‧멀 광. 日:날 일. 彌:많을 미. 久:오랠 구. [출전]《戰國策》〈趙策〉 오랫동안 쓸데없이 세월만 보낸다는 뜻. 전국 시대 말엽,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 때의 일이다. 연(燕)나라의 공격을 받은 혜문왕은 제(齊)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3개 성읍(城邑)을 할양한다는 조건으로 명장 전단(田單)의 파견을 요청했다. 전단은 일찍이 연나라의 침략군을 화우지계(火牛之計)로 격파한 명장인데 조나라의 요청에 따라 총사령관이 되었다. 그러자 조나라의 명장 조사(趙奢)는 재상 평원군(平原君)에게 항의하고 나섰다. “아니, 조나라엔 사람이 없단 말입니까? 제게 맡겨 주신다면 당장 적을 격파해 보이겠습니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교언영색 (巧言令色)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아첨하는 태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교언영색 (巧言令色) 巧:교묘할 교, 言:말씀 언, 令:명령할‧하여금 령, 色:빛 색 [반의어] 강의목눌(剛毅木訥), 성심성의(誠心誠意). [참조] 눌언민행(訥言敏行). [출전]《論語》〈學而篇〉 발라 맞추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라는 뜻으로,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아첨하는 교묘한 말과 보기 좋게 꾸미는 표정을 이르는 말. 공자[孔子:이름은 구(丘).B.C.551~479]는 아첨꾼에 대해 《논어(論語)》〈학이편(學而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발라 맞추는 말과 아랑거리는 태도에는 ‘인(仁)’이 적다. [巧言令色 鮮矣仁(교언영색 선의인)] 말재주가 교묘하고 표정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사람은 거의 없다는 뜻이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구밀복검 (口蜜腹劍)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겉과 속이 다름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구밀복검 (口蜜腹劍) 口:입 구. 蜜:꿀 밀. 腹:배 복. 劍:칼 검. [유사어] 소리장도(笑裏藏刀), 소중유검(笑中有劍). [출전]《新唐書》 입 속에는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체 하지만 속으로는 은근(慇懃)히 해칠 생각을 품고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당(唐)나라 현종(玄宗: 712~756) 후기에 이림보(李林甫)라는 재상이 있었다. 그는 태자 이하 그 유명한 무장(武將) 안록산(安祿山)까지 두려워했던 전형적인 궁중 정치가(宮中政治家)였다. 뇌물로 환관과 후궁들의 환심을 사는 한편 현종에게 아첨하여 마침내 재상이 된 그는, 당시 양귀비(楊貴妃)에게 빠져 정사(政事)를 멀리하는 현종의 유흥을 부추기며 조졍을 좌지우지했다. 만약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구우일모 (九牛一毛)[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많은 것들 중 가장 적은 것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구우일모 (九牛一毛) 九:아홉 구, 牛:소 우, 一:한 일, 毛:털 모 [유사어] 창해일속(滄海一粟), 창해일적(滄海一滴), 대해일적(大海一滴) [참조] 인생조로(人生朝露), 중석몰촉(中石沒鏃) [출전] ≪漢書≫ , ≪文選≫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쇠)털이라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 가장 적은 것의 비유. 한(漢)나라 7대 황제인 무제(武帝:B.C. 141~87) 때(B.C. 99) 5000의 보병을 이끌고 흉노(匈奴)를 정벌하러 나갔던 이릉(李陵:?~B.C. 72) 장군은 열 배가 넘는 적의 기병을 맞아 초전 10여 일간은 잘 싸웠으나 결국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패하고 말았다. 그런데 이듬해 놀라운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국사무쌍 (國士無雙)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나라 안에 견줄 만한 자가 없는 인재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국사무쌍 (國士無雙) 國:나라 국. 士:선비 사. 無:없을 무. 雙:쌍 쌍. [유사어]동량지기(棟梁之器) [출전]《史記》〈淮陰侯列傳〉 나라 안에 견줄 만한 자가 없는 인재라는 뜻으로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을 일컫는 말. 초패왕 항우와 한왕 유방에 의해 진나라가 멸망한 한왕 원년(元年:B.C. 206)의 일이다. 당시 한군(漢軍)에는 한신(韓信)이라는 군관이 있었다. 처음에 그는 초군(楚軍)에 속해 있었으나 아무리 군략(軍略)을 헌책(獻策)해도 받아 주지 않는 항우에게 실망하여 초군을 이탈, 한군에 투신한 자이다. 그 후 한신은 우연한 일로 재능을 인정받아 군량을 관리하는 치속도위(治粟都尉)가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직..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군맹무상 (群盲撫象)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범인의 좁은 식견의 비유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군맹무상 (群盲撫象) 群:무리 군. 盲:소경 맹. 撫:어루만질 무. 象:코끼리 상. [동의어] 군맹모상(群盲摸象). 군맹평상(群盲評象). [출전]《涅槃經(열반경)》 여러 소경이 코끼리를 어루만진다는 뜻. 곧 ① 범인(凡人)은 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그릇 판단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함의 비유. ② 범인의 좁은 식견의 비유. 인도의 경면왕(鏡面王)이 어느 날 맹인들에게 코끼리라는 동물을 가르쳐 주기 위해 그들을 궁중으로 불러 모았다. 그리고 신하를 시켜 코끼리를 끌어오게 한 다음 소경들에게 만져 보라고 했다. 얼마 후 경면왕은 소경들에게 물었다. “이제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았느냐?” 그러자 소경들은 입을 모..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군자삼락 (君子三樂)[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군자삼락 (君子三樂) 君:임금 군. 子:아들 자. 三:석 삼. 樂:즐길 락, 좋아할 요. [원말]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 [유사어] 익자삼요(益者三樂) [반의어] 손자삼요(損者三樂) [출전]《孟子》〈盡心篇〉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는 말. 전국 시대, 철인(哲人)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孟子:B.C. 372?~289?)는 《맹자(孟子)》〈진심편(盡心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君子有三樂(군자 유삼락)] 첫째 즐거움은 양친이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요. [父母具存 兄弟無故(부모구존 형제무고)] 둘째 즐거움은 우러러 하늘에 부끄러움이 없고 구부려 사람에게..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권토중래 (捲土重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실패한 사람이 다시 일어 선다는 뜻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권토중래 (捲土重來) 捲:걷을‧말 권. 土:흙 토. 重:무거울‧거듭할 중. 來:올 래. [원말] 권토중래(卷土重來) [참조] 선즉제인(先則制人), 건곤일척(乾坤一擲), 사면초가(四面楚歌). [출전] 두목(杜牧)의 시〈題烏江亭〉 흙먼지를 말아 일으키며 다시 쳐들어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한 사람이 세력을 회복해서 다시 공격(도전)해 온다는 말. 이 말은 당나라 말기의 시인 두목(杜牧:803~852)의 시〈제오강정(題烏江亭)〉에 나오는 마지막 구절이다. 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으니 [勝敗兵家不可期(승패병가불가기)] 수치를 싸고 부끄럼을 참음이 남아로다 [包羞忍恥是男兒(포수인치시남아)] 강동의 자제 중에는 준재가 많으니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