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움/고사성어 322

육참골단 (肉斬骨斷) , 이대도강(李代桃僵) [뜻, 해석, 설명]

최근 서울대 조국 교수가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과 문재인대표를 향해 ‘육참골단’해야 한다 말했다. 이 말은 경향신문 칼럼 ‘조국의 밥과 법’ 마지막회에서 했던 말로 육참골단에 대해 설명해 본다. 육참골단 (肉斬骨斷) 肉 고기 육 ① 고기 ② 옥 둘레 ③ 살斬 벨 참 ① 베다 ② 끊어지다 ③ 매우骨 뼈 골 ① 뼈 ② 사람의 품격 ③ 강직하다 斷 끊을 단 ① 끊다 ② 결단하다 뜻: 자기의 살을 베어주고 상대편의 뼈를 자른다. (내 팔을 내주고 상대의 목을 취한다.) 강한 상대로 이길 수 없을 때는 나 역시 부상을 당할수 있으며 그것을 두려워 하지 말아야 이길 수 있다는 말로, 용기와 의지를 북돋우는 의미로 많이 쓰인다. 어떤 목적을 위해서는 희생이 따른다는 의미로도 해석한다. *비슷한말로는 36계의 11계책인..

배움/고사성어 2015.05.19

백절불요 (百折不撓), 칠전팔기 (七顚八起)[뜻, 해석, 설명]

불굴의 의지를 뜻하는 백절불요 (百折不撓: bǎi zhé bù náo) 설명 百 일백 백 · 折 꺾일 절 · 不 아니 불 · 撓 흔들 요 1.뜻: 백 번 꺾여도 휘어지지 않는다. 어떠한 어려움에도 굽히지 않는 강인한 정신력과 꿋꿋한 자세를 뜻하는 말 2.출처/유래후한(後漢) 시대 청렴하고 강직했던 교현(喬玄)에게서 유래된 말로 교현에 대한 이야기는 《후한서(後漢書) 〈교현전(喬玄傳)〉》에 나온다. 교현은 죽으면서 남긴 유산이 전혀 없었으며, 장례도 극히 간소하게 치러졌다. 채옹(蔡邕)은 교현을 위하여 〈태위교현비(太尉喬玄碑)〉라는 비문을 지어 ‘그 성격은 엄격했으며, 화려함을 미워하고 소박함을 숭상했다. 백 번 꺾일지언정 휘어지지 않았고, 큰 절개에 임하여서는 빼앗을 수 없는 풍도를 지녔다.(其性莊, 疾..

배움/고사성어 2015.02.18

사자성어로 풀어본 대한민국의 현실 (2014 한국 사자성어 정리)

지금의 대한민국은 총체적인 문제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무원칙, 무책임, 무관심, 불법, 이기주의... 등등 오늘날 한국사회의 문제를 사자성어로 정리해 봤습니다. 1. 무전유죄 (無錢有罪), 유전무죄(有錢無罪) 돈 없으면 죄고 돈 있으면 무죄라는 자조 섞인 이 말은 너무 오랫동안 변치않는 한국 사회의 진실이 되고 있습니다. 2. 대죄소벌(大罪小罰) 소죄대벌(小罪大罰) 제가 만든 말입니다. 한국의 주류층의 큰 죄는 적은 처벌이나 사면을 받고 서민들은 오히려 처벌을 받는 대한민국의 현실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3. 재벌무죄(財閥無罪), 서민유죄(庶民有罪) 근로자들은 반드시 세금을 냅니다. 재벌은 탈세해도 서민은 그럴 수 없다는 것 아시죠. 그리고 대기업 회장은 사람을 죽여도 병원에서 편하게 감옥살이를 한다는 사..

배움/고사성어 2014.04.28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 보다 더 사납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출전] 苛:가혹할 가, 政:정사 정, 猛:사나울 맹, 於:어조사 어, 虎:범 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는 백성들에게 있어 호랑이에게 잡혀 먹히는 고통보다 더 무섭다는 말. 춘추 시대(春秋時代) 말엽, 공자(孔子:B.C 551~479)의 고국인 노(魯)나라에서는 조정의 실세(實勢)인 대부(大夫) 계손자(季孫子)의 가렴 주구(苛斂誅求)로 백성들이 몹시 시달리고 있었다. 어느 날, 공자가 수레를 타고 제자들과 태산(泰山) 기슭을 지나가고 있을 때 부인의 애절한 울음소리가 들려 왔다. 일행이 발길을 멈추고 살펴보니 길가의 풀숲에 무덤 셋이 보였고, 부인은 그 앞에서 울고 있었다. 자비심이 많은 공자는 제자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각주구검 (刻舟求劍)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각주구검 (刻舟求劍) 刻: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 구. 劍:칼 검. [준말]각주(刻舟),각선(脚線),각현(刻鉉) [유사어]수주대토(守株待兎)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자 뱃전에 표시를 했다가 나중에 그 칼을 찾으려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의 비유.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한 젊은이가 양자강(揚子江)을 건너기 위해 배를 탔다. 배가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그만 실수하여 손에 들고 있던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아뿔싸 이를 어쩐다?’ 젊은이는 허둥지둥 허리춤에서 단검을 빼 들고 칼을 떨어뜨린 그 뱃전에다 표시를 했다. 이윽고 배가 나루터에 닿자 그는 곧 옷을 벗어 던지고 표시를 한 뱃전 밑의 강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간담상조 (肝膽相照)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간담상조 (肝膽相照) 肝:간 간, 膽:쓸개 담, 相:서로 상, 照:비칠 조 (유사어) 피간담(披肝膽).(출전) 한유(韓愈)의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뜻. ① 상호간에 진심을 터놓고 격의 없이 사귐. ②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당대(唐代)의 두 명문(名文) 대가에 한유[韓愈: 자는 퇴지(退之), 768~824]이 있었다. 이들은 함께 고문 부흥(古文復興) 운동을 제창한 문우로서 세인으로부터 한유(韓柳)라 불릴 정도로 절친한 사이였다. 당나라 11대 황제인 헌종(憲宗:805-820) 때 유주 자사(柳州刺史)로 좌천되었던 유종원이 죽자 한유는 그 묘지명(墓地銘)을 썼다. 자신의 불우한..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건곤일척 (乾坤一擲)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하늘과 땅을 걸고 한 번 주사위를 던진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건곤일척 (乾坤一擲) 乾:하늘 건, 坤:땅 곤, 一:한 일, 擲:던질 척 (동의어) 일척건곤(一擲乾坤) (출전) 한유(韓愈)의 시( 過鴻溝) 하늘과 땅을 걸고 한 번 주사위를 던진다는 뜻. 곧 ①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나 성패를 겨룸. ② 흥하든 망하든 운명을 하늘에 맡기고 결행함의 비유. 이 말은, 당나라의 대문장가인 한유가 홍구[鴻溝: 하남성(河南省)내]을 지나다가 그 옛날(B.C. 203),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건곤일척’을 촉구한 장량(張良)‧진평(陳平)을 기리며 읊은 회고시에 나오는 마지막 구절이다. 용은 지치고 범은 피곤하여 강을 나누니 [龍疲虎困割川原(용피호곤할천원)] 만천하 백성들의 목숨이 보존되는도다 [億萬蒼生性命存(억만창생..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걸해골(乞骸骨)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해골을 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걸해골(乞骸骨) 乞:빌 걸, 骸:뼈 해, 骨:뼈 골 [준말]걸해(乞骸). [원말]원사해골(願賜骸骨). [동의어]걸신(乞身). [참조]건곤일척(乾坤一擲). [출전]《史記》〈項羽本記〉,《子春秋》 해골을 빈다는 뜻으로, 늙은 재상(宰相)이 나이가 많아 조정에 나오지 못하게 될 때 임금에게 그만두기를 주청(奏請)함을 이루는 말.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에게 쫓긴 한왕(漢王) 유방(劉邦)이 고전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유방은 지난해(B.C. 203) 항우가 반란을 일으킨 팽월(彭越)‧전영(田榮) 등을 치기 위해 출병한 사이에 초나라의 도읍인 팽성[彭城:서주(徐州)]을 공략했다가 항우의 반격을 받고 겨우 형양[滎陽:하남성(河南省..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격물치지 (格物致知)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 격치(格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격물치지 (格物致知) 格:이를 격. 物:만물 물. 致:이를 치. 知:알 지. [준말] 격치(格致). [출전] 《大學》〈八條目〉 ①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후천적인 지식을 명확히 함 [주자(朱子)의 설]. ② 낱낱의 사물에 존재하는 마음을 바로잡고 선천적인 양지(良知)를 갈고 닦음 [왕양명(王陽明)의 설]. 사서(四書)의 하나인 《대학(大學)》은 유교의 교의(敎義)를 간결하게 체계적으로 서술한 책으로서 그 내용은 삼강령(三綱領 : 明明德, 新民, 止於至善), 팔조목(八條目 :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으로 요약된다. 팔조목 중 여섯 조목에 대해서는 《대학》에 해설이 나와 있으나 ‘격물’ ‘치..

배움/고사성어 2012.10.05

견토지쟁 (犬免之爭)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개와 토끼의 다툼; 쓸데없는 다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견토지쟁 (犬免之爭) 犬:개 견, 免:토끼 토, 之:갈 지(…의), 爭:다툴 쟁. [동의어] 전부지공(田父之功). 방휼지쟁(蚌鷸之爭). 어부지리(漁父之利). 좌수어인지공(坐收漁人之功). [출전] 《戰國策》〈齊策〉 개와 토끼의 다툼이란 뜻. 곧 ① 양자의 다툼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利)를 봄에 비유. 횡재(橫財)함의 비유. ② 쓸데없는 다툼의 비유. 전국 시대, 제(齊)나라 왕에게 중용(重用)된 순우곤(淳于髡)은 원래 해학(諧謔)과 변론의 뛰어난 세객(說客)이었다. 제나라 왕이 위(魏)나라를 치려고 하자 순우곤은 이렇게 진언했다. “한자로(韓子盧)라는 매우 발빠른 명견(名犬)이 동곽준(東郭逡)이라는 썩 재빠른 토끼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