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일망타진 (一網打盡)
一:한 일. 網:그물 망. 打:칠 타. 盡:다할 진.
[준말] 망타(網打). [출전]《宋史》〈人宗紀〉,《東軒筆錄》
한 번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다 잡는다는 뜻. 곧 범인들이나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잡는다는 말.
북송(北宋) 4대 황제인 인종(仁宗) 때의 일이다.
당시 북방에는 거란[契丹:요(遼)]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남쪽에서는 중국의 일부였던 안남(安南)이 독립을 선언하는 등 정세가 불리하게 돌아가는데도 인종은 연약 외교로 일관했다.
그러나 내치(內治)에는 괄목할 만한 치적이 적지 않았다.
전한(前漢) 5대 황제인 문제(文帝)와 더불어 어진 임금으로 이름난 인종은 백성을 사랑하고 학문을 장려했다. 그리고 인재를 널리 등용하여 문치(文治)를 폄으로써 이른바 ‘경력(慶曆:인종의 연호)의 치’로 불리는 군주 정치의 모범적 성세(聖世)를 이룩했다.
이 때의 역사적인 명신으로는 한기(韓琦)‧범중엄(范仲淹)‧구양수(歐陽脩)‧사마광(司馬光)‧주돈이(周敦頣)‧장재(張載)‧정호(程顥)‧정이(程頣) 등이 있었는데, 이들이 조의(朝議)를 같이하다 보니 명론탁설(名論卓說)이 백출(百出)했고 따라서 충돌도 잦았다.
결국 조신(朝臣)이 양 당으로 나뉘어 교대로 정권을 잡게 되자 20년간에 내각이 17회나 바뀌었는데, 후세의 역사가는 이 단명 내각의 시대를 가리켜 ‘경력의 당의(黨議)’라 일컫고 있다.
이 무렵, 청렴 강직하기로 이름난 두연(杜衍)이 재상이 되었다.
당시의 관행으로는 황제가 상신(相臣)들과 상의하지 않고 독단으로 조서를 내리는 일이 있었는데, 이것을 내강(內降)이라 했다. 그러나 두연은 이 같은 관행은 올바른 정도(政道)를 어지럽히는 것이라하여 내강이 있어도 이를 묵살, 보류했다가 10여 통쯤 쌓이면 그대로 황제에게 돌려보태곤 했다. 이러한 두연의 소행은 성지(聖旨)를 함부로 굽히는 짓이라하여 조야로부터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때 공교롭게도 관직에 있는 두연의 사위인 소순흠(蘇舜欽)이 공금을 유용하는 부정을 저질렀다. 그러자 평소 두연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은 어사(御史:검찰총장) 왕공진(王拱辰)은 쾌재를 부르고 소순흠을 엄히 문초했다. 그리고 그와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을 모두 공범으로 몰아 잡아 가둔 뒤 재상 두연에게 이렇게 모고했다.
“범인들을 일망타진(一網打盡)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그 유명한 두연도 재임 70일 만에 재상직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주] 안남 : 인도차이나 동쪽의 한 지방, 당나라의 안남 도호부(安南都護府)에서 유래한 명칭이어서 베트남인들은 쓰지 않는다고 함.
'배움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심암귀 (疑心暗鬼)[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선입관은 판단을 빗나가게 함 (0) | 2012.10.05 |
---|---|
이목지신 (移木之信)[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을 속이지 아니한 것을 밝힘 (0) | 2012.10.05 |
이심전심 (以心傳心)[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한다 (0) | 2012.10.05 |
인생조로 (人生朝露)[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다 (0) | 2012.10.05 |
일거양득 (一擧兩得)[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익을 거둔다 (0) | 2012.10.05 |
일의대수 (一衣帶水)[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간격이 매우 좁음 (0) | 2012.10.05 |
일자천금 (一字千金)[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아주 빼어난 글자나 시문(時文) (0) | 2012.10.05 |
자포자기 (自暴自棄)[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0) | 2012.10.05 |
전전긍긍 (戰戰兢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0) | 2012.10.05 |
전차복철 (前車覆轍)[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앞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교훈 (0) | 201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