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치 전투(熊峙戰鬪)는 1592년(선조 25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 전라도 웅치 방어선에서 벌인 전투로 김제 군수 정담(鄭湛)과 휘하 방정영과 박석 등이 이끄는 관군과, 의병장 황박, 이광 등의 의병이 합류하였고 나주 판관 이복남(李福男), 해남군가 변응정(邊應井) 등이 나섰지만 4명의 장군들과 군사 수백이 전사하고 패배한 전투.
임진왜란 장렬한 패전 웅치 전투(熊峙戰鬪)
1.전투 전
당시 왜군 6부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이끄는 왜군은 1592년 7월 31일(음력 6월 23일) 충청도 금산을 점령하고 진지를 구축했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부장 안코쿠지 에케이(安国寺恵瓊)는 1만 군사를 이끌고 웅치로 거쳐 전주성으로 진격하려 했고 이에 전라도의 모든 관군과 의병 1000명이 모여 웅치에서 전투를 준비한다.
7월 초순 일본군은 전라도로 진격할 준비를 서둘렀다. 일본군은 별군(別軍)을 편성해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惠瑗)에게 지휘를 맡겼다. 안코쿠지는 안국사를 창건한 승려로 절 이름을 성으로 삼았다. 자신을 전라감사라 하면서 여러 고을에 격문을 뿌려댔다. 안코쿠지는 창원에서 남원을 거쳐 전주를 점령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중간 지점인 의령에서 곽재우(郭再祐) 의병부대의 저지를 뚫지 못하고 방향을 틀어 성주로 올라왔다.
안코쿠지의 상사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는 한성에 있다가 안코쿠지의 진로에 차질이 생겼다는 보고를 받고, 무주를 경유해 금산을 거쳐서 안코쿠지와 합류했다.
금산에서 전주로 들어가려면 진안에서 전주 사이에 놓여 있는 가파른 웅치(곰티재)를 넘어야 한다. 또 다른 길로 금산에서 전주로 들어가려면 진산의 이치(배재)를 넘어야 한다. 이때 광주목사 권율이 광주 지방에서 모집한 군사 1,500여 명을 직접 이끌고 이치를 지켰다. 이 부대에는 일본에 가서 기개를 떨친 동복현감 황진도 가담하고 있었다. 김제군수 정담(鄭湛)이 웅치를 막는 임무를 맡았으며 나주판관 이복남(李福男)군이 선발대에 배치되었다. 황박(黃璞) 등 의병도 다수 가담했다.
2.전투 과정
웅치 방어선에는 정담, 방정영, 박석, 황박, 이복남, 변응정 등이 모였는데 3개로 방어선을 나누어 구축했다. 제1방어선은 산 아래 의병장 황박이, 제2방어선은 산 중턱 나주 판관 이복남이, 제3방어선 산 정상에는 김제 군수 정담이 배치되었다. 음력 7월 7일 안코쿠지 에케이는 군대를 이끌고 총공격하여 제1방어선과 제2방어선이 무너지고 정담이 지키는 제3방어선이 전투를 치르고 있었다. 그러나 왜군의 희생도 커 날이 저물자 전투를 중단하고 후퇴했다.
7월 7일 일본군 선봉대가 조총을 쏘아대며 웅치로 올라왔지만 조선군의 완강한 저항에 일단 후퇴했다. 다음날 늦은 아침, 일본군은 병력을 총동원해 진격했다. 1선을 맡은 황박군이 저지하다가 밀려나자 2선을 맡은 이복남군이 나섰다. 적은 2선까지 제치고 밀고 올라와 정상에 이르렀다. 정상에는 정담 군이 포진하고 있었다.
정담은 백마를 타고 올라오는 적의 장수를 쏘아 죽였으며, 적이 계속 밀어붙여도 후퇴하지 않고 선두에서 공격을 퍼부어댔다. 날이 저물고 화살이 떨어져 군사가 흩어지기 시작했으나, 그는 끝까지 백병전을 벌이다가 마침내 장렬한 죽음을 맞이했다. 그러나 조선군이 화살이 떨어지자 왜군은 철수를 취소하고 다시 재공격하여 이 과정에서 조선군이 밀리게 되었다. 이복남이 이끄는 나주관군은 안덕원까지 퇴각했고, 피하지 못한 정담과 강운, 박형길 등이 전사했고 조선군이 패배했지만 왜군의 손실도 컸다.
3.전투 후
전투 후에 웅치의 긴 고갯길은 조선군의 시체로 덮였다.
웅치에서 관군과 의병이 패하자 전 성균관 정6품을 지냈던 이정란(李廷鸞)이 전주성 안으로 들어가 백성들을 수습하고 전라감사 이광도 성을 굳게 지켰다. 결국 안코쿠지 에케이는 금산으로 후퇴하고 안코쿠지는 후퇴 도중 웅치에서 전사한 조선군의 시체를 모아 큰 무덤을 만들어주고 조 조선국 충간의담(弔朝鮮國忠肝義膽)이라는 비석을 세워주어 그들의 충절을 기렸다고 전한다.
웅치 전투는 다음날 벌어진 이치전투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이는 웅치 전투에서 왜군의 피해를 그만큼 주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역사 > 국사-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의병과 승병이 거둔 승리 청주 전투(淸州戰鬪) (0) | 2015.03.26 |
---|---|
임진왜란 같은날 전라도에서 승리한 안골포 해전, 우척현 전투 (0) | 2015.03.26 |
임진왜란, 의병들의 혈전 패전 아닌 패배 금산 전투, 칠백의총 (0) | 2015.03.26 |
임진왜란 3대 대첩 세계해전사에 남을 학익진 한산도대첩 (閑山島大捷) (0) | 2015.03.25 |
임진왜란 일본의 전라도 진격을 막은 조선의 승리 이치 전투(梨峙戰鬪) (0) | 2015.03.25 |
임진왜란 4번싸워 되찻은 평양성, 평양 전투(平壤戰鬪) 설명 (0) | 2015.03.25 |
임진왜란 역사적인 참패 용인 전투(龍仁戰鬪) (0) | 2015.03.25 |
임진왜란 거북선의 등장, 사천 해전(泗川海戰)과 당포 해전(唐浦海戰) 외 (0) | 2015.03.25 |
한양의 함락과 몽진, 분조 (0) | 2015.03.25 |
임진왜란 조선 의병의 첫 승리 정암진 전투 (0) | 201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