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자료

검도) 검도의 예(禮) , 검도의 이념,정의,목적

올드코난 2010. 7. 14. 19:20
반응형


검도의 예
(
)

 

검도에서 말하는 예()란 겉으로 나타내는 인사, 즉 형식적인 것을 우선 뜻한다.

보통 경례(敬禮)나 예의(禮儀)가 그것이다. 따라서 몸가짐이 단정해야 하며 상대를 마음으로부터 존중하는 태도가 배어나와야 한다.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며 사람을 사귈 때 그  처음은 예로 시작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검도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처음 검도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를 잘  지키게 해야 함은 물론이고 가르치는 사람이 행동으로 모범을 보여야 한다.예의 시작은 대자연에 대한 인간의 외경심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꿇어 엎드려 하는 절이 그 시초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두려움에 대한 표현 이라 할 것이다. 그것이 종교적인 것으로, 다시 권위에 대한 복종의 표시로 바뀌기도 하고 다양해지기도 하면서 차츰 인간 상호간의 관계 설정에 큰 구실을 하게 되었다.서양식의 악수나 거수경례는 소위 군례(軍禮)의 일종이니, 무기를 놓고 손으로  확인하면서 적대감이 없음을 표시하는  것으로 화해를 청하거나 싸울 의사가 없음을 뜻하는 형식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것이 시대나  사회의 변천에 따라 바뀌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우리에게도 손을 잡는 인사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손을 잡는 것은 무기가 없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반가움이나 위로, 격려 또는 존경하는 마음에서 우러나온 행동이다. 의기가 투합되어 두 손을 마주잡는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요즘처럼 손을 내밀어 악수를 청하는 인사법이 좋은 예법은 아니다.예법은 서서  하거나 앉아서 하거나 몇 가지 지켜야 할 규범이 있다.

 

첫째, 상하를 불문하고 존중, 감사하는 마음으로 한다.

 

둘째, 몸가짐이 단정하고 품위가 있어야 한다.

 

셋째, 절도가 있어야 한다.

 

 

검도의 이념,정의,목적

 

 

1. 이 념

 

검도는 칼을 사용해온 유구한 투쟁의 역사 속에서 인류가 터득한 순치(馴致)된 경험들을 무덕(武德)으로 승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선지향적(善指向的) 의지이며, 교예·경기적(敎藝·競技的) 수단을 동반한 극기복례(克己復禮)의 한 도()이다.

 

 

2. 정 의

 

검도는 체육경기의 한 종목이며 그 명칭이다. 칼의 역학적(力學的) 원리를 응용하여 겨루기를 행하며, 정해진 경기·심판 규칙에  의해 승패를 가르는 격투기적  개인경기이다.교예(敎藝)와 경기의 구분에 따라 칼(··木刀·竹刀)은 구별하여 사용한다.

 

 

3. 목 적

 

첫째, 예의를 바르게 한다.예의는 인간이 지켜야 할 가장 근본적이고 규범이 되는 상대적 행위이다. 검도에서 예의를 잃으면 오직 칼을 사용하는 투쟁만이 강조될 수 있으니 이를 경계한다.둘째, 심신을 건강하게 한다.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려면  수련을 통하여 힘과 기량을 기르며, 어려움을 참고 이를 이겨내는 것을 보람과 즐거움으로 삼아야 한다.셋째, 신의를 지킨다.칼은 올바른 일을 위하여 쓰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활인검이다.  부당한 것을 없애고 믿음으로 사귀며 헌신적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인간이 되도록 스스로 노력하고 이를  실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