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

임진왜란 진주대첩의 영웅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 일대기와 평가

올드코난 2015. 4. 1. 20:59
반응형

임진왜란 3대대첩 진주대첩(제1차 진주성 전투)의 영웅 위대한 승리를 남기고 전사한 충무공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 일대기와 평가


1.출생 및 가계

김시민(金時敏, 1554년 ~ 1592년 11월 21일(음력 10월 18일)) 본관은 (구)안동, 자는 면오(勉吾), 시호는 충무(忠武). 고려 때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의 13대손이자 지평(持平) 김충갑(金忠甲)의 셋째 아들.


2.전쟁 전

1578년(선조 11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시에 입사하였으며, 1581년 부평부사가 되었으나, 경기어사의 서찰로 구황에 전력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1583년 여진족 이탕개가 회령(會寧) 지방에서 소란을 일으키자 정언신의 부장으로 출정하여 토벌하였다. 그 공으로 훈련원 판관(判官)이 되었다. 이때 그는 군대 개혁 및 강화에 대한 건의를 병조에 제출하였으나 평화로운 시기에 군기를 강화할 필요가 없다며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질타하자 이에 젊은 혈기에 분개하여 사직하였다.


3.임진왜란

1591년(선조 24) 진주판관(晋州判官)이 되고, 부임한 지 1년 후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목사 이경과 함께 지리산으로 피하였다가 목사가 병사하자 초유사 김성일의 명에 따라 진주목사를 대신하게 된다. 진주로 돌아와 진주성(晋州城)민들을 안심시키고, 피난하였던 성민을 귀향하게 하고 성채를 보수하고, 한편으로 군사 훈련으로 군사 체계를 갖추었다. 왜군은 사천에 집결한 다음 진주로 진격하였다. 이에 곤양군수 이광악과 상주판관 정기룡, 의병장 이달, 곽재우 등과 합세하고, 적을 중간에서 요격하고 패주하는 적을 추격하여 고성과 창원을 수복하였다.

이어 의병장 김면의 요청을 받아, 구원병 1천을 이끌고 가서, 거창의 사랑암에서 금산으로부터 서남진하는 왜군을 맞아 승전하였으며, 이 공으로 1592년 음력 7월 26일 진주목사로 관직을 승진 제수받았다.

김시민은 취임 후 염초(焰硝) 5백여 근을 만들고 총통(銃筒) 70여 병(柄)을 만들고, 따로 부대를 배정하여 숙달시키는 한편, 성을 지키는 방책을 강화하였다.

음력 9월에는 진해로 출동하여 적을 물리치고 적장 평소태(平小太)를 사로잡아 행재소(行在所)로 보내자 조정에서는 통정대부로 임명하였다. 그 뒤 금산(金山)에서 적을 격파하여 사기가 충천하였다.


4.진주대첩과 최후

진주성에서 한 번 대패한 왜군은 1592년 11월 8일(음력 10월 5일) 2만 대군을 이끌고 진주성으로 다시 쳐들어왔다. 1부대는 마재를 넘어오고 2부대는 불천을 넘어 들어오고, 3부대는 진양을 무찌르고 들어왔다. 그런 다음 성을 둘러싸고 포위 공격을 감행하자 김시민은 고을 안에 사는 백성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전부 성으로 들어오게 하고 여자는 모두 남장을 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이렇게 조직된 3,8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성을 철통같이 지키며 7일간의 격전 끝에 일본군을 물리쳐 퇴각시켰다. (진주대첩) 1592년 11월 12일(음력 10월 9일) 마지막날의 전투에서 김시민은 격렬한 접전 도중 유탄에 맞고 의식을 잃었지만 이광악이 지휘를 이어받아 전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조선군 3800명의 10배인 왜군 3만명과 싸워 조선군 1000명 사상, 왜군은 1만명이상이 사상한 역사에 남을 대승리였고 임진왜란 발발후 첫 수성에 성공한 전투였다.

하지만 진주대첩의 주역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은 11월 21일(음력 10월 18일) 전사한다. 향년 39세였다.


5.사후

1604년(선조 37년)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봉해졌으며, 상락군(上洛君)에 추봉되었다. 선조 40년에 사액을 받고, 1702년(숙종 35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상락부원군으로 추봉되고, 충무공이라는 시호를 하사했다. 충민사(忠愍祠)에 배향(配享)되었다. 1868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충민사가 없어지고, 진주성 내의 창렬사에 함께 배향되었다.


6.유적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김시민 장군 전공비는 1619년(광해군 11년) 음력 7월에 진주성에 세워졌으며, 성여신이 비문을 짓고, 한몽인이 글씨를 썼다. 진주전상각적비(晉州全成却敵碑)라고도 하며, 시도유형문화재 제2호인 촉석정충단비와 나란히 서 있다. 1987년 당시 전투에서 숨진 이들을 위로하기 위해, 비의 뒷편에 계사순의단을 건립했다.



7.올드코난의 김시민 장군에 대한 평가

임진왜란 전 군의 개혁을 주장하지만, 받아 들여지지 않자 사직할 만큼 강직한 성품을 가졌고, 진주대첩에서 보듯 이견이 없는 위대한 장수였다. 지략과 용맹함 그리고 덕을 갖춘 당시 조선 무관들 중에서도 드문 인재였다. 만일, 진주대첩 당시 전사하지 않았더라면, 임진왜란 전세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컸을 것이다. 특히, 이후 벌어진 2차 진주성 전투 역시 승리를 거두었을 것이다. 그의 죽음은 두고두고 아쉬움이 남는다.


글 작성/편집 올드코난 (Old Conan)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요즘,트위터,미투데이,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안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