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

임진왜란, 오만하고 무모했던 신립 (申砬) 장군 생애와 평가

올드코난 2015. 4. 4. 22:48
반응형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무과에 급제해 오위도총부와 진주판관, 한성판윤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첫 해에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펼치고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탄금대 패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평가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무능한 전술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오늘 KBS 드라마 징비록에서 신립의 탄금대 전투에 대해 아주 간략히 나왔다. TV에서 신립의 최후를 너무 장엄하게 묘사를 했는데, 당시 전투 상황은 비참했다고 여겨진다. 신립에 대한 인물평을 정리해 본다.

임진왜란, 오만하고 무모하고 무능했던 신립(申砬) 장군 생애와 평가


1.출생과 가계

신립은 명종 원년(1546년) 10월 23일 평산 신씨 화국과 부인 파평 윤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입지(立之),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시조는 고려 왕건의 개국공신 신숭겸으로 후손인 신개는 조선 초기 좌의정을 지내고 문희공의 시호를 받았다. 신개는 신립의 5대조였다.

신개의 아들이며 신립의 고조 신자준은 세종 27년(1445)에 장령, 세조 원년(1455) 판종부시사로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고 이후 첨지중추원사, 형조참의, 예조참의, 충청도 관찰사, 좌참찬등의 지위를 누렸다. 신자준의 아들이며 신립의 증조 신말평은 장악원 주부로 예조판서 성현의 명을 받아 장악원 제조 류자광, 전악 반곡과 김복근을 도와「악학궤범」편찬에 공헌했고 연산군 때 사헌부 감찰을 역임했다.

신립의 할아버지 신상은 경기도, 전라도, 경상도 관찰사와 형조판서를 지냈고 시호는 문절이다. 신상은 타고난 성격이 화통했다고 전하며 아버지 신화국은 성균 생원으로 전설, 별검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후에 아들이 공신이 됨으로 평주부원군 영의정 증직되었다.



2. 무인 생활과 여진족 토벌 공로

1567년(선조 1년) 22세로 무과에 급제했고 선전관을 거쳐 도총부도사(都摠莩事), 도총(都摠), 도사(都事), 경력(經歷)을 지내고 진주판관(晉州判官)에 임명되었다. 이때 진주목사 양응정(梁應鼎)이 “자네는 큰 인물이니 공부를 해야 한다.”라고 하자 그는 이에 양응정을 스스로 모시고 그에게서 글을 배웠다.

1583년 은성부사(穩城府使)가 되었는데 이 무렵 여진족 니탕개(尼湯介)가 쳐들어왔는데, 니탕개는 선조 초년부터 6진(六鎭)에 자주 드나들며 공순(恭順)의 뜻을 보였으므로 정부에서 관록(官祿)을 주고 후대했지만 진장(鎭將)의 대우가 좋지 않다는 명분을 내세워 부근의 여러 부족을 규합, 경원부에 침입하고 아산보(阿山堡)와 안원보(安原堡)를 점령했다. 이에 신립은 기병 500여기를 동원, 첨사 신상절(申尙節)과 함께 훈융진을 공격하던 여탕개의 1만명을 물리쳤고, 여진족이 함경도를 침략할 때 경유하는 안두리 부락을 불태웠다.

1587년 흥양(興陽)에 왜구가 침입하자 우방어사(右防禦使)가 되어 군사를 인솔하여 토벌에 나섰다가 이미 왜구가 철수했으므로 돌아오던 중 양가의 처녀를 첩으로 삼았다는 삼사(三司)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얼마 되지 않아 함경남도 병마절도사에 다시 등용되었으나, 졸병을 참살한 죄로 중추부동지사의 한직으로 전임되었다.


3. 임진왜란과 탄금대 전투 패전과 최후

1590년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보직되고 이듬해 한성부 판윤을 거쳐,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삼도 도순변사(三道都巡邊使)로 임명되어 전장으로 떠날 때, 선조(宣祖)가 검(劍)을 하사하면서 격려해 주었다. 특히 요청하여 김여물(金汝杖)을 데리고 가고, 도중에서 병정을 모집하여 충주에 도착하였다. 신립은 충주에서 방어진을 갖추고 왜적을 차단하고자 하였으나 도착한지 불과 사흘만에 탄금대 전투에서 패해 전멸하고 말았다. 신립은 강물에 몸을 던져 자결하였고, 부장이였던 김여물(金汝物) 역시 따라 자결했다.


4.신립에 대한 역사속 평가

신립은 조선 중엽의 최고의 기병 권위자였고 선조는 이러한 신립을 크게 우대해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상방검을 하사하면서 자신의 권한을 위임할 정도였다.

하지만 류성룡(柳成龍)은 신립을 그다지 인정하지 않았다. 신립은 다양한 평가를 받는 장수인데, 험한 산세를 활용하여 방어하지 않고 배수진을 친 무능력한 장수라는 평가와 5백 기병으로 1만 군대를 격파한 기병의 달인, 단신으로 왜구의 부대에 뛰어들어 싸운 용맹한 장수, 왜구를 벨 힘이 다하자 스스로 몸을 강에 던져 자결할 정도로 강한 성품 이라는 평가와 함께, 외고집이고 자신의 주장만을 강요하는 사람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다만 수적 열세에도 불구, 목숨을 걸고 일본군과 싸운 장수임에는 이견이 없다.

신립은 자만심이 지나쳐 일본군이 쓰던 조총을 너무 무시했는데, 재장전이 길고 명중률이 없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고 기동력이 풍부한 기마대와 바로 쏘고 빠른 장전이 가능한 활이 더 성능이 좋다고 생각했다. 그의 생각은 기마전투에는 맞을지 모르지만, 당시 탄금대 상황에서는 옳지 않은 판단이었다. 적장 고니시 유키나가는 "천하의 요새를 버린 이 조선의 장수는 분명 바보일 것"이라고 조롱했다고 전한다.



5.올드코난이 생각하는 신립

신립은 분명 용맹한 장수임에는 분명하다. 반면 지략과 덕망은 매우 부족하다 여겨진다. 임진왜란 전 평안도 병마절도사 등의 요직에 올랐을 당시 조선군의 전쟁 대비태세를 점검할 때, 군사의 훈련이나 무기등을 점검한 것이 아니라 수령들에게 접대를 받기만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징비록에도 신립이 당시 이런 행태를 남겼는데, 신립은 오만하고 권위적이며, 과시욕이 많았던 인물로 여겨진다.

탄금대 전투에서도 그의 장점이 기마 전술이기에 그대로 밀어부쳤다는 점은 지략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당시 탄금대 병력은 아무리 급조되었다고 해도 그 수가 매우 많았다. 요충지 조령에 단 1만명의 수비대만 남겨두었어도 탄금대에서 그리 허무하게 패하지 않았을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권율장군, 홍의장군 곽재우, 이순신 장군 등이 열락한 상황에서도 승리를 거둘수 있었던 것과 비교해 보면, 신립은 여러면에서 부족함을 느끼게 된다.

글 작성/편집 올드코난 (Old Conan)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요즘,트위터,미투데이,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안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