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국사-조선 56

임진왜란 3번째 전투, 동래성 전투 과정과 결과

동래성 전투(東萊城戰鬪) 1592년 5월 25일(음력 4월 15일) 부산진 전투에 이어 일어난 임진왜란 두 번째 전투로 동래 부사 송상현이 2시간을 버티며 왜군을 끝까지 막아냈으나 결국 전사하고 동래성은 함락되었다.임진왜란 3번째 전투, 동래성 전투 과정과 결과 1.전투전임진왜란전부터 동래 부사 송상현은 일본이 쳐들어올 것을 대비해 동래성 주변에 나무를 최대한 많이 심어서 외부에서는 동래성을 관측하기 어렵게 만들어 놓는 등 만반의 준비를 했다. 1592년 5월 24일(음력 4월 14일) 부산성이 함락되고 정발을 포함한 조선군은 전멸을 하게 되고, 다음날 고니시의 일본군은 동래성을 겨냥해 움직인다. 부산성이 소규모였다면, 동래성은 실질적인 대규모의 전투였다. 2.2번째 전투 다대포 전투 패전다대포 전투(多..

임진왜란 첫 번째 전투, 부산진 전투(釜山鎭戰鬪)

임진왜란 첫 번째 전투, 부산진 전투(釜山鎭戰鬪)는 참혹한 패배였지만, 장렬한 최후였다. 1.전투 전 정발은 임란 발발 직전 부산포에서 일본인들이 사라지는 것을 보고 심상치 않은 느낌을 받아서 사냥을 통한 군사 훈련을 절영도에서 시키고 있던 참이었다. 일본군의 침략사실을 알게 된 정발은 급히 부산진 소속 판옥선들을 자침시키고 부산진으로 돌아가 백성들을 부산진성으로 소개시키는 등 방비를 서둘렀다. 그러나 부산진의 병력은 600여명에 불과했고 피난민들을 합쳐서 겨우 천여명에 불과한 수준에 불과했다. 무엇보다 그의 상관인 박홍은 무능한 겁쟁이였다. 2.부산진 전투(釜山鎭戰鬪)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 정벌을 명하자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대장 고니시 유키나가와 그의 사위 소 요시토시가 포함된..

임진왜란 전 동아시아 (조선, 명, 왜) 상황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년(임진년, 선조 25)에서 1598년(선조 31)까지 조선에서 벌어진 조선과 왜의 7년전쟁. 조선왕조실록에 제1차 침략을 임진왜란, 1597년의 제2차 침략을 정유재란(丁酉再亂)이라고 구별하여 부른다. 최근 '조일전쟁, 임진전쟁'이라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당시 왜의 연호를 따서 문록·경장의 역(일본어: 文禄・慶長の役 분로쿠게이초노에키)이라고 부르며, 북한에서는 임진조국전쟁(壬辰祖國戰爭)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당시 명 황제 만력제의 호를 따 만력조선전쟁(萬曆朝鮮戰爭)이라고 부른다. 조선은 물론 일본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역사를 바꾼 당시 세계 최대 규모로 벌어진 임진왜란에 대해 차근 정리해 보겠다. (주로 위키백과, 징비록, 국사 교과서를 참고해 본다.) 임진왜란 (조일..

한국사 연표 (고대~현대 요약)

한국사 연표 (고대부터 1995년까지 연도별 요약 정리)[기원전]10000년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단구 제3문화층. 욕지도(欲知島)유적지 등의 세석기 제작.6000년 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Ⅰ류 제작사용. 부산 동삼동하층 형성.5000년 서울 암사동유적 형성.4000년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하층의 제1기 및 제2기 문화층, 온천 궁산리유적 하층 문화 등 형성.3500년 중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Ⅱ류.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3˙4˙5기 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 부산 동삼동유적 4층 두도기 형성.3000년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6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3문화층, 회령 오동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2333..

조선시대 붕당 정치는 당쟁이 아니라 동양 최초의 양당 정치의 시작이다.

[들어가기전] 우리들은 대부분 조선시대의 붕당(朋黨)을 당쟁(黨爭:당파 싸움)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그렇게 배워왔다. 하지만, 이는 일제 강점기 시대 일본이 우리 한민족에게 심어준 왜곡된 말로, 당쟁이 아닌 붕당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그리고, 조선시대 붕당은 조선만의 문제도 아니었으며, 18세기까지만해도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절대 낙후되지 않았다. 조선의 붕당정치가 뛰어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당시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부끄럽다고 말하는 것이야 말로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생각이다. 조선 붕당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본다. 조선시대 붕당 정치는 당쟁이 아니라 동양 최초의 민주적인 양당 정치의 시작이다. [조선시대 붕당 정치 설명] *참고 : 대부분 위키백과를 인용해 정리했습니다. 1.붕당 설명..

천민으로만 알고 있는 백정 (白丁) 실은 북방유목민 타타르인이었다. (백정 뜻과 유래)

[들어가기전] 조신시대 천민 계급 백정 (白丁)에 대한 브리태니커 백과 설명 1423년(세종 5) 국가에서 이전의 화척(禾尺:楊水尺)·재인(才人)에게 농토를 주고 정착시키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이들의 명칭을 신백정(新白丁)이라고 개칭했다. 이는 이들이 일반농민이 되었다는 뜻이었으나, 이후 오히려 '백정'이란 용어가 천민집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변질되는 계기가 되었다. 화척의 기원은 고려시대에 들어온 북방 유목민인 타타르인(韃靼人) 계통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조선시대까지도 자기들끼리 무리를 이루어 유랑하거나 별도로 부락을 이루어 살았으며 일반민과 통혼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착한 집단일지라도 일반인과 구별해 국역과 조세부담은 지지 않았다. 다만 사옹원에 소속되어 1호당 1정씩 차출되어 수유(酥油) 제조의 역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