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국사-조선 56

고종의 러시아공사관 피신 아관파천 (俄館播遷)의 뜻과 역사적 의미

120년 전 1896년 2월 11일 명성황후가 시해된 뒤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는데(아관파천) 당시 고종이 이동했던 길과 옛 러시아 공사관 건물이 단계적으로 복원된다고 한다. 아관파천에 대해 정리해 본다. 고종의 러시아공사관 피신 아관파천 (俄館播遷), 고종과 조정의 무능함이 조선을 러시아에게 갖다 바친 치욕적인 사건이었다. 1. 개요아관파천 (俄館播遷)은 노관파천(露館播遷)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아관은 당시 러시아 공사관을 뜻한다. 고종 황제가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 공사관으로 비신한 것을 아관파천이라고 한다. 2. 을미사변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에 대한 우월권을 확보한다. 여기에 청으로부터 랴오둥반도(遼東半島) 등지를 할양받지만 일본의 독주를 우려한 러시아와 프랑스·독일이 연합한 ..

조선후기 이인좌의 난(李麟佐亂) 내용과 영향

조선 영조는 여러가지 콤플렉스가 있었다. 무수리의 딸이라고 하는 혈통문제가 가장 컸고, 지지세력인 노론의 왕이라는 비아냥과 의붓형인 경종의 죽음에 관여했다는 의심등이다. 이런 것들이 영조 재임중 큰 부담이 되었는데, 이인좌의 난도 이런 배경이 있다. 정리해 본다.조선후기 영조시대 초기 최대 위기였던 반란 사건, 이인좌의 난(李麟佐亂; 무신난(戊申亂);영남란(嶺南亂)의 내용과 결과 1.개요영조4년 1728년 3월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며 정권에서 배제된 소론과 남인의 일부가 연합해 일으킨 반란으로 이인좌가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이인좌의 난이라고 하며, 무신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무신란이라고도 한다. 이인좌는 선조 때 붕당을 예견했던 명재상 이준경의 후손이자 남인 윤휴의 손자사위여서..

조선시대 대원군 4명 요약

조선시대에 대원군이라고 불리운 사람은 단 4명뿐이다. 이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본다. 1. 덕흥대원군조선 최초의 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본관 전주(全州), 휘는 이초(李岹), 자는 경앙(景仰), 아명(兒名)은 환수(歡壽). 조선 제14대 임금 선조의 생부로 선조는 덕흥대원군을 왕으로 추존하려 하였으나 신하들의 반대한다. 1569년(선조 2년) 11월 1일에 선조는 북송 영종의 생부 복왕(濮王)을 추존하는 고사를 따라 생부 덕흥군을 추숭하여 덕흥대원군으로, 생모 하동군부인은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으로 추존하고, 나라에서 제사를 지내 고하려면 황백부모(皇伯父母)를 칭한다.선조의 친형 하원군 정에게는 작위 정1품에, 4대에게 작위를 내리고 덕흥대..

조선을 여성차별 국가로 만든 세종대왕 (조선 세종 朝鮮 世宗)

요즘 역사에 부쪽 관심이 많아 주로 역사관련 서적들을 보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제가 오랫동안 특정인물들에 대해 무조건 옳다 혹은 나쁘다라는 단편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대표적인 인물이 지금 말하고자하는 세종대왕의 일화입니다. 대체적으로 훌륭한 업적을 남기셨지만, 현재까지 알아본 내용을 토대로 세종대왕의 최악의 실책은 여성차별로 꼽겠습니다. 정리해 봅니다.조선을 여성차별 국가로 만든 세종대왕 (조선 세종 朝鮮 世宗) 우선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이 발언에 주목해 보자. 경연에서 세종대왕이 신료에 한 말이다.세종 79권, 19년(1437 정사 / 명 정통(正統) 2년) 11월 12일(무술) 1번째기사《시경》을 강독하다가 부녀자와 환자의 내정 간섭을 논하다 - 중에서 경연에 나아가서, ..

고려멸망 조선건국의 원인 요동정벌과 위화도 회군

원명 교체기 명나라는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를 두어 만주와 요동을 명의 영토로 삼으로 하는데 이 과정에서 고려 분쟁이 생기기 시작한다. 당시 고려는 1356년(공민왕 5년)에 철령을 넘어 쌍성총관부를 수복하고, 관서 지방(關西地方)과 관북 지방(關北地方) 북쪽으로 영토를 넓혀가고 있었고 고려는 외교적으로 반원친명 정책을 펴고 있었다. 하지만 명나라가 감당하기 어려운 세공(歲貢)을 요구하면서 관계가 틀어지고 1387년(우왕 13년) 명나라가 고려 사신의 입국을 거부하고 1388년 음력 2월 귀국한 설장수(楔長壽)는 '명(明)이 철령(鐵嶺) 이북의 땅을 차지하려 한다'고 전한다. 고려의 요동정벌이 바로 이런 명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요동정벌과 이어진 위화도 회군에 대해 정리해 본다. 고려멸망 조선..

3일천하 갑신정변(甲申政變) 원인과 배경, 실패 이유, 평가

JTBC 뉴스룸이 소개하는 오늘의 역사- 1884년 12월4일 발생한 갑신정변에 대해 나왔는데, 이에 대해 대략적으로 정리해 본다. 3일천하로 끝난 갑신정변(甲申政變) 원인과 배경, 실패 이유, 평가 1.갑신정변 개요갑신정변(甲申政變) 혹은 갑신혁명(甲申革命)이라고도 불린다. 1884년 12월 4일(고종 21년 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으로 진압 후, 갑신난, 갑신전란으로 불리다가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이를 갑신혁명당의 난(甲申革命黨의 亂)이라 불렀다. 2. 갑신정변 시대적 배경조선 후기 안동김씨로 시작된 세도정치와 오랫동안 조선시대를 지탱하던 계급사회는 조선의 정치 사회..

정유재란,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露梁海戰)

노량해전(露梁海戰)은 임진왜란 당시 1598년(선조 31년) 음력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이순신이 이끈 조선과 명나라의 연합수군이 노량해협에서 일본의 함대와 싸워 크게 무찌른 대첩으로서, 이순신의 마지막(전사한) 해전이기도 하다정유재란,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이며 이순신의 마지막 해전이었던 노량해전(露梁海戰) 결과 설명 1. 배경명과 왜의 협상이 결렬되자 1597년 왜군은 15만 대군을 동원 조선을 다시 침공했다. (정유재란 丁酉再亂) 초기에는 원균의 조선 수군을 궤멸시키고 하삼도를 유린하던 왜군은 이순신의 복귀와 명나라의 원병, 조선 의병의 활약으로 전세를 역전당하고 본국으로 돌아가기를 학수고대하는 상황이 되었다. 정유재란 발발 다음해인 1598년 음력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

정유재란, 순천왜성 전투 이순신 최후의 승리 장도해전(獐島海戰) 설명

사로병진작전으로 사천성 전투가 벌어지던 때에 순천 왜성에서 전투가 벌어진다. 하지만, 실재로는 육지에서 전투는 벌어지지 않고 바다에서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를 장도해전이라고 한다. 정리해 본다.정유재란, 순천왜성 전투 혹은 왜교성 전투(倭橋城 戰鬪)와 이순신 장군 최후의 승리 장도해전(獐島海戰) 설명 1. 풍신수길의 사망과 왜의 철군 결정1598년 8월 18일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 직후 고부교(奉行)과 고다이로(大老)는 일본군의 철병을 결정한다. 2. 사로병진작전풍신수길의 사망과 철군 소식이 조선 조정에 알려지고 조·명 연합군은 철병하는 왜군을 추격하는 것으로 전략을 변경한다.1598년 7월 경략(經略) 형개(邢驚)가 한성으로 당도하고 명군은 조선..

정유재란, 사로병진작전 (四路竝進作戰)과 사천 전투(泗川 戰鬪, 사천성전투)

사천 전투(泗川 戰鬪)는 1598년 10월, 조선 경상도 사천 선진리왜성에서 벌어진 전투로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가 인솔하는 시마즈군 7천 명과 약 4만 명의 조·명 연합군이 싸워 사실상 패배한 전투였다. 정유재란, 사로병진작전 (四路竝進作戰)과 사천 전투(泗川 戰鬪, 사천성전투) 1. 사로병진작전(四路竝進作戰)1598년 9월 말부터 10월 초에 걸쳐 조·명 연합군은 서로군· 중로군· 동로군을 편성해 서쪽에서 순천왜성(고니시군), 사천 선진리 왜성(시마즈군), 울산왜성(가토군)에 대해 육상의 삼로군과 수로군으로 왜군을 동시에 공격한다는 사로병진작전(四路竝進作戰)에 돌입했다. 2. 전투전 상황삼로군 중 명나라 장수 동일원이 인솔하는 중로군 4만 명의 조·명 연합군이 시마즈군이 주둔하는 사천 선진리 왜성..

조선 수군의 대승 절이도 해전(折爾島海戰)이 평가 절하된 이유 설명

절이도 해전(折爾島海戰, 1598년)은 선조 31년인 1598년 8월 20일(무술년 음력 7월 19일) 절이도(거금도)에서 조명 연합 수군과 왜의 수군 사이에 벌어진 해전으로 수정실록에는 상세한 기록이 빠져있다. 대승이라고만 기록이 되었는데, 절이도 해전이 왜 평가가 절하되었는지 정리해 본다.정유재란, 조선 수군의 대승 절이도 해전(折爾島海戰)이 평가 절하된 이유 설명 1. 전투 전 상황명량해전이후 왜의 수군의 사기는 떨어졌지만, 수적으로는 여전히 많았다. 당시 왜의 수군의 요새지는 예교(광양만)로 그전에 전라도 지역의 왜의 수군을 공략해 전라도 앞바다를 장악해야 했다. 문제는 명의 제독 진린이 겁쟁이면서도 공명심이 많은 자였는데, 전공 욕심에 이순신을 방해하고 났다.이순신은 진린의 행태를 조선 조정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