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록 24480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철면피

철면피 옛날에 왕광원이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는 똑똑하고 재능이 뛰어나 과 거에 시험에 합격했어요. 그런데 이 사람은 출세를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 과 방법도 가리지 않았어요. 특히 윗사람에게 아첨이 심했지요. 어느 날 높은 벼슬아치 하나가 시를 한 수 지었어요. 그러자 옆에 있던 왕광원이 말했어요. "아, 이렇게 훌륭한 시는 제가 열 번을 죽었다 깨어나도 보기 힘들 것입 니다. 정말 어르신의 인품이 그대로 담겨 있는 명문 중의 명문입니다. 이태 백이 살아 돌아온다 해도 이런 시는 짓지 못할 것입니다." 그의 말에 사람들이 눈살을 찌푸렸어요. "에이, 쯧쯧.... 저 친구 또 시작이구먼. 정말 눈꼴이 시어서 못 봐 주겠 군!" "그러게 말일세. 어쩌면 사람이 저렇게 능청스럽게 아첨을 떨 수 있는지, 원!..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천리안

천리안 옛날 중국에 양일이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는 지혜롭고 총명하여 29세 의 젊은 나이에 한 고을을 다스리는 현감이 되었어요. 하지만 현감이 된 뒤로 밤낮없이 방 안에 틀어박혀 책만 읽을 뿐 아무것 도 하지 않았어요. "자왈, 학이 시습지면 불역 열호아라! 음.... 공자님이 말씀하시기를, 배우 고 때로 익히면 그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현감은 도대체 고을을 다스리는 일에는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였어요. 그러자 현감의 밑에 있던 관리들은 그를 얕보기 시작했어요. "아직 어리고 순진해서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구나." 관리들은 현감의 눈을 피해 백성들을 괴롭히며 마음대로 재물을 빼앗았 어요. 백성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지요. "에구, 관리들 등쌀에 못 살겠구먼." "그러게 말일세. 관리들이..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백년 하청

백년 하청 양쯔 강과 함께 중국에서 제일 큰 강인 황하는 강물이 언제나 누런 황토 빛을 띠고 있어서 누를 황자, 강 하자를 써서 '황하'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백년 하청이란 황하가 항상 흐려서 맑을 때가 없다는 데서 비롯된 말로, 아무리 기다려도 기대하는 일이 이뤄지지 않음을 뜻해요. 옛날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는 힘이 몹시 약한 나라였어요. 북으로는 진 나라, 남으로는 초나라로부텨 수시로 공격을 당했지요. 그래서 오른쪽 뺨을 맞기가 무섭게 왼쪽 뺨을 맞는 형편이었어요. 그 무렵 정나라가 채나라로 쳐들어가 공자를 사로잡았어요. 당시 채나라 는 초나라의 속국(형식상 독립국이나 실제적으로는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 는 나라)이었으므로, 이에 대한 보복으로 초나라가 정나라로 쳐들어왔어요. 정나라는 큰 혼란에 빠..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오늘은 대보름날이에요. 달봉이와 달순이는 아빠의 손을 잡고서 뒷산으 로 달 구경을 나갔어요. "와, 환하다!" 꽉 찬 보름달이 빙긋 웃으며 달봉이와 달순이를 내려다보고 있었어요. "아빠, 그런데 왜 달은 한 달에 한 번만 동그래지는 거예요?" 달순이가 갑자기 엉뚱한 질문을 했어요. "달은 원래 동그랗단다. 그런데 달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주위를 한 달에 한 바퀴씩 돌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거지." "그럼 하는 하루에 한 바퀴씩 돌겠네요? 매일 아침마다 동쪽 하늘에서 동그랗게 뜨니까요." "바보,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거야." 달봉이가 낄낄거리며 말했어요. 그런데 옛날 사람들은 모두 달순이처럼 태양과 별들이 지구의 주위를 돌 고 있다..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보이콧

보이콧 이 말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대상을 고립시키기 위해 여럿이 같이 뭉쳐 배척하는 일.'이에요. 이를테면, 노동자가 단결하여 고용주의 부당한 횡포에 대항하는 것, 소비 자가 단결하여 어떤 상품을 사지 않는 불매 운동, 국제 질서를 어지럽힌 나라에 대해 주변 국가가 동맹하여 항의 표시를 하는 것 등이 있겠지요. 이 말은 아일랜드의 지주 캡틴 보이콧(1832-97)에게서 유래되었어요. 한 때 육군 대위였던 이 지주는 어찌나 소작농들에게 지독하게 굴었던지 농민 들의 반발뿐 아니라 지주 사회에서도 따돌림을 받고 있었어요. 1879년 아일랜드에는 전에 없는 큰 흉년이 들었어요. 그러자 농민들은 걱정거리에 휩싸였어요. "큰일이오.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농민들은 저마다 땅이 꺼져라 한숨만 쉬었어요...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햄릿형 인간

햄릿형 인간 이 말은 셰익스피어의 작품 석에 나오는 주인공 이름에서 따온 거예요. 셰익스피어는 영국 여왕이 식민지인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던 영국의 대문호이지요. 희곡 '햄릿'은 셰익스피어의 대표작이며, 그의 4대 비극 중에 서도 최고로 꼽히는 작품이에요. 이 작품의 대사 가운데는 오늘날까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는 것이 많아 요.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로다!' 이 말은 덴마크의 왕자 햄릿이 아버지가 죽은 지 두 달만에 숙부와 재혼 한 어머니를 보고 절망하여 외친 말이에요. 그 뒤 햄릿은 죽은 아버지의 망령으로부터 숙부에게 살해당했다는 얘기 를 전해 듣고 고민하지요. 그는 원수를 갚겠다고 다짐을 하지만 이를 행동 에 옮기지 못함 채 괴로움에 몸부림치면서 자신의 심정을 이렇게 털어놓지 요. '죽..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산타 클로스

산타 클로스 흰 수염에 붉은 옷을 입고 가죽 장화를 신은 '산타 클로스'는 우리에게 매우 낯익은 존재이지요. 특히 크리스마스 이브에 착한 어린이들에게 선물 을 가져다 준다는 전설로 어린이들에게 더욱 친숙한 이름이에요. 산타 클로스란 이름은 크리스트교의 성인 니콜라스에서 비롯되었어요. 니콜라스는 4세기경 소아시아(지금의 터키) 지방 리키아의 수도 뮈라의 주교였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가 실제 존재했는지는 어떤 역사 문헌에도 나와 있지 않았지만, 전설에 따라 그의 생애를 엮어 볼 수는 있어요. 그는 고대 리키아의 항구 도시에서 태어나, 청년 시절에 팔레스타인과 이집트 지방을 여행하고 돌아온 다음, 리키아의 수도 뮈라의 주교가 되었 어요. 그 뒤 로마의 크리스트교 박해 때 감옥에 갇히기도 했지만, 크리스트 교를..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콜럼버스의 달걀

콜럼버스의 달걀 옛날에는 지구촌이라는 말이 없었어요.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로 왕래가 자유롭지 못했지요. 그래서 지구에 어떤 나라들이 있는지 아 무도 정확히 알지 못했어요. 하지만 중국에서 발명한 나침반이 유럽에 전해지고 지구가 둥글다는 사 실이 알려지면서 다른 대륙에 있는 나라들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 어요. "저 바다 건너에는 어떤 나라가 있을까?" "소문 들었나? 동방에 인도라는 나라가 있는데 거긴 황금이 길바닥에 마 구 널려 있대!" 유렵인들은 배를 타고 바다 건너 새로운 땅을 찾아 탐험에 나섰어요. 그 렇게 인도로 가는 뱃길을 찾으려고 항해를 하다가 우연히 신대륙을 발견하 게 된 거지요. 이 신대륙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바로 이탈리아의 탐험가 콜럼버스예요. 신대륙을 발견하고 돌..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클레오파트라의 코

클레오파트라의 코 '클레오파트라' 하면 흔히 동양의 양귀비와 쌍벽을 이루는 서양의 대표적 인 미인으로 알려져 있어요. 클레오파트라는 이집트 왕국의 마지막 여왕이에요. 아버지 프톨레마이오 스 12세가 죽자 동생인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함께 이집트를 통치하게 되 었어요. 그러나 점차 두 사람의 사이가 틀어지게 되었어요. 따라서 궁정도 두 파로 나뉘어 싸움을 벌이게 되었지요. 이 때 마침 로마의 실권자인 카이사르가 이집트로 원정을 왔어요. 클레 오파트라는 매우 기뻐했어요. '옳지, 좋은 기회다! 그의 힘을 빌어야지....' 마침내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르의 마음을 사로잡아 그의 도움으로 왕권 을 잡았어요. 뿐만 아니라 그의 아들 케사리온도 낳았어요. 그 후 카이사르가 암살을 당하자, 클레오파트라는 새로운 실력..

배움/자료 2010.06.02

부모가 자녀들에게 들려주는 재미있는 상식 -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 발뒤꿈치 바로 위에서 장딴지로 이어지는 힘줄은 '아킬레스건'이라고 해 요. 이것은 걷는 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갑자기 뛰거나 심한 충격 을 받으면 끊어지는 수도 있어요. 이 '아킬레스건'은 그리스 신화의 영웅 아킬레스에서 유래된 거지요. 아킬레스는 보통 사람과 달랐어요. 아버지 펠레우스는 인간이었지만, 어 머니 테티스는 여신이었어요. 아킬레스는 태어날 때부터 골격이 우람했어요. '이 아이를 훌륭한 장수로 키워야지....' 어머니 테티스는 아킬레스를 안고 저승의 경계를 흐르는 스틱스 강가로 나갔어요. 그 강물에 몸을 담그면 창칼이나 화살을 맞아도 상처를 입지 않 았거든요. 테티스는 아킬레스의 발목을 두 손으로 잡아 거꾸로 들고 몸을 씻겼어 요. "자, 이제 누구도 너를 죽일 수가 없을 거..

배움/자료 2010.06.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