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맹모단기 (孟母斷機)[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학문을 폴기하지 말라는 뜻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맹모단기 (孟母斷機) 孟:맏 맹. 母:어미 모. 斷:끊을 단. 機:베틀 기. [원말]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동의어] 단기지계(斷機之戒). 단기계(斷機戒). [유사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출전]《列女傳》〈母儀傳〉.《蒙求(몽구)》 맹자의 어머니가 [유학(遊學) 도중에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기 위해] 베틀에 건 날실을 끊었다는 뜻으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짜고 있던 베의 날실을 끊어 버리는 것과 같다는 말. 전국 시대를 살다 간 맹자의 어머니의 훈육 일화이다. 집을 떠나 타향에서 공부하던[遊學] 어린 맹자가 어느 날 느닷없이 집에 돌아왔다. 어머니가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 때 맹자의 어머니는 베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맹모삼천 (孟母三遷)[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맹모삼천 (孟母三遷) 孟:맏 맹. 母:어미 모. 三:석 삼. 遷:옮길 천. [원말]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동의어] 삼천지교(三遷之敎). [유사어] 현모지교(賢母之敎).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출전]《列女傳》〈母儀傳(모의전)〉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교사. 전국 시대, 유학자(儒學者)의 중심 인물로서 성인(聖人) 공자에 버금가는 아성(亞聖) 맹자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손에 자랐다. 맹자의 어머니는 처음 묘지 근처에 살았는데 어린 맹자는 묘지 파는 흉내만 내며 놀았다. 그래서 교육상 좋지 않다고 생각한 맹자의 어머니는 시장 근처로 이사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물건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명경지수 (明鏡止水)[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티없이 맑고 고요한 심경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명경지수 (明鏡止水) 明:밝을 명. 鏡:거울 경. 止:그칠 지. 水:물 수. [출전]《莊子》〈德充符篇〉 맑을 거울과 조용한 물이라는 뜻으로, 티없이 맑고 고요한 심경을 이르는 말. 《장자(莊子)》〈덕충부편(德充符篇)〉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춘추 시대, 노(魯)나라에 왕태(王駘)라는 학덕이 높은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유교의 비조(鼻祖)인 공자와 맞먹을 만큼 많은 제자들은 가르치고 있었다. 그래서 공자의 제자인 상계(常季)는 불만스럽다는 듯이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 저 올자(兀者)는 어째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흠모를 받고 있는 것입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그것은 그분의 마음이 조용하기 때문이다. 사람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모순 (矛盾)[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모순 (矛盾) 矛:창 모. 盾:방패 순. [유사어] 자가당착(自家撞着). [출전]《韓非子》〈難勢篇〉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 어느 날 초나라 장사꾼이 저잣거리에 방패[盾]와 창[矛]을 늘어놓고 팔고 있었다. “자, 여기 이 방패를 보십시오. 이 방패는 어찌나 견고한지 제아무리 날카로운 창이라도 막아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랑한 다음 이번에는 창을 집어들고 외쳐댔다. “자, 이 창을 보십시오. 이 창은 어찌나 날카로운지 꿰뚫지 못하는 것이 없습니다.” 그러자 구경꾼들 속에서 이런 질문이 튀어나왔다. “그럼, 그 창으로 그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되는 거요?” 장사꾼은 대답을 못하고 서둘러 그 자리를 떠났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무산지몽 (巫山之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녀간의 밀회(密會)나 정교(情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무산지몽 (巫山之夢) 巫:무당 무. 山:메 산. 之:갈 지(…의). 夢:꿈 몽. [동의어] 조운모우(朝雲暮雨). 천침석(薦枕席). [유사어] 무산지운(巫山之雲). 무산지우(巫山之雨). [출전]《文選》〈宋玉 高唐賦〉 무산(巫山)의 꿈이란 뜻으로, 남녀간의 밀회(密會)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전국 시대, 초나라 양왕(襄王)의 선왕(先王)이 어느 날 고당관(高唐館)에서 노닐다가 피곤하여 낮잠을 잤다. 그러자 꿈속에 아름다운 여인이 나타나 고운 목소리로 말했다. “소첩(小妾)은 무산에 사는 여인이온데 전하께오서 고당에 납시었다는 말씀을 듣자옵고 침석(枕席:잠자리)을 받들고자 왔나이다.” 왕은 기꺼이 그 여인과 운우지정(雲雨..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묵적지수 (墨翟之守)[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자기 의견이나 주장을 굽히지 않고 끝까지 지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묵적지수 (墨翟之守) 墨:먹 묵. 翟:꿩 적. 之:갈 지(…의). 守:지킬 수. [준말] 묵수(墨守) [출전]《墨子》〈公輸盤篇〉 ‘묵적의 지킴’이란 뜻. 곧 ① 자기 의견이나 주장을 굽히지 않고 끝까지 지킴. ② 융통성이 없음의 비유. 춘추 시대의 사상가로서 ‘자타 차별 없이 서로 똑같이 사랑하고 이롭게 하자’는 겸애교리설(兼愛交利說:兼愛說)과 비전론(非戰論)을 주창한 묵자[墨子:이름은 적(翟), B.C. 480~390]의 이야기이다. 초(楚)나라의 도읍 영[郢:호북성(湖北省) 내]에 도착한 묵자는 공수반(公輸盤)을 찾아갔다. 그가 초왕을 위해 운제계(雲梯械)라는 새로운 공성기(攻城機:성을 공격하는 기계)를 만들어 송(宋..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문경지교 (刎頸之交)[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목을 베어 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사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문경지교 (刎頸之交) 刎:목 찌를 문. 頸:목 경. 之:갈 지(…의). 交:사귈‧벗 교. [동의어] 문경지계(刎頸之契). [유사어] 관포지교(管鮑之交). 금란지계(金蘭之契). 단금지계(斷金之契). [참조] 완벽(完璧). [출전]《史記》〈廉頗藺相如列傳〉 목을 베어 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사귐. 또 그런 벗. 전국 시대,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의 신하 목현(繆賢)의 식객에 인상여(藺相如)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진(秦)나라 소양왕(昭襄王)에게 빼앗길 뻔했던 천하 명옥(名玉)인 화씨지벽(和氏之璧)을 원상태로 가지고 돌아온 공으로 일약 상대부(上大夫)에 임명됐다. 그리고 3년 후(B.C. 280), 소양왕과 혜문왕을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문전성시 (門前成市)[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권세가나 부잣집 문 앞이 방문객으로 저자를 이루다시피 붐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문전성시 (門前成市) 門:문 문. 前:앞 전. 成:이룰 성. 市:저자‧도시‧시가 시. [유사어] 문전여시(門前如市). 문정여시(門庭如市). [반의어] 문외가설작라(門外可設雀羅). 문전작라(門前雀羅). [출전]《漢書》〈孫寶傳〉〈鄭崇傳〉 문 앞이 저자(市]를 이룬다는 뜻으로, 권세가나 부잣집 문 앞이 방문객으로 저자를 이루다시피 붐빈다는 말. 전한(前漢) 말, 11대 황제인 애제(哀帝:B.C. 6~1) 때의 일이다. 애제가 즉위하자 조정의 실권은 대사마(大司馬:국방 장관) 왕망[王莽:훗날 전한을 멸하고 신(新)나라를 세움]을 포함한 왕씨 일족으로부터 역시 외척인 부씨(傅氏:애제의 할머니), 정씨(丁氏:어머니) 두 가문으로 넘..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문전작라 (門前雀羅)[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권세를 잃거나 빈천(貧賤)해지면 방문객의 발길이 끊어진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문전작라 (門前雀羅) 門:문 문. 前:앞 전. 雀:참새 작. 羅:벌일 라. [원말] 문외가설작라(門外可設雀羅). [반의어] 문전성시(門前成市). [출전]《史記》〈汲鄭列傳〉. 백거이(白居易)의〈寓意詩〉 문 앞에 새그물을 친다는 뜻으로, 권세를 잃거나 빈천(貧賤)해지면 문 앞(밖)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방문객의 발길이 끊어진다는 말. 전한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급암(汲黯)과 정당시(鄭當詩)라는 두 현신(賢臣)이 있었다. 그들은 한때 각기 구경(九卿:9개 부처의 각 으뜸 벼슬)의 지위에까지 오른 적도 있었지만 둘 다 개성이 강한 탓에 좌천‧면직‧재등용을 되풀이하다가 급암은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끝으로 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미봉 (彌縫)[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잘못된 것을 그때 그때 임시 변통으로 이리저리 주선해서 꾸며 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미봉 (彌縫) 彌:더할‧많을 미. 縫:꿰맬 봉. [유사어] 고식(姑息). 임시변통(臨時變通). [출전]《春秋左氏傳》〈桓公五年條〉 빈 구석이나 잘못된 것을 그때 그때 임시 변통으로 이리저리 주선해서 꾸며 댐. 춘추 시대인 주(周)나라 환왕(桓王) 13년(B.C. 707)의 일이다. 환왕은 명목상의 천자국(天子國)으로 전락한 주나라의 세력을 만회하기 위해 정(鄭)나라를 치기로 했다. 당시 정나라 장공(莊公)은 날로 강성해지는 국력을 배경으로 천자인 환왕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환왕은 우선 장공으로부터 왕실 경사(卿士)로서의 정치상 실권을 박탈했다. 이 조치에 분개한 장공이 조현(朝見:신하가 임금을 뵙는 일)을 중..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