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동호지필 (董狐之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정직한 기록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동호지필 (董狐之筆) 董:동독할 동. 狐:여우 호. 之:갈 지(…의). 筆:붓 필. [동의어] 태사지간(太史之簡). [출전]《春秋左氏傳》〈宣公二年條〉 ‘동호의 직필(直筆)’이라는 뜻. 곧 ① 정직한 기록. 기록을 맡은이가 직필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음을 이름. ②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적어 역사에 남기는 일. 춘추 시대, 진(晉)나라에 있었던 일이다. 대신인 조천(趙穿)이 무도한 영공(靈公)을 시해했다. 당시 재상격인 정경(正卿) 조순(趙盾)은 영공이 시해되기 며칠 전에 그의 해학을 피해 망명 길에 올랐으나 국경을 넘기 직전에 이 소식을 듣고 도읍으로 돌아왔다. 그러자 사관(史官)인 동호(董狐)가 공식 기..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득록망촉 (得隴望蜀)[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만족할 줄 모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득록망촉 (得隴望蜀) 得:얻을 득. 隴:땅 이름 롱. 望:바랄 망. 蜀:나라 이름 촉. [준말] 망촉(望蜀). [동의어] 평롱망촉(平隴望蜀), 망촉지탄(望蜀之歎). [유사어] 계학지욕(谿壑之慾), 차청차규(借廳借閨), 거어지탄(車魚之歎), 기마욕솔노(騎馬欲率奴). [참조]계륵(谿肋). [출전]《後漢書》〈光武記〉〈獻帝記〉.《三國志》〈魏志〉 농을 얻고 나니 촉을 갖고 싶다는 뜻. 곧 ①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② 한 가지 소원을 이룬 다음 또다시 다른 소원을 이루고자 함을 비유. ③ 만족할 줄 모름의 비유. ① 후한을 세운 광무제 유수(劉秀)가 처음으로 낙양에 입성하여 이를 도읍으로 삼았을 무렵(A.D. 26..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등용문 (登龍門)[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주요한 시험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등용문 (登龍門) 登:오를 등. 龍:용 룡. 門:문 문. [반의어] 점액(點額). 용문점액(龍門點額). [출전]《後漢書》〈李應傳〉 용문에 오른다는 뜻. 곧 ① 입신 출세의 관문을 일컫는 말. ② 영달의 비유. ③ 주요한 시험의 비유. ④ 유력자를 만나는 일. 용문(龍門)은 황하(黃河) 상류의 산서성(山西省)과 섬서성(陝西省)의 경계에 있는 협곡의 이름인데 이곳을 흐르는 여울은 어찌나 세차고 빠른지 큰 물고기도 여간해서 거슬러 올라가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나 일단 오르기만 하면 그 물고기는 용이 된다는 전설이 있다. 따라서 ‘용문에 오른다’는 것은 극한의 난관을 돌파하고 약진의 기회를 얻는다는 말인데 중국에서는 진사(進士)..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마부작침 (磨斧作針)[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노력을 거듭해서 목적을 달성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마부작침 (磨斧作針) 磨:갈 마. 斧:도끼 부. 作:지을(만들) 작. 針:바늘 침. [동의어] 철저성침[鐵杵成針(鍼)]. 마저작침[磨杵作針(鍼)]. [유사어] 우공이산(愚公移山). 수적천석(水滴穿石). [유사어]《唐書》〈文藝(苑)傳〉.《方與勝覽(방여승람)》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 곧 ①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계속하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함의 비유. ② 노력을 거듭해서 목적을 달성함의 비유. ③ 끈기 있게 학문이나 일에 힘씀의 비유. 시선(詩仙)으로 불리던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자는 태백(太白), 701~762]의 어렸을 때의 이야기이다. 이백은 아버지의 임지인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서 자랐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마이동풍 (馬耳東風)[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 버린다는 의미로 쓰이는 사자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에 대해 정리해 본다. 馬:말 마. 耳:귀 이. 東:동녘 동. 風:바람 풍. [유사어] 우이독경(牛耳讀經). 오불관언(吾不關焉). 대우탄금(對牛彈琴). [출전]《李太白集》〈券十八〉 말의 귀에 동풍(東風:春風)이 불어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 버림의 비유. ② 무슨 말을 들어도 전혀 느끼지 못함의 비유. ③ 남의 일에 상관하지 않음의 비유. 당나라의 대시인 이백(李白)이 벗 왕십이(王十二)로부터〈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추운 방에 홀로 술잔을 기울이며 느낀 바 있어서)]〉라는 시 한 수를 받자 이에 답하여〈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라는 시를 보냈는데..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만가 (輓歌)[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만가 (輓歌) 輓:수레 끌 만. 歌:노래 가. [출전]《古今洼》〈音樂篇〉,《晉書》〈禮志篇〉,《古詩源》 〈薤露歌〉〈蒿里曲〉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한(漢)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즉위하기 직전의 일이다. 한나라 창업 삼걸(三傑) 중 한 사람인 한신(韓信)에게 급습 당한 제왕(齊王) 전횡(田橫)은 그 분풀이로 유방이 보낸 세객(說客) 역이기(酈食其)를 삶아 죽여 버렸다. 이윽고 고조가 즉위하자 보복을 두려워한 전횡은 500여 명의 부하와 함께 발해만(渤海灣)에 있는 지금의 전횡도(田橫島)로 도망갔다. 그 후 고조는 전횡이 반란을 일으킬까 우려하여 그를 용서하고 불렸다. 전횡은 일단 부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만사휴의 (萬事休矣)[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떻게 달리 해볼 도리가 없다는 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만사휴의 (萬事休矣) 萬:일만 만. 事:일 사. 休:그칠‧쉴 휴. 矣:어조사 의(…이다). [유사어] 능사필의(能事畢矣). [출전]《宋史》〈荊南高氏世家〉 모든 일이 끝장났다(가망 없다)는 뜻으로, 어떻게 달리 해볼 도리가 없다는 말. 당나라가 망하고 송(宋:北宋, 960~1127) 나라가 일어날 때까지 53년 동안에 중원에는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晉)‧후한(後漢)‧후주(後周)의 다섯 왕조가 일어났다가 쓰러지곤 했는데 이 시대를 오대[五代:후오대(後五代)의 준말]라 일컫는다. 또 다시 중원을 벗어난 각 지방에는 전촉(前蜀)‧오(吳)‧남한(南漢)‧형남(荊南)‧오월(吳越)‧초(楚)‧민(閩)‧남당(南唐)‧후촉(後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망국지음 (亡國之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나라를 망치는 음악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망국지음 (亡國之音) 亡:망할 망. 國:나라 국. 之:갈 지(…의). 音:소리 음. [동의어] 망국지성(亡國之聲). [유사어] 정위지음(鄭衛之音). [출전]《韓非子》〈十過篇〉.《禮記》〈樂記〉 나라를 망치는 음악이란 뜻. 곧 ① 음란하고 사치한 음악. ② 망한 나라의 음악. ③ 애조(哀調)를 띤 음악. ① 춘추 시대에 있었던 이야기이다. 어느 날 위(衛)나라 영공(靈公)이 진(晉)나라로 가던 도중 복수[濮水:산동성(山東省) 내] 강변에 이르자 이제까지 들어본 적이 없는 멋진 음악 소리가 들려 왔다. 영공은 자기도 모르게 멈춰 서서 잠시 넋을 잃고 듣다가 수행중인 사연(師涓)이란 악사(樂師)에게 그 음악을 잘 기억해두라고 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망양지탄 (望洋之歎)[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나의 미흡함을 부끄러워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망양지탄 (望洋之歎) 望:바랄‧바라볼 망. 洋:바다 양. 之:갈 지. 歎:탄식할‧감탄할 탄. [참조] 정중지와(井中之蛙). [출전]《莊子》〈秋水篇〉 넓은 바다를 보고 감탄한다는 뜻. 곧 ① 남의 원대함에 감탄하고, 나의 미흡함을 부끄러워함의 비유. ② 제 힘이 미치지 못할 때 하는 탄식. 먼 옛날 황하 중류의 맹진(孟津:하남성 내)에 하백(河伯)이라는 하신(河神)이 있었다. 어느 날 아침, 그는 금빛 찬란히 빛나는 강물을 보고 감탄하여 말했다. “이런 큰 강은 달리 또 없을 거야.” “그렇지 않습니다.” 뒤를 돌아보니 늙은 자라였다. “그럼, 황하보다 더 큰 물이 있단 말인고?” “그렇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해 뜨는 쪽에..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맥수지가(麥穗之歌), 맥수지탄 (麥秀之歎)[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고국이 멸망한 탄식

맥수지탄 (麥秀之歎) 麥:보리 맥. 秀:빼어날‧팰 수. 之:갈 지. 歎:탄식할‧감탄할 탄. [원말] 서리맥수지탄(黍離麥秀之歎). [동의어] 맥수서유(麥秀黍油). 맥수지시(麥秀之詩). [참조] 은감불원(殷鑑不遠). 주지육림(酒池肉林). [출전]《史記》〈宋微子世家〉.《詩經》〈王風篇〉 = 맥수지가(麥穗之歌)麥 보리 맥 ① 보리 ② 묻다 ③ 작다 ④ 맥류(麥類)의 총칭/ 획수 11획, 부수 (보리맥, 11획)穗 이삭 수 / 획수 17획, 부수 禾 (벼화, 17획)之 갈 지 ① 가다 ② 변하여 가다 ③ 이용하다 ④ 끼치다/ 획수 4획, 부수 丿 (삐침, 4획) 歌 노래 가 ① 노래 ② 노래하다 ③ 읊다 ④ 노래를 짓다/ 획수 14획, 부수 欠 (하품흠, 14획) 보리 이삭이 무성함을 탄식한다는 뜻. 곧 고국이 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