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백미 (白眉)[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백미 (白眉) 白:흰 백. 眉:눈썹 미. [출전]《三國志》〈蜀志 馬良傳〉 흰 눈썹[白眉]을 가진 사람이 가장 뛰어났다는 뜻. 곧 ① 형제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②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물건을 일컫는 말. 천하가 위(魏)‧오(吳)‧촉(蜀)의 세 나라로 나뉘어 서로 패권을 다투던 삼국 시대의 일이다. 유비(劉備)의 촉나라에 문무(文武)를 겸비한 마량(馬良)이라는 이름난 참모[후에 시중(侍中)이 됨]가 있었다. 그는 제갈량[諸葛亮:자는 공명(孔明)]과 문경지교(刎頸之交)를 맺은 사이로, 한번은 세 치[三寸]의 혀 하나로 남쪽 변방의 흉포한 오랑캐의 한 무리를 모두 부하로 삼는데 성공했을 정도로 덕성(德性)과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백발삼천장 (白髮三千丈)[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중국 문학의 과장적 표현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백발삼천장 (白髮三千丈) 白:흰 백. 髮:터럭 발. 三:석 삼. 千:일천 천. 丈:길 장. [출전] 이백(李白)의 시〈秋浦歌〉 흰 머리털의 길이가 삼천 길[仞]이란 뜻으로, 중국 문학의 과장적 표현으로 널리 인용되는 문구. ‘백발 삼천장’이란 당나라 시인 이백[李白]의 시〈추포가(秋浦歌)〉17수 중 한 수인 오언절구(五言絶句)에서 나온 말이다. 흰 머리털이 (자라 어느새) 삼천 길 [白髮三千丈(백발삼천장)] 근심으로 인하여 이처럼 길어졌네 [緣愁似箇長(연수사개장)] 알지 못해라 밝은 거울 속 [不知明鏡裏(부지명경리)] 어디서 가을 서리를 얻었는고 [何處得秋霜(하처득추상)] 이 시는 만년에 귀양에서 풀려난 이백이 추포(秋浦:안휘성 내)에 와서 거울을 보고 이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백아절현 (伯牙絶絃) 고산유수 (高山流水)[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친한 벗을 잃은 슬픔

친핫 벗을 잃었을 때를 표현한 사자성어 백아졀현에 대해 알아 본다.백아절현 (伯牙絶絃) 伯:맏 백. 牙:어금니 아. 絶:끊을 절. 絃:악기 줄 현. [준말] 절현(絶絃). [동의어] 백아파금(伯牙破琴). [유사어] 지음(知音), 고산유수(高山流水). [출전]《列子》〈湯問篇〉 백아가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뜻. 곧 ① 서로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벗[知己]의 죽음을 이르는 말. ② 친한 벗을 잃은 슬픔.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 높은 백아(伯牙)에게는 그 소리를 누구보다 잘 감상해 주는 친구 종자기(鐘子期)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높은 산과 큰 강의 분위기를 그려내려고 시도하면 옆에서 귀를 기율이고 있던 종자기의 입에서는 탄성이 연발한다. “아, 멋지다. 하늘 높이 우뚝 솟는 그 느낌은 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백안시(白眼視)[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을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백안시(白眼視) 白:흰 백. 眼:눈 안. 視:볼 시. [유사어] 백안(白眼). [반의어] 청안시(靑眼視). [출전]《晉書》〈阮籍傳〉 남을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 위진 시대(魏晉時代 : 3세기 후반)에 있었던 이야기이다. 노장(老莊)의 철학에 심취하여 대나무숲 속에 은거하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에 완적(阮籍)이 있었다. 그는 예의 범절에 얽매인 지식인을 보면 속물이라 하여 ‘백안시’했다고 한다. 어느 날 역시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혜강(嵇康)의 형 혜희(嵇喜)가 완적이 좋아하는 술과 거문고를 가지고 찾아왔다. 그러나 완적이 업신여기며 상대해 주지 않자 혜희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도망가듯 돌아갔다. 이처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백전백승 (百戰百勝)[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백전백승 (百戰百勝) 百:일백 백. 戰:싸울 전. 勝:이길 승. [동의어] 연전연승(連戰連勝). [유사어] 백발백중(百發百中). [반의어] 백전백패(百戰百敗). [출전]《孫子》〈謀攻篇〉 백 번 싸워 백 번 이긴다는 뜻으로, 싸울 때마다 반드시 이긴다는 말. 춘추 시대, 제(齊)나라 사람으로서 오왕(吳王) 합려(闔閭:B.C. 514~496)를 섬긴 병법가 손자(孫子:孫武)가 쓴《손자》〈모공편(謀攻篇)〉에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승리에는 두 종류가 있다. 적을 공격하지 않고서 얻는 승리와 적을 공격한 끝에 얻는 승리인데 전자는 최상책(最上策)이고 후자는 차선책(次善策)이다. ‘백 번 싸워 백 번 이겼다[百戰百勝]’해도 그것은 최상의 승리가 아니다. 싸우지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일단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覆:엎을 복. 水:물 수. 不:아니 불. 返:돌이킬 반. 盆:동이 분. [동의어] 복배지수(覆杯之水), 복수불수(覆水不收). [유사어] 낙화불반지(落花不返枝), 파경부조(破鏡不照), 파경지탄(破鏡之歎). [출전]《拾遺記(습유기)》 한번 엎지른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다는 뜻. 곧 ① 한번 떠난 아내는 다시 돌아올 수 없음의 비유. ② 일단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음의 비유. 주(周)나라 시조인 무왕(武王:發)의 아버지 서백(西伯:文王)이 사냥을 나갔다가 위수(渭水:황하의 큰 지류)에서 낚시질을 하고 있는 초라한 노인을 만났다. 이야기를 나누어 보니 학식이 탁월한 사람이었다. 그래서 서..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부마 (駙馬)[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임금의 사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부마 (駙馬) 駙:곁말 부. 馬:말 마. [원말] 부마도위(駙馬都尉). [출전]《搜神記(수신기)》 임금의 사위. 공주의 부군(夫君). 옛날 농서[隴書:감숙성(甘肅省)] 땅에 신도탁(辛道度)이란 젊은이가 있었다. 그는 이름 높은 스승을 찾아 옹주(雍州)로 가던 도중 날이 저물자 어느 큰 기와집의 솟을대문을 두드렸다. 이윽고 하녀가 나와 대문을 열었다. “옹주로 가는 나그네인데 하룻밤 재워 줄 수 없겠습니까?” 하녀는 잠시 기다리라며 안으로 들어갔다 나오더니 그를 안방으로 안내했다. 방 안에는 잘 차린 밥상이 있었는데 하녀가 사양 말고 먹으라고 한다. 식사가 끝나자 안주인이 들어왔다. “저는 진(秦)나라 민왕(閔王)의 딸이온..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분서갱유 (焚書坑儒)[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분서갱유 (焚書坑儒) 焚:불사를 분. 書:글 서. 坑:묻을 갱. 儒:선비 유. [출전]《史記》〈秦始皇紀〉,《十八史略》〈秦篇〉 책을 불사르고 선비를 산 채로 구덩이에 파묻어 죽인다는 뜻으로,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의 가혹한 법[苛法]과 혹독한 정치[酷政]을 이르는 말. 기원전 222년, 제(齊)나라를 끝으로 6국을 평정하고 전국 시대를 마감한 진나라 시황제 때의 일이다. 시황제는 천하를 통일하자 주(周)왕조 때의 봉건 제도를 폐지하고 사상 처음으로 중앙집권(中央執權)의 군현제도(郡縣制度)를 채택했다. 군현제를 실시한 지 8년이 되는 그 해(B.C. 213) 어느 날, 시황제가 베푼 함양궁(咸陽宮)의 잔치에서 박사(博士..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讎)[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함께 하늘을 이고 살 수 없는 원수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讎) 不:아니 불. 俱:함께 구. 戴:머리에 일 대. 天:하늘 천. 讎:원수 수. [준말] 대천지수(戴天之讎), 불공대천(不共戴天). [동의어] 불구대천지원수(不俱戴天之怨讎), 불공대천지수(不共戴天之讎). [출전]《禮記》〈曲禮篇〉,《孟子》〈盡心篇〉 함께 하늘을 이고 살 수 없는 원수란 뜻으로, 반드시 죽여야 할 원수를 일컫는 말. ①《예기(禮記)》〈곡례편(曲禮篇)〉에는 ‘불구대천지수’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아버지의 원수와는 함께 하늘을 이고 살 수 없고 [父之讎弗與共戴天(부지수불여공대천)] 형제의 원수를 보고 무기를 가지러 가면 늦으며[兄弟之讎不反兵(형제지수불반병)] 친구의 원수와는..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불수진 (拂鬚塵)[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권력자에게 아부(아첨)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불수진 (拂鬚塵) 拂:떨칠 불. 鬚:수염 수. 塵:티끌‧먼지 진. [준말] 불수(拂鬚). [출전]《宋史》〈寇準傳〉 (남의) 수염에 붙은 티끌을 털어 준다는 뜻. 곧 ① 윗사람이나 권력자에게 아부(아첨)함의 비유. ② 상사(上司)에 대한 비굴한 태도의 비유. 송(宋:北宋, 960~1127)나라의 4대 황제인 인종(仁宗:1022~1063) 때 강직하기로 유명한 구준(寇準)이라는 정의파 재상이 있었다. 그는 나라를 위해 여러 유능한 인재를 발탁, 천거했는데 참정(參政:從二品) 정위(丁謂)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 어느 날 구준이 정위를 포함한 중신들과 회식(會食)을 하는데 음식찌꺼기가 수염에 붙었다. 이것을 본 정위는 자리에서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