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새옹지마 (塞翁之馬)[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생의 길흉 화복(吉凶禍福)을 예측할 수 없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새옹지마 (塞翁之馬) 塞:변방 새. 翁:늙은이 옹. 之:갈 지(…의). 馬:말 마. [원말] 인간만사 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 [동의어] 새옹마(塞翁馬), 북옹마(北翁馬). [유사어] 새옹득실(塞翁得失), 새옹화복(塞翁禍福), 화복규목(禍福糾纆), 화복규승(禍福糾繩). [출전]《淮南子》〈人生訓〉 세상 만사가 변전무상(變轉無常)하므로, 인생의 길흉 화복(吉凶禍福)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 길흉화복의 덧없음의 비유. 옛날 중국 북방의 요새(要塞) 근처에 점을 잘 치는 한 노옹(老翁)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이 노옹의 말[馬]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노옹은 조금도 애석한 기색 없이 태연하..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서시빈목 (西施矉目)[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의 단점을 장점인 줄 알고 본뜸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서시빈목 (西施矉目) 西:서녘 서. 施:베풀 시. 矉:눈살 찌푸릴 빈. 目:눈 목. [원말] 효빈(效顰). [동의어] 서시봉심(西施捧心), 서시효빈(西施效矉). [출전]《莊子》〈天運篇〉 서시가 눈살을 찌푸린다는 뜻. 곧 ① 영문도 모르고 남의 흉내를 냄의 비유, ② 남의 단점을 장점인 줄 알고 본뜸의 비유. 춘추 시대 말엽, 오(吳)나라와의 전쟁에서 패한 월왕(越王) 구천(勾踐)은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방심을 유도하기 위해 절세의 미인 서시(西施)를 바쳤다. 그러나 서시는 가슴앓이로 말미암아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그녀는 길을 걸을 때 가슴의 통증 때문에 늘 눈살을 찌푸리고 걸었다. 이것을 본 그 마을의 추녀(醜..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서제막급 (噬臍莫及)[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기회를 잃고 후회해도 아무 소용없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서제막급 (噬臍莫及) 噬:씹을 서. 臍:배꼽 제. 莫:아닐‧없을 막. 及:미칠 급. [원말] 서제(噬臍). [동의어] 후회막급(後悔莫及). [출전]《春秋左氏專》〈莊公六年條〉 배꼽을 물려고 해도 입이 미치지 않는다는 뜻. 곧 기회를 잃고 후회해도 아무 소용없음의 비유. 기원전 7세기 말엽, 주왕조(周王朝) 장왕(莊王) 때의 이야기이다. 초(楚)나라 문왕(文王)이 지금의 하남성(河南省)에 있었던 신(申)나라를 치기 위해 역시 하남성에 있었던 등(鄧)나라를 지나가자 등나라의 임금인 기후(祁侯)는 ‘내 조카가 왔다’며 반갑게 맞이하여 진수성찬으로 환대했다. 그러자 세 현인(賢人)이 기후 앞으로 나와 이렇게 진언했다. “아뢰옵기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선시어외 (先始於隗)[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말한 사람(제안자)부터 시작하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선시어외 (先始於隗) 先:먼저 선. 始:비로소 시. 於:어조사 어(…에,…에서,…보다). 隗:높을 외. [출전]《戰國策》〈燕策 昭王〉 ‘먼저 외(隗)부터 시작하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나(너)부터 또는 말한 사람(제안자)부터 시작하라는 말. 전국 시대, 연(燕)나라가 영토의 태반을 제(齊)나라에 빼앗기고 있을 때의 일이다. 이런 어려운 시기에 즉위한 소왕(昭王)은 어느 날, 재상 곽외(郭隗)에게 실지(失地) 회복에 필요한 인재를 모으는 방법을 물었다. 곽외는 이렇게 대답했다. “신은 이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사옵니다. 옛날에 어느 왕이 천금(千金)을 가지고 천리마를 구하려 했으나 3년이 지나도 얻지 못했나이다. 그러..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선즉제인 (先則制人)[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선수를 치면 남을 제압할 수 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선즉제인 (先則制人) 先:먼저 선. 則:곧 즉(…그러면), 법 칙. 制:억제할 제. 人:사람 인. [대응어]~후즉위인소제(後則爲人所制). [유사어] 진승오광(陳勝吳廣). [출전]《史記》〈項羽本記〉,《漢書》〈項籍專〉 선손을 쓰면(선수를 치면) 남을 제압할 수 있다는 뜻. 진(秦)나라 2세 황제 원년(元年:B.C. 209)의 일이다. 진시황(秦始皇) 이래 계속되는 폭정에 항거하여 대택향[大澤鄕:안휘성 기현(安徽省 蘄縣)]에서 900여 명의 농민군을 이끌고 궐기한 날품팔이꾼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은 단숨에 기현을 석권하고 진[秦:하남성 회양(河南省淮陽)]에 입성했다. 이어 이곳에 장초(張楚)라는 나라를 세우고, 왕위에 오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성혜 (成蹊)[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덕(德)이 높은 사람은 자연히 사람들이 모여듦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성혜 (成蹊) 成:이룰 성. 蹊:지름길(샛길) 혜. [원말]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下自成蹊). [참조] 중석몰촉(中石沒钃). [출전]《史記》〈李將軍列傳〉 샛길이 생긴다는 뜻. 곧 덕(德)이 높은 사람은 자기 선전을 하지 않아도 자연히 사람들이 흠모하여 모여듦의 비유. 전한 6대 황제인 경제(景帝:B.C. 157~141)때 이광(李廣)이라는 명장이 있었다. 당시는 북방 흉노족(匈奴簇)과의 전쟁이 끊이지 않았던 때인 만큼 이광의 무용담(武勇談)도 자연히 흉노족과의 전쟁과 결부된 이야기가 많은데 이 이야기도 그중 하나이다. 어느 날, 이광은 불과 100여 기(騎)를 이끌고 적 후방 깊숙이 쳐들어가 목적한 기습 공격에 성공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소년이로 학난성 (少年易老學難成)[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소년이로 학난성 (少年易老學難成) 少:젊을 소. 易:쉬울 이. 老:늙을 로. 學:배울‧학문 학. 難:어려울 난. [출전] 주자(朱子)의《朱文公文集》〈勸學文〉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말. 이 말은 남송(南宋:1127~1279)의 대유학자(大儒學者)로서 송나라의 이학(理學)을 대성한 주자(朱子:朱熹)의《주문공문집(朱文公文集)》〈권학문(勸學文)〉에 나오는 시의 첫 구절이다.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 [少年易老 學難成(소년이로 학난성)] 순간 순간의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마라 [一寸光陰 不可輕(일촌광음 불가경)] 연못가의 봄풀이 채 꿈도 깨기 전에 [未覺池塘 春草夢(미각지당 춘초몽)] 계단..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송양지인 (宋襄之仁)[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무익한 동정이나 배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송양지인 (宋襄之仁) 宋:송나라 송. 襄:도울 양. 之:갈 지(…의). 仁:어질 인. [출전]《十八史略》〈卷一〉 송나라 양공(襄公)의 인정이란 뜻. 곧 ① 쓸데없는 인정을 베푸는 것의 비유. ② 무익한 동정이나 배려. 춘추 시대인 주(周)나라 양왕(襄王) 2년(B.C.650), 송(宋)나라 환공(桓公)이 세상을 떠났다. 환공이 병석에 있을 때 태자인 자부(玆父)는 인덕(仁德)이 있는 서형(庶兄) 목이(目夷)에게 태자의 자리를 양보하려 했으나 목이는 굳이 사양했다. 그래서 자부가 위(位)에 올라 양공이라 일컫고 목이를 재상에 임명했다. 그로부터 7년 후(B.C.643), 춘추의 첫 패자(覇者)인 제(齊)나라 환공(桓公)이 죽고, 송나라에는 운석(隕石)이 떨어졌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수서양단 (首鼠兩端)[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두 마음을 가지고 기회를 엿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수서양단 (首鼠兩端) 首:머리 수. 鼠:쥐 서. 兩:두 량. 端:바를‧끝‧실마리 단. [동의어] 수시양단(首施兩端). [유사어] 좌고우면(左顧右眄). [출전]《史記》〈魏其武侯列傳〉 구멍에서 머리만 내밀고 좌우를 살피는 쥐라는 뜻.곧 ① 진퇴‧거취를 정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상태. ② 두 마음을 가지고 기회를 엿봄. 전한7대 황제인 무제(武帝:B.C. 141~87) 때의 일이다. 5대 문제(文帝)의 황후의 조카인 위기후(魏其侯) 두영(竇嬰)과 6대 경제(景帝)의 황후의 동생인 무안후(武安侯) 전분(田蚡)은 같은 외척이었지만 당시 연장자인 두영은 서산 낙일(西山落日)하는 고참 대장군이었고, 전분은 욱일 승천(旭日昇天)하는 신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수석침류 (漱石枕流)[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억지를 씀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수석침류 (漱石枕流) 漱:양치질 수. 石:돌 석. 枕:베개 침. 流:흐를 류. [동의어] 침류슈석(枕流漱石). [유사어] 견강부회(牽强附會), 아전인수(我田引水), 추주어륙(推舟於陸), 궤변(詭辯). [참조] 영천세이(潁川世耳), 청담(淸談). [출전]《晉書》〈孫楚專〉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는다는 뜻. 곧 ① (실패를 인정하려 들지 않고) 억지를 씀. 억지로 발라 맞춰 발뺌을 함. ② (남에게 지기 싫어서 좀처럼 체념을 안하고) 억지가 셈의 비유. 진(晉:265~317)나라 초엽, 풍익 태수(馮翊太守)를 지낸 손초(孫楚)가 벼슬길에 나가기 전, 젊었을 때의 일이다. 당시 사대부간에는 속세의 도덕‧명문(名聞..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