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수적천석 (水滴穿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작은 노력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수적천석 (水滴穿石) 水:물 수. 滴:물방울 적. 穿:뚫을(통할) 천. 石:돌 석. [동의어] 점적천석(點滴穿石). [유사어] 우공이산(愚公移山), 적토성산(積土成山), 적수성연(積水成淵), 산류천석(山溜穿石). [출전]《鶴林玉露》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 곧 ① 물방울이라도 끊임없이 떨어지면 종내엔 돌에 구멍을 뚫듯이, 작은 노력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의 비유. ②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쌓이면 큰 것이 됨의 비유. 큰 힘을 발휘함의 비유. 북송(北宋:960~1127)때 숭양 현령(崇陽縣令)에 장괴애(張乖崖)라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그는 관아를 돌아보다가 창고에서 황급히 튀어나오는 한 구..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수즉다욕 (壽則多辱)[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오래 살수록 망신스러운 일을 많이 겪게 된다는 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수즉다욕 (壽則多辱) 壽:목숨 수. 則:곧 즉, 법 칙. 多:많을 다. 辱:욕될‧욕 욕. [출전]《莊子》〈天地篇〉 오래 살면 욕된 일이 많다는 뜻으로, 오래 살수록 망신스러운 일을 많이 겪게 된다는 말. 전국시대를 살다간 사상가 장자(莊子:莊周)의 저서《장자(莊子)》〈천지편(天地篇)〉에는 다음과 같은 우화가 실려 있다. 그 옛날 성천자(聖天子)로 이름 높은 요(堯) 임금이 순행(巡幸)중에 화(華)라는 변경에 이르자 그곳의 관원이 공손히 맞으며 이렇게 말했다. “장수하시오소서.” 그러자 요 임금은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다. “나는 장수하기를 원치 않네.” “그러시면 부자가 되시오소서.” “부자가 되고 싶은 생각도 없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사람이 너무 결백하면 남이 가까이하지 않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 水:물 수. 淸:맑을 청. 無:없을 무. 大:클 대. 魚:고기 어. [원말] 수지청즉무어(水至淸則無魚). [동의어] 수청어불(주)서(水淸魚不(住)棲). 수청무어(水淸無魚). [참조] 불입호혈 부득호자(不入虎穴不得虎子). [출전]《後漢書》〈班超專〉,《孔子家語》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물을 숨기지 못해) 살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이 너무 결백하면 남이 가까이하지 않음의 비유. 후한 시대 초엽,《한서(漢書)》의 저자로 유명한 반고(班固)의 동생에 반초(班超)라는 무장이 있었다. 반초는 2대 황제인 명제(明帝)때(74년) 지금의 신강성(新疆省) 타림 분지의 동쪽에 있었던 선선국[鄯善國:누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순망치한 (脣亡齒寒)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 순망치한 (脣亡齒寒) 脣:입술 순. 亡:망할‧잃을 망. 齒:이 치. 寒:찰 한. [대응어] 보거상의(輔車相依)~. [동의어] 순치지국(脣齒之國), 순치보거(脣齒輔車). [유사어] 조지양익(鳥之兩翼), 거지양륜(車之兩輪). [출전]《春秋左氏專》〈僖公五年條〉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① 이웃 나라가 가까운 사이의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온전하기 어려움의 비유. ② 서로 도우며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 또는 서로 도움으로써 성립되는 관계의 비유. 춘추 시대 말엽(B.C. 655), 오패(五霸)의 한 사람인 진(晉)나라 문공(文公)의 아버지 헌공(獻公)이 괵(虢)‧우(虞) 두 나라를 공략 할 때의 일이다. 괵나라를 치기로 결심한 헌공은 통과국인 우나라의 우공(虞公)..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시오설 (視吾舌)[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혀만 있으면 천하도 움직일 수 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시오설 (視吾舌) 視:볼 시. 吾:나 오. 舌:혀 설. [동의어] 상존오설(尙存吾舌). [참조] 계구우후(鷄口牛後), 고침안면(高枕安眠). [출전]《史記》〈張儀列傳〉 ‘내 혀를 보아라’는 뜻. 곧 혀만 있으면 천하도 움직일 수 있다는 뜻으로 한 말. 전국 시대, 위(魏)나라에 장의(張儀)라는 한 가난한 사람이 있었다. 언변과 완력과 재능이 뛰어난 그는 권모 술수에 능한 귀곡자(鬼谷子)에게 배웠다. 따라서 합종책(合從策)을 성공시켜 6국이 재상을 겸임한 소진(蘇秦)과는 동문이 된다. 장의는 수업(修業)을 마치자 자기를 써 줄 사람을 찾아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다가 초(楚)나라 재상 소양(昭陽)의 식객이 되었다. 어느 날, 소..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안서 (雁書)[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편지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안서 (雁書) 雁:기러기 안. 書:글‧쓸‧편지‧책 서. [동의어] 안찰(雁札), 안신(雁信), 안백(雁帛). [참조] 인생조로(人生朝露). [출전]《漢書》〈蘇武專〉 철따라 이동하는 기러기가 먼 곳에 소식을 전한다는 뜻으로, 편지를 일컫는 말. 한(漢)나라 소제(昭帝)는 19년 전, 선제(先帝)인 무제(武帝) 때(B.C. 100) 포로 교환차 사절단을 이끌고 흉노(匈奴)의 땅에 들어갔다가 그곳에 억류당한 중랑장(中郞將) 소무(蘇武)의 귀환을 위해 특사를 파견했다. 현지에 도착한 특사가 곧바로 흉노의 우두머리인 선우(單于)에게 소무의 석방을 요구하자 선우는 ‘소무는 벌써 여러 해 전에 죽었다’며 대화에 응하려 하지 않았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안중지정 (眼中之釘)[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나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안중지정 (眼中之釘) 眼:눈 안.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釘:못 정. [동의어] 안중정(眼中釘). [출전]《新五代史》〈趙在禮專〉 눈에 박힌 못이라는 뜻. 곧 ① 나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의 비유. ② 몹시 싫거나 미워서 항상 눈에 거슬리는 사람(눈엣가시)의 비유. 당나라 말, 혼란기에 조재례(趙在禮)라는 악명 높은 탐관오리가 있었다. 그는 하북 절도사(河北節度使) 유인공(劉仁恭)의 수하 무장이었으나 토색(討索)질한 재무를 고관대작에게 상납, 출세길에 오른 뒤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晉)의 세 왕조에 걸쳐 절도사를 역임했다. 송주(宋州:하남성 내)에서도 백성들로부터 한껏 착취한 조재례가 영흥(永興) 절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암중모색 (暗中摸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림짐작으로 찾는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암중모색 (暗中摸索) 暗:어두울 암. 中:가운데 중. 摸:더듬을 모. 索:찾을 색. [준말] 암색(暗索). [동의어] 암중모착(暗中摸捉). [유사어] 오리무중(五里霧中). [출전]《隋唐佳話》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어림짐작으로 찾는다(혹은 추측한다)는 말.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女帝)였던 즉천무후(則天武后:690~705) 때 허경종(許敬宗)이란 학자가 있었다. 그는 경망한데다가 방금 만났던 사람조차 기억하지 못할 적도로 건망증이 심했다. 어느 날, 친구가 허경종의 건망증을 비웃자 그는 이렇게 대꾸했다. “자네 같은 이름 없는 사람의 얼굴이야 기억할 수 없지만 조식(曹植)이나 사령운(謝靈運) 같은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양금택목 (良禽擇木)[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현명한 사람은 자기 재능을 키워 줄 훌륭한 사람을 가려서 섬긴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양금택목 (良禽擇木) 良:어질‧좋을 량. 禽:새 금. 擇:가릴 택. 木:나무 목. [동의어] 양금상목서(良禽相木棲). [출전]《春秋左氏專》〈衷公十八年條〉,《三國志》〈蜀志〉 현명한 새는 좋은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친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자기 재능을 키워 줄 훌륭한 사람을 가려서 섬김의 비유. 춘추 시대, 유가(儒家)의 비조(鼻祖)인 공자가 치국(治國)의 도를 유세(遊說)하기 위해 위(衛)나라에 갔을 때의 일이다. 어느 날, 공문자(孔文子)가 대숙질(大叔疾)을 공격하기 위해 공자에세 상의하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제사 지내는 일에 대해선 배운 일이 있습니다만, 전쟁에 대해선 전혀 아는 것이 없습니다.” 그 자리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약롱중물 (藥籠中物)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항상 곁에 없어서는 안 될 긴요한 인물(심복)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약롱중물 (藥籠中物) 藥:약 약. 籠:농 롱. 中:가운데 중. 物:만물 물. [동의어] 약롱지물(藥籠之物). [참조] 양약고구(良藥苦口). [출전]《唐書》〈狄仁傑專〉 약농 속의 약품이란 뜻으로, 항상 곁에 없어서는 안 될 긴요한 인물(심복)을 이르는 말. 당나라 3대 황제인 고종(高宗:628~683)의 황후였던 즉천무후(則天武后)때의 이야기이다. 14세 때 2대 황제인 태종(太宗)의 후궁이 된 그녀(무후)는 26세 때 태종이 죽자 여승이 되었으나 재색(才色)을 탐낸 고종의 명예 따라 환속(還俗), 그의 후궁으로 있다가 고종 6년(655)에 황후가 되었다. 그 후 고종이 중풍에 걸리자 무후는 스스로 천후(天后)라 일컫고 수..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