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원입골수 (怨入骨髓)[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원한이 뼈에 사무친다는 뜻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원입골수 (怨入骨髓) 怨:원망할 원. 入:들 입. 骨:뼈 골. 髓:골수 수. [원말] 원입어골수(怨入於骨髓). [동의어] 원철골수(怨徹骨髓), 한입골수(恨入骨髓). [출전]《史記》〈秦本紀〉 원한이 뼈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원한이 마음 속 깊이 맺혀 잊을 수 없다는 말. 춘추시대 오패(五霸)의 한 사람인 진(秦)나라 목공(繆公)은 중신 백리해(百里奚)와 건숙(蹇叔)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 장군에게 정(鄭)나라를 치라고 명했다. 진나라 군사가 주(周)나라의 북문에 이르렀을 때 마침 이곳에 소를 팔러 온 정나라의 소장수인 현고(弦高)는 진나라 장군 앞으로 나아가 이렇게 말했다. “정나라 주상(主上)께서는 장병들을 위로하시기 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월단평 (月旦評)[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물에 대한 비평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월단평 (月旦評) 月:달 월. 旦:아침 단. 評:평론할 평. [준말] 월단(月旦). [동의어] 월조평(月朝評). [출전]《後漢書》〈許劭專〉 ‘매달 첫날의 평’이란 뜻으로, 인물에 대한 비평을 일컫는 말. 후한(後漢) 말, 12대 황제인 영제(靈帝:167~189) 17년(184)에 일어난 ‘황건(黃巾)의 난(亂)’ 때 큰 공을 세운 조조(曹操)가 아직 두각을 나타내기 전 일이다. 그 무렵, 여남(汝南:호북성 내) 땅에 허소(許劭)와 그의 사촌 형 허정(許靖)이라는 두 명사가 살고 있었다. 이 두 사람은 ‘매달 첫날[月旦]’이면 허소의 집에서 향당(鄕黨:향-1만 2500집, 당-500집)의 인물을 뽑아 비평했는데 그 비평이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월하빙인 (月下氷人)[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결혼 중매인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월하빙인 (月下氷人) 月:달 월. 下:아래 하. 氷:얼음 빙. 人:사람 인. [동의어] 월하로(月下老), 빙상인(氷上人), 빙인(氷人). [유사어] 적승(赤繩). [출전]《續幽怪錄》,《晉書》〈索耽篇〉 월하로(月下老)와 빙상인(氷上人)이 합쳐진 것으로, 결혼 중매인을 일컫는 말. ① 당나라 2대 황제인 태종(太宗)때의 이야기이다. 위고(韋固)라는 젊은이가 여행 중에 송성(宋城:하남성 내)에 갔을 때 ‘달빛 아래 한 노인[月下老]’이 손에 빨간 끈을[赤縄]을 든 채 조용히 책장을 넘기고 있었다. 위고가 ‘무슨 책을 읽고 있느냐’고 묻지 그 노인은 이렇게 대답했다. “이 세상에 혼사에 관한 책인데, 여기 적혀 있는 남녀를 이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은감불원 (殷鑑不遠)[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은감불원 (殷鑑不遠) 殷:은나라 은. 鑑:거울 감. 不:아니 불. 遠:멀 원. [원말]~재하후지세(在夏后之世). [동의어] 상감불원(商鑑不遠). [유사어] 복차지계(覆車之戒), 복철(覆轍). [참조] 주지육림(酒池肉林), 맥수지탄(麥秀之嘆). [출전]《詩經》〈大雅篇〉 은(殷)나라 왕이 거울로 삼아야 할 멸망의 선례는 먼데 있지 않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고대 중국 하(夏)‧은(殷)‧주(周)의 3왕조 중 은왕조의 마지막 군주인 주왕(紂王)은 원래 지용(智勇)을 겸비한 현주(賢主)였으나 그를 폭군 음주(淫主)로 치닫게 한 것은 정복한 오랑캐의 유소씨국(有蘇氏國)에서 공물로 보내 온 달기(妲己)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읍참마속 (泣斬馬謖)[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법의 공정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情)을 버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읍참마속 (泣斬馬謖) 泣:울 읍. 斬:벨 참. 馬:말 마. 謖:일어날 속. [출전]《三國志》〈蜀志 諸葛亮專〉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 곧 ① 법의 공정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情)을 버림의 비유. ② 큰 목적을 위해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가차없이 버림의 비유. 삼국시대 초엽인 촉(蜀)나라 건흥(建興) 5년(227) 3월, 제갈량(諸葛亮)은 대군을 이끌고 성도(成都)를 출발했다. 곧 한중(漢中:섬서성 내)을 석권하고 기산(祁山:감숙성 내)으로 진출하여 위(魏)나라 군사를 크게 무찔렀다. 그러자 조조(曹操)가 급파한 위나라의 명장 사마의[司馬懿:자는 중달(中達), 179~251]는 20만 대군으로 기산의 산야에 부채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의심암귀 (疑心暗鬼)[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선입관은 판단을 빗나가게 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의심암귀 (疑心暗鬼) 疑:의심할 의. 心:마음 심. 暗:어두울 암. 鬼:귀신 귀. [원말]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 [유사어] 절부지의(竊斧之疑), 배중사영(杯中蛇影). [출전]《列子》〈說符篇〉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있지도 않은 귀신이 나오는 듯이 느껴진다는 뜻. 곧 ① 마음속에 의심이 생기면 갖가지 무서운 망상이 잇달아 일어나 불안해짐. ② 선입관은 판단을 빗나가게 함. ① 어떤 사람이 소중히 아끼던 도끼를 잃어버렸다. 도둑 맞은 게 틀림없다는 생각이 들자 아무래도 이웃집 아이가 수상쩍다. 길에서 마주쳤을 때에도 슬금슬금 도망갈 듯한 자세였고 안색이나 말투도 어색하기만 했다. ‘내 도끼를 훔쳐 간 놈은 틀림없이 그 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이목지신 (移木之信)[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남을 속이지 아니한 것을 밝힘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이목지신 (移木之信) [동의어] 사목지신(徙木之信). [반의어] 식언(食言). [출전]《史記》〈商君列專〉 위성자가 나무 옮기기로 백성들을 믿게 한다는 뜻. 곧 ① 남을 속이지 아니한 것을 밝힘. ② 약속을 실행함. 진(秦)나라 효공(孝公) 때 상앙(商鞅:?~B.C. 338)이란 명재상이 있었다. 그는 위(衛)나라의 공족(公族) 출신으로 법률에 밝았는데 특히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한 부국 강병책(富國强兵策)을 펴 천하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정치가로 유명했다. 한 번은 상앙이 법률을 제정해 놓고도 즉시 공포하지 않았다. 백성들이 믿어 줄지 그것이 의문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앙은 한 가지 계책을 내어 남문에 길이 3장(三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이심전심 (以心傳心)[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한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이심전심 (以心傳心) 以:써 이. 心:마음 심. 傳:전할 전. [동의어] 염화미소(拈華微笑). [유사어]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출전]《五燈會元》〈傳燈錄〉,《無門關》,《六祖壇經》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한다는 말. 송(宋)나라의 중 도언(道彦)이 석가 이후 고승들의 법어(法語)를 기록한《전등록(傳燈錄)》에서 보면 석가가 제자인 가섭(迦葉)에게 말이나 글이 아니라 ‘이심전심’의 방법으로 불교의 진수(眞髓)를 전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에 대해 송나라의 중 보제(普濟)의《오등회원(五燈會元)》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어느 날 석가는 제자들을 영산(靈山)에 불러 모았다. 그리고 그들 앞에서 손가락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인생조로 (人生朝露)[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인생조로 (人生朝露) 人:사람 인. 生:날‧살 생. 朝:아침 조. 露:이슬 로. [원말] 인생여조로(人生如朝露). [유사어] 인생초로(人生草露). [참조] 안서(雁書), 구우일모(九牛一毛). [출전]《漢書》〈蘇武專〉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다는 말. 전한 무제(武帝) 때(B.C.100) 일이다. 중랑장(中郞將) 소무(蘇武)는 포로 교환차 사절단을 이끌고 흉노의 땅에 들어갔다가 그들의 내란에 말려 잡히고 말았다. 흉노의 우두머리인 선우(單于)는 한사코 항복을 거부하는 소무를 ‘숫양이 새끼를 낳으면 귀국을 허락하겠다’며 북해(北海:바이칼 호) 변으로 추방했다. 소무가 들쥐와 풀뿌리로 연명하던 어느 날, 고국의 친구인 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일거양득 (一擧兩得)[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익을 거둔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일거양득 (一擧兩得) 一:한 일. 擧:들 거. 兩:두 량. 得:얻을 득. [준말] 양득(兩得). [동의어] 일거양획(一擧兩獲), 일전쌍조(一箭雙鳥), 일석이조(一石二鳥). [반의어] 일거양실(一擧兩失). [참조] 조명시리(朝名市利). [출전]《春秋後語》,《戰國策》〈秦策〉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익을 거둔다는 뜻. 진(秦)나라 혜문왕(惠文王) 때(B.C.317)의 일이다. 중신 사마조(司馬錯)은 어전에서 ‘중원으로의 진출이야말로 조명시리(朝名市利)에 부합하는 패업(霸業)’이라며 중원으로의 출병을 주장하는 재상 장의(張儀)와는 달리 혜문왕에게 이렇게 진언했다. “신이 듣기로는 부국을 원하는 군주는 먼저 국토를 넓히는데 힘써야 하고, 강병(强兵)을 원하는 군주는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