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일망타진 (一網打盡)[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한 번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다 잡는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일망타진 (一網打盡) 一:한 일. 網:그물 망. 打:칠 타. 盡:다할 진. [준말] 망타(網打). [출전]《宋史》〈人宗紀〉,《東軒筆錄》 한 번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다 잡는다는 뜻. 곧 범인들이나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잡는다는 말. 북송(北宋) 4대 황제인 인종(仁宗) 때의 일이다. 당시 북방에는 거란[契丹:요(遼)]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남쪽에서는 중국의 일부였던 안남(安南)이 독립을 선언하는 등 정세가 불리하게 돌아가는데도 인종은 연약 외교로 일관했다. 그러나 내치(內治)에는 괄목할 만한 치적이 적지 않았다. 전한(前漢) 5대 황제인 문제(文帝)와 더불어 어진 임금으로 이름난 인종은 백성을 사랑하고 학문을 장려했다. 그리고 인재를 널리 등용하여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일의대수 (一衣帶水)[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간격이 매우 좁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일의대수 (一衣帶水) 一:한 일. 衣:옷 의. 帶:띠 대. 水:물 수. [유사어] 일우명지(一牛鳴地), 일우후지(一牛吼地), 지호지간(指呼之間). [출전]《南史》〈陳後主紀〉 한 줄기 띠와 같이 좁은 강물이나 바닷물이라는 뜻. 곧 ① 간격이 매우 좁음. ② 강이나 해협을 격한 대안(對岸)의 거리가 아주 가까움. 서진(西晉:265~317) 말엽, 천하는 혼란에 빠져 이른바 남북조(南北朝) 시대가 되었다. 북방에서는 오호 십육국(五胡十六國)이라 일컫는 흉노(匈奴)‧갈(羯)‧선비(鮮卑)‧강(羌)‧저(氐)등 5개 이민족이 세운 열 세 나라와 세 한족국(漢族國)이 흥망을 되풀이했고, 남방에서는 송(宋)‧제(齊)‧양(梁)‧진(陳:55..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일자천금 (一字千金)[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아주 빼어난 글자나 시문(時文)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일자천금 (一字千金) 一:한 일. 字:글자 자. 千:일천 천. 金:쇠 금. [유사어] 일자백금(一字百金). [출전]《史記》〈呂不韋列傳〉 한 글자엔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아주 빼어난 글자나 시문(時文)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전국 시대 말엽,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과 조(趙)나라 평원군(平原君)은 각 수천 명, 초(楚)나라 춘신군(春申君)과 위(魏)나라 신릉군(信陵君)은 각 3000여 명의 식객(食客)을 거느리며 저마다 유능한 식객이 많음을 자랑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에게 질세라 식객을 모아들인 사람이 있었다. 일개 상인 출신으로 당시 최강국인 진(秦)나라의 상국(相國:宰相)이 되어, 어린(13세) 왕 정(政:훗날의 시황제)으로부터 중부(仲父)라 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자포자기 (自暴自棄)[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자포자기 (自暴自棄) 自:스스로 자. 暴:사나울 포. 棄:버릴 기. [준말] 자포(自暴), 포기(暴棄), 자기(自棄). [출전]《孟子》〈離婁篇〉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전국 시대를 살다간 아성(亞聖) 맹자(孟子)는 ‘자포’‘자기’에 대해《맹자》〈이루편(離婁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자포(自暴:스스로를 학대)하는 사람과는 더불어 대화를 나눌 수가 없다. 자기(自棄:스스로를 버림)하는 사람과도 더불어 행동을 할 수가 없다. 입만 열면 예의 도덕을 헐뜯는 것을 자포라고 한다. 한편 도덕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인(仁)이나 의(義)라는 것은 자기와는 무관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자기(自棄)라고 한다. 사람의 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전전긍긍 (戰戰兢兢)[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전전긍긍 (戰戰兢兢) 戰:무서워 떨‧싸움할 전. 兢:조심할 긍. [준말] 전긍(戰兢). [동의어] 전전공공(戰戰恐恐). [유사어] 소심익익(小心翼翼). [출전]《詩經》〈小雅篇〉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전전(戰戰)이란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떠는 모양이고, 긍긍(兢兢)이란 몸을 움추리고 조심하는 모양을 말한다. 이 말은 중국 최고(最古)의 시집(詩集)인《시경(詩經)》〈소아편(小雅篇)〉의 ‘소민(小旻)’이라는 시(詩)의 마지막 구절에 나오는데 그 시의 내용은 모신(謀臣)이 군주의 측근에 있으면서 옛 법을 무시한 정치를 하고 있음을 개탄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감히 맨손으로 범을 잡지 못하고 [不敢暴虎(불감포호)] 감..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전차복철 (前車覆轍)[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앞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교훈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전차복철 (前車覆轍) 前:앞 전. 車:수레 차‧거. 覆:엎어질 복. 轍:바퀴자국 철. [준말] 복철(覆轍). [대응어]~후차지계(後車之戒). [동의어] 전차복 후차계(前車覆後車戒), 후차지계, 복거지계(覆車之戒). [유사어] 답복철(踏覆轍), 답복차지철(踏覆車之轍), 전철(前轍). [참조] 은감불원(殷鑑不遠). [출전]《漢書》〈賈誼專〉,《說苑》〈善說〉,《後漢書》〈竇武專(두무전)〉 앞 수레가 엎어진 바퀴 자국이란 뜻. 곧 ① 앞사람의 실패. 실패의 전례. ② 앞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교훈. ① 전한 5대 황제인 문제(文帝)때 가의(賈誼:B.C. 168~210)라는 명신이 있었다. 그는 문제가 여러 제도를 개혁하고..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전화위복 (轉禍爲福)[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전화위복 (轉禍爲福) 轉:구를 전. 禍:재화 화. 爲:할‧위할 위. 福:복 복. [대응어]~인패위공(因敗爲功). [동의어] 인화위복(因禍爲福). [유사어] 새옹지마(塞翁之馬). [출전]《戰國策》〈燕策〉 ① 화(禍)를 바꾸어 오히려 복(福)이 되게 함. ②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전국시대 합종책(合從策)으로 6국, 곧 한(韓)‧위(魏)‧조(趙)‧연(燕)‧제(齊)‧초(楚)의 재상을 겸임했던 종횡가(縱橫家:모사) 소진(蘇秦)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옛날에 일을 잘 처리했던 사람은 ‘화를 바꾸어 복을 만들었고[轉禍爲福]’ 실패한 것을 바꾸어 공(功)으로 만들었다[因敗爲功].” 어떤 불행한 일이라도 끊임없는 노력과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절차탁마 (切磋琢磨)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수양에 수양을 쌓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절차탁마 (切磋琢磨) 切:끊을‧자를 절. 磋:탄식할‧찬탄할 차. 琢:쫄 탁. 磨:갈 마. [원말]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如磋如琢如磨). [준말] 절마(切磨). [출전]《論語》〈學而篇〉,《詩經》〈衛風篇〉 뼈‧상아‧옥‧돌 따위를 깎고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① 수양에 수양을 쌓음의 비유. ② 학문‧기예 따위를 힘써 갈고 닦음의 비유.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자공(子貢)이 어느 날 스승인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貧而無諂] 부자가 되더라도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富而無驕]. 그건 어떤 사람일까요?” “좋긴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貧而樂道] 부자가 되더라도 예..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정중지와 (井中之蛙)[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우물 안 개구리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정중지와 (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蛙:개구리 와. [원말] 정중와 부지대해(井中蛙不知大海). [준말] 정와(井蛙). [동의어] 정와(井蛙), 정중와(井中蛙), 정저와(井底蛙), 감정지와(坎井之蛙). [유사어] 촉견폐일(蜀犬吠日), 월견폐설(越犬吠雪). [참조] 망양지탄(望洋之嘆), 득롱망촉(得隴望蜀). [출전]《後漢書》〈馬援專〉,《莊子》〈秋水篇〉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① 왕망(王莽)이 전한(前漢)을 멸하고 세운 신(新)나라 말경, 마원(馬援)이란 인재가 있었다. 그는 관리가 된 세 형과는 달리 고향에서 조상의 묘를 지키다가 농서[隴西:감숙성(甘肅省)]에 웅..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조강지처 (糟糠之妻)[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조강지처 (糟糠之妻) 糟:술재강 조. 糠:겨 강. 之:갈 지(…의). 妻:아내 처. [원말] 조강지처 불하당(糟糠之妻不下堂). [출전]《後漢書》〈宋弘專〉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전한(前漢)을 찬탈한 왕망(王莽)을 멸하고 유씨(劉氏) 천하를 재흥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일이다. 건원(建元) 2년(26), 당시 감찰(監察)을 맡아보던 대사공(大司空:御史大夫) 송홍(宋弘)은 온후한 사람이었으나 간할 정도로 강직한 인물이기도 했다. 어느 날, 광무제는 미망인이 된 누나인 호양공주(湖陽公主)를 불러 신하 중 누구를 마음에 두고 있는지 그 의중을 떠보았다. 그 결과 호양 공주는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