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지어지앙 (池魚之殃) [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화(禍)가 엉뚱한 곳에 미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지어지앙 (池魚之殃) 池:못 지. 魚:고기 어. 之:갈 지(…의). 殃:재앙 앙. [동의어] 앙급지어(殃及池魚). [출전]《呂氏春秋》〈必己篇〉 연못 속 물고기의 재앙이란 뜻. 곧 ① 화(禍)가 엉뚱한 곳에 미침. ② 상관없는 일의 재난에 휩쓸려 듦의 비유. 언걸 먹음. 춘추 시대 송(宋)나라에 있었던 일이다. 사마(司馬:大臣) 벼슬에 있는 환퇴(桓魋)라는 사람이 천하에 진귀한 보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그가 죄를 지어 처벌을 받게 되자 보석을 가지고 종적을 감춰 버렸다. 그러자 환퇴의 보석 이야기를 듣고 탐이 난 왕은 어떻게든 그 보석을 손에 넣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왕은 측근 환관에게 속히 환퇴를 찾아내어 보석..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지피지기 백전불태 (知彼知己百戰不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상대방과 자신의 약점과 강점을 알아보고 승산(勝算)이 있을 때 싸워야 이길 수 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지피지기 백전불태 (知彼知己 百戰不殆) 知:알 지. 彼:저 피. 己:몸‧자기 기. 百:일백 백. 殆:위태하 태. [출전]《孫子》〈謀攻篇〉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 곧 상대방과 자신의 약점과 강점을 알아보고 승산(勝算)이 있을 때 싸워야 이길 수 있다는 말. 춘추 시대, 오왕(吳王) 합려(闔閭)의 패업(霸業)을 도운 손무(孫武)는 전국 시대에 초(楚)나라의 병법가로서《오자(吳子)》를 쓴 오기(吳起)와 더불어 병법의 시조라 불리는데 그가 쓴《손자(孫子)》〈모공편(謀攻篇)〉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적과 아군의 실정을 잘 비교 검토한 후 승산이 있을 때 싸운다면 백 번을 싸워도 결코..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징갱취제 (懲羹吹虀)[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한 번 실패 한 데 데어서 모든 일에 지나치게 조심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징갱취제 (懲羹吹虀) 懲:징계할 징. 羹:국 갱. 吹:불 취. 虀:냉채 제. [동의어] 징갱취채(懲羹吹菜), 징갱취회(懲羹吹膾). [유사어] 징선기여(懲船忌輿), 오우천월(吳牛喘月). [출전]《楚辭》〈七章 惜誦〉 뜨거운 국에 데어서 냉채를 후후 불고 먹는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 한 데 데어서 모든 일에 지나치게 조심함의 비유. 전국 시대 말엽, 진(秦)나라에 대항할 수 있는 세력은 초(楚)‧제(齊) 두 나라뿐이었다. 그래서 진나라 재상 장의(張儀)는 초‧제 동맹의 강화론자(强化論者)인 초나라의 삼려 대부[三閭大夫:소(昭)‧굴(屈)‧경(景) 세 왕족의 족장(族長)] 굴원[屈原:이름은 평(平), B.C. 343?~277?]..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창업수성 (創業守成)[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창업수성 (創業守成) 創:비롯할‧시작할 창. 業:업 업. 守:지킬 수. 成:이룰 성. [원말] 이창업 난수성(易創業難守成). [출전]《唐書》〈房玄齡專〉,《貞觀政要》〈君道篇〉,《資治通鑑》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는 말. 수(隋:581~619)나라 말의 혼란기에 이세민(李世民)은 아버지인 이연(李淵)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관중(關中)을 장악했다. 이듬해(618) 2세 양제(煬帝)가 암살되자 이세민은 양제의 손자인 3세 공제(恭帝)를 폐하고 당(唐:618~907) 나라를 ‘창업’했다. 626년 고조(高祖) 이연에 이어 제위에 오른 2세 태종(太宗) 이세민은 우선 사치를 경계하고, 천하 통일을 완수하고,..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천고마비 (天高馬肥)[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활약(동)하기 좋은 계절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천고마비 (天高馬肥) 天:하늘 천. 高:넢을 고. 馬:말 마. 肥:살찔 비. [원말] 추고마비(秋高馬肥). [동의어] 추고새마비(秋高塞馬肥). [유사어] 천고기청(天高氣淸). [출전]《漢書》〈匈奴專〉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 곧 ① 하늘이 맑고 오곡 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는 가을을 형용하는 말. ② (흉노에게 있어, 전하여 오늘날에는 누구에게나) 활약(동)하기 좋은 계절을 이르는 말. 은(殷)나라 초기에 중국 북방에서 일어난 흉노는 주(周)‧진(秦)‧한(漢)의 삼왕조(三王朝)를 거쳐 육조(六朝)에 이르는 근 2000년 동안 북방 변경의 농경 지대를 끊임없이 침범 약탈해 온 표한(剽悍)한 유목 민족이었다. 그래서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천려일실 (千慮一失)[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책이 있을 수 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천려일실 (千慮一失) 千:일천 천. 慮:생각할 려. 一:한 일. 失:잃을 실. [원말] 지자천려 필유일실(智者千慮必有一失). [동의어] 지자일실(智者一失). [반의어] 천려일득(千廬一得). [참조] 배수지진(背水之陣). [출전]《史記》〈淮陰侯列傳〉 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 실책이란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책이 있을 수 있다는 말. 한나라 고조의 명에 따라 대군을 이끌고 조(趙)나라로 쳐들어간 한신(韓信)은 결전을 앞두고 ‘적장 이좌거(李左車)를 사로잡는 장병에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지덕(知德)을 겸비한 그를 살리고 싶었기 때문이다. 결전 결과 조나라는 괴멸했고, 이좌..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천재일우 (千載一遇)[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기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천재일우 (千載一遇) 千:일천 천. 載:실을‧해 재. 一:한 일. 遇:만날 우. [동의어] 천재일시(千載一時), 천재일회(千載一會), 천세일시(千歲一時). [유사어] 맹귀부(우)목[盲龜浮(遇)木]. [출전]《文選》〈袁宏 三國名臣序贊> 천 년[千載]에 한 번 만날 수 있는 기회란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기회를 이르는 말. 동진(東晉)의 학자로서 동양태수(東陽太守)를 역임한 원굉(袁宏)은 여러 문집에 시문 300여 편을 남겼는데, 특히 유명한 거슨《문선》에 수록된〈삼국 명신서찬(三國名臣序贊)〉이다. 이것은《삼국지》에 실려 있는 건국 명신 20명에 대한 행장기(行狀記)인데, 그중 위(魏)나라의 순문약(荀文若)을 찬양한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철면피 (鐵面皮)[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름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철면피 (鐵面皮) 鐵:쇠 철. 面:낯‧겉 면. 皮:가죽 피. [동의어] 후안무치(厚顔無恥). [유사어] 면장우피(面帳牛皮), 강안여자(强顔女子). [출전]《北夢瑣言(북몽쇄언)》,《虛堂錄》 ① 얼굴에 철판을 깐 듯 수치를 수치로 여기지 않는사람. ②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름. 또 그런 사람. ③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움이 없음. 후안무치(厚顔無恥). 왕광원(王光遠)이란 사람이 있었다. 학재가 뛰어나 진사(進士)시험에도 합격했으나 출세욕이 지나쳐 그는 고관의 습작시를 보고도 ‘이태백(李太白)도 감히 미치지 못할 신운(神韻:신비롭고 고상한 운치)이 감도는 시’라고 극찬할 정도로 뻔뻔한 아첨꾼이 되었다. 아첨할 때 그는 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청담 (淸談)[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고상한 이야기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청담 (淸談) 淸:맑을 청. 談:말씀 담. [유사어] 청언(淸言), 청담(淸譚). [출전]≪晉書≫ . ≪宋書≫ . ≪顔氏家訓≫ ① 명리(名利)‧명문(名聞)을 떠난 청아(淸雅)한 이야기. 고상한 이야기. ② 위진 시대에 유행한 노장(老莊)을 조술(祖述)하고 속세를 떠난 청정무위(淸淨無爲)의 공리공론(空理空論). 위진 시대(魏晉時代:3세기 후반)는 정치가 불안정하고 사회가 혼란해서 자칫하면 목숨을 잃는 난세였다. 게다가 정치적 권력자와 그에 추종하는 세속적 관료들의 횡포도 극심했다. 그래서 당시 사대부(士大夫) 간에는 오탁(汚濁)한 속세를 등지고 산림에 은거(隱居)하여 노장(老莊)의 철학이라든가 문예 등 고상한 이야기를 하는..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청천백일 (靑天白日)[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원죄가 판명되어 무죄가 되는 일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청천백일 (靑天白日) 靑:푸를 청. 天:하늘 천. 白:흰 백. 日:날 일. [출전]《唐宋八 家文》〈韓愈 與崔群西〉,《朱子全書》〈諸子篇〉 푸른 하늘에 쨍쨍하게 빛나는 해라는 뜻. 곧 ① 맑게 갠 대낮. ② 뒤가 썩 깨끗한 일. ③ 원죄가 판명되어 무죄가 되는 일. ④ 푸른 바탕의 한복판에 12개의 빛살이 있는 흰 태양을 배치한 무늬. 당나라 중기의 시인‧정치가인 한유[韓愈:자는 퇴지(退之), 768~824]는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굴지의 명문장가로 꼽혔던 사람인데 그에게는 최군(崔群)이라는 인품이 훌륭한 벗이 있었다. 한유는 외직(外職)에 있는 그 벗의 인품을 기리며 〈최군에게 주는 글[與崔群書]〉을 써 보냈는데 명문..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