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옥석혼효 (玉石混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훌륭한 것과 쓸데없는 것이 뒤섞여 있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옥석혼효 (玉石混淆) 玉:구슬 옥. 石:돌 석. 混:섞을 혼. 淆:뒤섞일 효. [동의어] 옥석혼교(玉石混交), 옥석동가(玉石同架), 옥석동궤(玉石同匱). [유사어] 옥석구분(玉石俱焚), 옥석동쇄(玉石同碎). [출전]《抱朴子》〈外篇 尙專〉 옥과 돌이 뒤섞여 있다는 뜻. 곧 ① 훌륭한 것과 쓸데없는 것이 뒤섞여 있음. ② 선과 악, 현(賢)과 우(愚)가 뒤섞여 있음. 동진(東晉:317~420)이 도사(道士)인 갈홍(葛洪:호는 포박자, 283~343?)은《포박자(抱朴子)》〈외편(外篇)〉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시경(詩經)》이나〈서경(書經)〉이 도의(道義)에 대해(大海)라 한다면 제자백가(諸子百家: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온고지신 (溫故知新)[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옛 것을 익히고 그것으로 미루어 새 것을 안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온고지신 (溫故知新) 溫:따뜻할‧복습할 온. 故:연고‧예 고. 知:알‧깨달을 지. 新:새 신. [원말] 원고이지신 가이위사의(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참조] 기문지학(記問之學), 구이지학(口耳之學). [출전]《論語》〈爲政篇〉 옛 것을 익히고 그것으로 미루어 새 것을 안다는 뜻. 공자는《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옛 것을 익히어 새 것을 알면 이로써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느니라[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남의 스승이 된 사람은 고전(古典)에 대한 박식(博識)만으로는 안 된다. 즉 고전을 연구하여 거기서 현대나 미래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도리를 깨닫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와각지쟁 (蝸角之爭)[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하찮은 일로 승강이하는 짓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와각지쟁 (蝸角之爭) 蝸:달팽이 와. 角:뿔 각. 之:갈 지(…의). 爭:다툴 쟁. [원말] 와우각상지쟁(蝸牛角上之爭). [동의어] 와우각상(蝸牛角上), 와각상쟁(蝸角相爭), 와우지쟁(蝸牛之爭). [유사어] 만촉지쟁(蠻觸之爭). [출전]《莊子》〈則陽篇〉 달팽이 촉각 위에서의 싸움이란 뜻. 곧 ① 대국(大局)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작은(쓸데없는) 다툼의 비유. ② 하찮은 일로 승강이하는 짓의 비유. ③ 인간 세계의 비소(卑小:보잘 것 없이 작음)함의 비유. 전국시대, 양(梁:魏)나라 혜왕(惠王)은 중신들과 맹약을 깬 제(齊)나라 위왕(威王)에 대한 응징책을 논의했으나 의견이 분분했다. 그래서 혜왕은 재상 혜자(惠子)가 데..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와신상담 (臥薪嘗膽)[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와신상담 (臥薪嘗膽) 臥:누울 와. 薪:섶(땔)나무 신. 嘗:맛볼 상. 膽:쓸게 담. [유사어] 회계지치(會稽之恥), 절치액완(切齒扼腕). [출전]《史記》〈越世家〉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딤의 비유. 춘추 시대, 월왕(越王) 구천(勾踐)과 취리[欈李:절강성 가흥(浙江省嘉興)]에서 싸워 크게 패한 오왕(吳王) 합려(闔閭)는 적의 화살에 부상한 손가락의 상처가 악화하는 바람에 목숨을 잃었다(B.C. 496). 임종 때 합려는 태자인 부차(夫差)에게 반드시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고 유명(遺命)했다. 오왕이 된 부차는 부왕(父王)의 유명을 잊지 않으려고 ‘섶 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완벽 (完璧)[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결점 없이 훌륭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완벽 (完璧) 完:완전할 완. 璧:둥근 옥 벽. [동의어] 완조(完調). [유사어] 화씨지벽(和氏之壁), 연성지벽(連城之壁). [출전]《史記》〈藺相如列傳〉,《十八史略》〈趙篇〉 ① 흠이 없는 구슬[壁:환상(環狀)의 옥(玉)]. 결점 없이 훌륭함. ② 빌려 온 물건을 온전히 돌려보냄. 전국 시대,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은 화씨지벽(和氏之壁)이라는 천하명옥(天下名玉)을 가지고 있었다. 이 소문을 들은 진(秦)나라 소양왕(昭襄王)은 어떻게든 화씨지벽을 손에 넣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곧 조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성(城) 15개와 맞바꾸자’고 제의했다. 혜문왕에게는 실로 난처한 문제였다. 제의를 거절하면 당장 쳐들어 올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요동지시 (遼東之豕)[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하찮은 공을 득의 양양하여 자랑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요동지시 (遼東之豕) 遼:멀‧나라 이름 요. 東:동녘 동. 之:갈 지(…의). 豕:돼지 시. [준말] 요시(遼豕). [동의어] 요동시(遼東豕). [출전]《文選》〈朱浮書〉,《後漢書》〈朱浮專〉 ‘요동의 돼지’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오만한 탓에 하찮은 공을 득의 양양하여 자랑함의 비유. 후한(後漢) 건국 직후, 어양태수(漁陽太守) 팽총(彭寵)이 논공 행상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꾀하자 대장군(大將軍) 주부(朱浮)는 그의 비리를 꾸짖는 글을 보냈다. “그대는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옛날에 요동 사람이 그의 돼지가 대가리가 흰[白頭] 새끼를 낳자 이를 진귀하게 여겨 왕에게 바치려고 하동(河東)까지 가 보니 그곳 돼..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요령부득 (要領不得)[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말이나 글의 요령을 잡을 수 없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요령부득 (要領不得) 要:종요로울‧구할 요. 領:옷깃‧요소 령. 不:아니 불. 得:얻을 득. [출전]《史記》〈大宛專〉,《漢書》〈張騫專〉 사물의 중요한 부분을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말이나 글의 요령을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전한(前漢)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의 일이다. 당시 만리장성 밖은 수수께끼의 땅이었다. 그러나 영맹한 흉노는 동쪽 열하(熱河)에서부터 서쪽 투르키스탄(중앙 아시아 지방)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세력을 펴고 빈번히 한나라를 침범 약탈했다. 그래서 무제는 기원전 2세기 중반에 흉노에게 쫓겨 농서[隴西:감숙성(甘肅省)]에서 서쪽 사막 밖으로 옮겨간 월지(月氏:大月氏)와 손잡고 흉노를 협공할 계획..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우공이산 (愚公移山)[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어떤 큰 일이라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우공이산 (愚公移山) 愚:어리석을 우. 公:귀 공. 移:옮길 이. 山:메 산. [유사어] 마부작침[磨斧作針(鍼)], 수적천석(水適穿石), 적토성산(積土成山). [출전]《列子》〈湯問篇〉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 일이라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의 비유. 춘추 시대의 사상가 열자[列子:이름은 어구(禦寇)]의 문인들이 열자의 철학 사상을 기술한《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에 다음과 같은 우화가 실려 있다. 먼 옛날 태행산(太行山)과 왕옥산(王玉山) 사이의 좁은 땅에 우공(愚公)이라는 90세 노인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사방 700리에 높이가 만 길[仞]이나 되는 두 큰 산이 집 앞뒤를 가로막고 있어 왕래에 장애가 되었다. 그래서 우공은 어느..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원교근공 (遠交近攻)[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원교근공 (遠交近攻) 遠:멀 원. 交:사귈 교. 近:가까울 근. 攻:칠 공. [참조] 누란지위(累卵之危). [출전]《史記》〈范雎列傳〉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 전국 시대, 위(魏)나라의 책사(策士)인 범저(范雎)는 제(齊)나라와 내통하고 있다는 모함에 빠져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했으나 진(秦)나라의 사신 왕계(王稽)를 따라 함양(咸陽)으로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진나라 소양왕(昭襄王)은 진나라는 ‘알을 쌓아 놓은 것처럼 위태롭다[累卵之危]’고 자국(自國)의 정사를 혹평한 범저를 환영하지 않았다. 따라서 범저는 소양왕에게 자신의 장기인 변설(辯舌)을 펼쳐 볼 기회도 없었다. 그런데 소양왕..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먼 데 있으면 급할 때 아무 소용이 없다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遠:멀 원. 水:물 수. 不:아니 불. 救:구원할 구. 近:가까울 근. 火:불 화. [출전]《韓非子》〈說林篇〉 ‘먼 데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는 뜻으로, 먼 데 있으면 급할 때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 《한비자(韓非子)》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춘추 시대, 노(魯)나라 목공(穆公)은 아들들에게도 진(晉)나라와 형(荊)나라를 섬기게 했다. 그 무렵 노나라는 이웃 나라인 강국 제(齊)나라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그래서 위급할 때 진나라와 형나라 같은 강국의 도움을 받으려는 속셈에서였다. 목공의 그런 속셈을 이서(梨鉏)가 간했다.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 먼 월(越)나라에서 사람을 청해다가 구하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