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양두구육 (羊頭狗肉)[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음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양두구육 (羊頭狗肉) 羊:양 양. 頭:머리 두. 狗:개 구. 肉:고기 육. [원말] 현양두 매구육(懸羊頭賣拘肉). [동의어]현양수매마육(懸羊首賣馬肉), 현우수(매)마육[懸牛首(賣)馬肉]. [유사어] 양질호피(羊質虎皮), 현옥매석(衒玉賣石). [출전]《晏子春秋》,《無門關》,《揚子法言》 밖에는 양 머리를 걸어 놓고 안에서는 개고기를 판다는 뜻. 곧 ① 거짓 간판을 내검. ② 좋은 물건을 내걸고 나쁜 물건을 함. ③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음의 비유. ④ 겉으로는 훌륭하나 속은 전혀 다른 속임수의 비유. 춘추시대, 제(齊)나라 영공(靈公)때의 일이다. 영공의 궁중의 여인들에게 남장(男裝)을 시켜 놓고 완상(玩賞)하는 별난 취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취미는 곧..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양약고구 (良藥苦口)[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린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양약고구 (良藥苦口) 良:좋을 량. 藥:약 약. 苦:괴로울‧ 쓸 고. 口:입 구. [원말] 양약고어구(良藥苦於口). [동의어] 충언역어이(忠言逆於耳), 간언역어이(諫言逆於耳), 금언역어이(金言逆於耳). [참조] 약롱중물(藥籠中物). [출전]《史記》〈留侯世家〉,《孔子家語》〈六本篇〉.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린다는 말. ① 천하를 통일하고 동아시아 최초의 대제국을 건설했던 진(秦)나라 시황제가 죽자 천하는 동요하기 시작했다. 그간 학정에 시달려온 민중이 각지에서 진나라 타도의 기치를 들었기 때문이다. 그중 2세 황제 원년(元年:B.C. 209)에 군사를 일으킨 유방(劉邦:훗날의 한고조)은 역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어부지리 (漁父之利)[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쌍방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챙긴다는 말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어부지리 (漁父之利) 漁:고기 잡을 어. 父:아비 부. 之:갈 지(…의) 利:이로울 리. [동의어] 어부지리(漁父之利), 방휼지쟁(蚌鷸之爭), 견토지쟁(犬免之爭), 전부지공(田不之功), 좌수어인지공(坐收漁人之功). [출전]《戰國策》〈燕策〉 어부의 이득이라는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챙긴다는 말. 전국시대, 제(齊)나라에 많은 군사를 파병한 연(燕)나라에 기근이 들자 이웃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은 기다렸다는 듯이 침략 준비를 서둘렀다. 그래서 연나라 소왕(昭王)은 종횡가(縱橫家)로서 그간 연나라를 위해 견마지로(犬馬之勞)를 다해 온 소대(蘇代)에게 혜문왕을 설득해 주도록 부탁했다.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여도지죄 (餘桃之罪)[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애정과 증오의 변화가 심함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여도지죄 (餘桃之罪) 餘:남을 여. 桃:복숭아 도. 之:갈 지(…의). 罪:허물 죄. [동의어] 여도담군(餘桃啗君). [출전]《韓非子》〈說難篇〉 ‘먹다 남은 복숭아를 먹인 죄’란 뜻으로, 애정과 증오의 변화가 심함의 비유. 전국 시대, 위(衛)나라에 왕의 총애를 받는 미자하(彌子瑕)란 미동(美童)이 있었다. 어느 날 어머니가 병이 났다는 전갈을 받은 미자하는 허락 없이 임금의 수레를 타고 집으로 달려갔다. 당시 허락 없이 임금의 수레를 타는 사람은 월형(刖刑:발뒤꿈치를 자르는 형벌)이라는 중벌을 받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미자하의 이야기를 들은 왕은 오히려 효심을 칭찬하고 용서했다. “실로 효자로다. 어미를 위해 월형도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연목구어 (緣木求魚)[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연목구어 (緣木求魚) 緣:인연‧인할 연. 木:나무 목. 求:구할 구. 魚:고기 어. [유사어] 지천사어(指天射魚). [출전]《孟子》〈梁惠王篇〉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 곧 ① 도저히 불가능한(가당찮은) 일을 하려 함의 비유. ② 잘못된 방법으로 목적을 이루려 함의 비유. ③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의 비유. 전국 시대인 주(周)나라 신정왕(愼靚王) 3년(B.C. 318), 양(梁:魏)나라 혜왕(惠王)과 작별한 맹자(孟子)는 제(齊)나라로 갔다. 당시 나이 50이 넘는 맹자는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인의(仁義)를 치세의 근본으로 삼는 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유세(遊說)중이었다. 동쪽의 제나라는 서쪽의 진(秦)나라, 남쪽이 초(楚)나라와 함께 대국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오리무중 (五里霧中)[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사물의 행방이나 사태의 추이를 알 길이 없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오리무중 (五里霧中) 五:다섯 오. 里:마을‧이수 리. 霧:안개 무. 中:가운데 중. [동의어] 오리무(五里霧). [출전]《後漢書》〈張楷專〉 사방(四方) 5리에 안개가 덮여 있는 속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행방이나 사태의 추이를 알 길이 없음의 비유.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 학문이 뛰어난 장해(張楷)라는 선비가 있었다. 순제가 여러 번 등용하려 했지만 그는 병을 핑계 대고 끝내 출사(出仕)하지 않았다. 장해는《춘추(春秋)》《고문상서(古文尙書)》에 통달한 학자로서 평소 거느리고 있는 문하생만 해도 100명을 웃돌았다. 게다가 전국 각처의 숙유(夙儒‧宿儒:학식과 명망이 높은 선비)들을 비롯하여 괴족‧고관대작‧환관(宦官)들..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오손공주 (烏孫公主)[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정략 결혼의 희생양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오손공주 (烏孫公主) 烏:까마귀 오. 孫:손자 손. 公:공변될‧귀인 공. 主:주인 주. [참조] 요령부득(要領不得). [출전]《漢書》〈西域專〉 정략 결혼의 희생이 된 슬픈 운명의 여인. 오손은 전한(前漢) 때 서역(西域) 지방에 할거하던 터키계(系)의 유목 민족으로, 그 세력권은 천산(天山) 산맥 북쪽의 이시크를 호수 부근으로부터 이리하(伊犁河:일리 강) 유역의 분지를 포함하여 아랄해로 흘러 들어가는 시르 강 상류의 나린 강 계곡에 있던 적곡성(赤谷城:본거지)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당시 오손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성했던 흉노는 북방 몽골 땅을 근거지로 삼고 한나라를 끊임없이 침범했다. 그래서 한나라 7대 황제인 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론 마찬가지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五:다섯 오. 十:열 십. 步:걸음 보. 百:일백 백. [동의어] 오십보소백보(五十步笑百步). [유사어] 대동소이(大同小異). [출전]《孟子》〈梁惠王篇〉 오십 보 도망친 사람이 백 보 도망친 사람을 비웃는다는 뜻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론 마찬가지라는 말. 전국 시대인 기원전 4세기 중엽, 위(魏)나라 혜왕(惠王)은 진(秦)나라의 압박에 견디다 못해 도읍을 대량(大梁)으로 옮겼다(이후 양나라라고도 불렸음). 그러나 제(齊)나라와의 싸움에서도 늘 패하는 바람에 국력은 더욱 떨어졌다. 그래서 혜왕은 국력 회복을 자문하기 위해 당시 제후들에게 왕도 정치론을 유세중인 맹자를 초청했다. “선생이..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오월동주 (吳越同舟)[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적의를 품은 사람끼리라도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도움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오월동주 (吳越同舟) 吳:오나라 오. 越:넘을‧월나라 월. 同:한가지 동. 舟:배 주. [동의어] 오월지쟁(吳越之爭), 오월지사(吳越之思). [유사어] 동주상구(同舟相救), 동주제강(同舟濟江), 호월동주(胡越同舟), 오월지부(吳越之富). [참조] 와신상담(臥薪嘗膽). [출전]《孫子》〈九地篇〉 적대(敵對) 관계에 있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고 있다는 뜻. 곧 ① 서로 적의를 품을 사람끼리 같은 장소‧처지에 놓임. 원수끼리 함께 있음의 비유. ② 적의를 품은 사람끼리라도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도움. 《손자(孫子)》라는 책은 중국의 유명한 병서(兵書)로서 춘추 시대 오나라의 손무(孫武)가 쓴 것이다. 손무는..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오합지중 (烏合之衆)[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갑자기 모인 훈련 없는 군세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오합지중 (烏合之衆) 烏:까마귀 오. 合:합할 합. 之:갈 지(…의). 衆:무리 중. [동의어] 오합지졸(烏合之卒). [유사어] 와합지중(瓦合之衆). [출전]《後漢書》〈耿弇專(경감전)〉 까마귀떼 같이 질서 없는 무리라는 뜻. 곧 ① 규율도 통일성도 없는 군중. ② 갑자기 모인 훈련 없는 군세(軍勢). 전한(前漢) 말, 대사마(大司馬)인 왕망(王莽)은 평제(平帝)를 시해(弑害)하고 나이 어린 영(嬰)을 세워 새 황제로 삼았으나 3년 후 영을 폐하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국호를 신(新)이라 일컬었다(9년). 이처럼 천하가 혼란에 빠지자 유수(劉秀:후한의 시조)는 즉시 군사를 일으켜 왕망 일당을 주벌(誅伐)하고 경제(景帝)의 후..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