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251

불입호혈 부득호자 (不入虎穴不得虎子)[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모험을 하지 않고는 큰 일을 할 수 없음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불입호혈 부득호자 (不入虎穴不得虎子) 不:아니 불. 入:들 입. 虎:범 호. 得:얻을 득. 子:아들 자. [참조]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출전]《後漢書》〈班超傳〉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고는 호랑이 새끼를 못 잡는다는 뜻으로, 모험을 하지 않고는 큰 일을 할 수 없음의 비유. 후한(後漢) 초기의 장군 반초(班超)는 중국 역사서의 하나인《한서(漢書)》를 쓴 아버지 반표(班彪), 형 반고(班固), 누이동생 반소(班昭)와는 달리 무인(武人)으로 이름을 떨쳤다. 반초는 후한 2대 황제인 명제(明帝) 때(74년) 서쪽 오랑캐 나라인 선선국[鄯善國:누란(樓蘭)]에 사신으로 떠났다. 선선국왕은 반초의 일행36명을 상객(上客)으로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불혹 (不惑)[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나이 마흔 살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불혹 (不惑) 不:아니 불. 惑:미혹할 혹. [동의어] 불혹지년(不惑之年). [출전]《論語》〈爲政篇〉 미혹(迷惑)하지 아니함. 나이 마흔 살의 일컬음. 공자는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 수양의 발전 과정에 대해《논어》〈위정편(爲政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열 다섯 살 때 학문에 뜻을 두었고 [吾十有五而志于學(오십유오이지우학)-志學] 서른 살 때 입신했다. [三十而立(삼십이입)-而立] 마흔 살 때는 미혹하지 않고 [四十不惑(사십불혹)-不惑] 쉰 살 때 하늘의 명을 알았다. [五十而知天命(오십이지천명)-知命] 예순 살 때는 귀에 따랐고 [六十而耳順(육십이이순)-耳順] 일흔 살이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해도 법도를 넘어서..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사면초가 (四面楚歌)[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사방 빈틈없이 적에게 포위됨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사면초가 (四面楚歌) 四:넉 사. 面:낯‧겉‧대할 면. 楚:초나라 초. 歌:노래 가. [준말] 초가(楚歌).[동의어] 사면초가성(四面楚歌聲). [참조] 건곤일척(乾坤一擲), 권토중래(捲土重來), 걸해골(乞骸骨). [출전]《史記》〈項羽本紀〉 사면에서 들려 오는 초나라 노래란 뜻. 곧 ① 사방 빈틈없이 적에게 포위된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 ② 주위에 반대자 또는 적이 많아 고립되어 있는 처지. ③ 사방으로부터 비난받음의 비유. 진(秦)나라를 무너뜨린 초패왕(楚霸王) 항우(項羽)와 한왕(漢王) 유방(劉邦)은 홍구[鴻溝:하남성(河南省)의 가로하(賈魯河)]를 경계로 천하를 양분, 강화하고 5년간에 걸친 패권(覇權) 다툼을 멈췄다(B.C. 203). 힘과 기(氣)에만..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사이비 (似而非)[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진짜같이 보이나 실은 가짜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사이비 (似而非) 似:같을 사. 而:어조사 이. 非:아닐 비. [원말] 사이비자(似而非者). [출전]《孟子》〈盡心篇〉,《論語》〈陽貨篇〉 ① 겉은 제법 비슷하나 속은 전혀 다름. ② 진짜같이 보이나 실은 가짜임. 전국 시대, 아성(亞聖)으로 불리던 맹자에게 어느 날 만장(萬章)이라는 제자가 물었다. “한 마을 사람들이 다 훌륭한 사람이라고 칭찬한다면 그런 사람을 어디를 가든 훌륭한 사람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공자께서는 어찌하여 그들을 가리켜 ‘향원[鄕原:지방의 토호(土豪)]은 덕(德)을 해치는 도둑’이라고 말씀하셨을까요?” 맹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들을 비난하려 해도 들어서 비난할 것 없고, 공격하려 해도 공격할..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사족 (蛇足)[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쓸데없는 것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사족 (蛇足) 蛇:뱀 사. 足:발 족. [원말] 화사첨족(畵蛇添足). [출전]《戰國策》〈齊策〉,《史記》〈楚世家〉 뱀의 발. 곧 ① 쓸데없는 것. 무용지물(無用之物)의 비유. ② 있는 것보다 없는 편이 더 나음의 비유. ③ 공연히 쓸데없는 군일을 하다가 실패함의 비유. 전국 시대인 초(楚)나라 회왕(懷王) 때의 이야기이다. 어떤 인색한 사람이 제사를 지낸 뒤 여러 하인들 앞에 술 한 잔을 내놓으면서 나누어 마시라고 했다. 그러자 한 하인이 이런 제안을 했다. “여러 사람이 나누어 마신다면 간에 기별도 안 갈 테니, 땅바닥에 뱀을 제일 먼저 그리는 사람이 혼자 다 마시기로 하는 게 어떻겠나?” “그렇게 하세.” 하인들은 모두..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살신성인 (殺身成仁)[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대의를 위해 목숨을 버린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살신성인 (殺身成仁) 殺:죽일 살. 身:몸 신. 成:이룰 성. 仁:어질 인. [출전]《論語》〈衛靈公篇〉 몸을 죽여 어진 일을 이룬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 또는 대의를 위해 목숨을 버린다는 말. 이 말은 춘추 시대, 인(仁)을 이상의 도덕으로 삼는 공자(孔子)의 언행을 수록한《논어(論語)》〈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높은 뜻을 지닌 선비와 어진 사람은 [志士仁人(지사인인)] 삶을 구하여 ‘인’을 저버리지 않으며 [無求生以害仁(무구생이해인)] 스스로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룬다. [有殺身以成仁(유살신이성인)] 공자 사상의 중심을 이루는 ‘인’의 도는 제자인 증자(曾子)가《논어(論語)》〈이인편(里仁篇)〉에서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삼고초려 (三顧草廬) 삼고모려 (三顧茅廬)[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사람을 맞이함에 있어 진심으로 예를 다함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삼고초려 (三顧草廬) 三:석 삼. 顧:돌아볼 고. 草:풀 초. 廬:풀집 려. [준말] 삼고(三顧). [동의어] 삼고모려 (三顧茅廬) 초려삼고(草廬三顧), 삼고지례(三顧之禮). [유사어] 삼고지우(三顧知遇). [참조] 수어지교(水魚之交). [출전]《三國志》〈蜀志 諸葛亮專〉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곧 ① 사람을 맞이함에 있어 진심으로 예를 다함[三顧之禮] ② 윗사람으로부터 후히 대우받음의 비유. 후한 말엽, 유비[劉備:자는 현덕(玄德), 161~223]는 관우[關羽:자는 운장(雲長), ?~219]‧장비[張飛:자는 익덕(益德), 166?~221]와 의형제를 맺고 한실(漢室) 부흥을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그러나 군기를 잡고 계책을 세워 전군을 통솔할 군사..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삼년불비 우불명 (三年不飛又不鳴)[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기회를 기다리고 있음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삼년불비 우불명 (三年不飛又不鳴) 三:석 삼. 年:해 년. 不:아니 불. 飛:날 비. 又:또 우. 鳴:울 명. [원말] 삼년불비 우불명(三年不飛又不鳴). [동의어] 삼년불비불명(三年不飛不鳴). [유사어] 자복(雌伏). [출전]《呂氏春秋》〈審應覽〉,《史記》〈滑稽列傳〉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훗날 웅비(雄飛)할 기회를 기다리고 있음을 이르는 말. 춘추시대 초엽, 오패(五霸)의 한 사람으로 꼽혔던 초(楚)나라 장왕(莊王:B.C. 613~591)이 즉위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있었던 일이다. 어느 날 장왕은 신하들을 모아 놓고 이렇게 선언했다. “앞으로, 과인을 간하는 자는 사형(死刑)에 처할 것이오.” 그 후 장왕은 3년간에 걸쳐 국정은 돌..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삼십육계 주위상계 (三十六計走爲上計)[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일의 형편이 불리할 때는 도망가는 것이 상책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삼십육계 주위상계 (三十六計走爲上計) 十:열 십. 六:여섯 륙. 計:꾀할 계. 走:달아날 주. 爲:할 위. 上:위 상. [유사어] 주여도반(走與槄飯). [출전]《資治通鑑》〈卷百四一〉,《齊書》〈王敬則專〉 서른 여섯 가지 계책 중에서 피하는 것이 제일 좋은 계책이란 뜻으로, 일의 형편이 불리할 때는 도망가는 것이 상책이라는 말. 남북조 시대, 제(齊:南齊, 479~502)나라 5대 황제인 명제(明帝) 소도성(蕭道成)의 종질(從姪:사촌 형제의 아들)로서 고제의 증손(曾孫)인 3대‧4대 황제를 차례로 시해하고 제위를 찬탈(簒奪)한 황제이다. 그는 즉위 후에도 고제의 직손(直孫)들은 물론 자기를 반대하는 사람은 가차없이 잡아 죽였..

배움/고사성어 2012.10.05

삼인성호 (三人成虎)[고사성어 유래, 뜻, 해석]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 듣는다

현명한 지혜 (Wise Wisdom) : 故事成語 배우기: 고사성어 유래, 뜻 설명 삼인성호 (三人成虎) 三:석 삼. 人:사람 인. 成:이룰 성. 虎:범 호. [준말] 시호(市虎). [동의어] 시유호(市有虎), 시호삼전(市虎三傳), 삼인언이성호(三人言而成虎). [유사어] 증삼살인(曾參殺人), 십작목무부전(十趵木無不顚). [출전]《韓非子》〈內儲設〉,《戰國策》〈魏策 惠王〉 세 사람이 짜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말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 듣는다는 말. 전국 시대, 위(魏:梁)나라 혜왕(惠王) 때의 일이다. 태자와 중신 방총(龐葱)이 볼모[人質]로서 조(趙)나라의 도읍 한단(邯鄲)으로 가게 되었다. 출발을 며칠 앞둔 어느 날, 방총이 심각한 얼굴로 혜왕에게 이렇게 ..

배움/고사성어 201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