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유학

목민심서 2장 율기 3조 제가 (牧民心書 律己 齊家) 목민심서 제가 원문 및 해석, 설명

올드코난 2016. 5. 6. 13:05
반응형

목민민서 2장 율기 (律己)는 자신을 바로 하다, 자기 자신을 단속하다라는 의미로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라, 행동을 바르게 하라는 지침을 담고 있다. 율기육조 (律己六條)에는 1조 칙궁 (飭躬: 제 몸의 단속), 2조 청심 (淸心: 마음을 청렴하게 하라), 3조 제가 (齊家: 먼저 집안을 단속하라), 4조 병객 (屛客:관아에 객을 들이지 마라), 5조 절용 (節用:재물을 절약하라), 6조 낙시 (樂施:희사를 즐기다)로 구성되어 있다.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牧民心書) 2장 율기육조 (律己六條) 3조 제가(齊家)

* 제가(齊家): 집안을 먼저 바르게 하라.


1.원문

修身而後齊家 齊家而後治國 天下之通義也 欲治其邑者 先齊其家.

國法 母之就養 則有公賜 父之就養 不會其費 意有在也.

淸士赴官 不以家累自隨 妻子之謂也.

昆弟相憶 以時往來 不可以久居也.

貧從雖多 溫言留別 臧獲雖多 良順是選 不可以牽纏也.

內行下來之日 其治裝 宜十分儉約.

衣服之奢 衆之所忌 鬼之所嫉 折福之道也.

飮食之侈 財之所靡 物之所殄 招災之術也.

閨門不嚴 家道亂矣 在家猶然 況於官署乎 立法申禁 宜如雷如霜.

干謁不行 苞苴不入 斯可謂正家矣.

貿販不問其價 役使不以其威 則閨門尊矣.

房之有嬖 閨則嫉之 擧措一誤 聲聞四達 早絶邪慾 毋裨有悔.

慈母有敎 妻子守戒 斯之謂法家 而民法之矣.


2.해석 및 설명

修身而後齊家 齊家而後治國 天下之通義也 欲治其邑者 先齊其家.

음) 수신이후제가 제가이후치국 천하지통의야 욕치기읍자 선제기가

해석) 내 자신을 바로 하고 집안을 바로 다스린후 나라를 다스림은 천하의 이치인 것이다. 지방관은 고을을 다스리기 전에 집안을 바로 다스려야 한다.

설명) 과거 전직 대통령의 친인척과 가족들의 비리로 나라를 시끄럽게 한 적이 많았다. 전두환의 친동생 전경환의 새마을 비리를 포함해 권력을 가진 자들의 측근과 일가친척들의 비리의 이유는 권력자에게 있는 것이다.

國法 母之就養 則有公賜 父之就養 不會其費 意有在也.

음) 국법 모지취양 즉유공사 부지취양 불회기비 의유재야

해석) 나라 법에 어머니를 모시면 봉양비용을 지급하지만, 아버지의 봉양비용을 주지 않는 이유는 있는 것이다.

설명) 이는 아버지에 효를 하지 말라는 말이 아니다. 고을에 아버지를 데려가면 아버지에게 아부하는 자들이 나타남을 경계하는 것이다. 이는 남자들이 여성들에 비해 매우 정치적이기 때문이다.

淸士赴官 不以家累自隨 妻子之謂也.

음) 청사부관 불이가루자수 처자지위야.

해석) 청렴한 선비는 수령으로 나갈 때 아내와 자식을 데려가지 않는다.

설명) 여기서 말하는 가족은 어린 자녀를 뜻하는 말이 아니다. 어려서 부모의 보실핌을 필요로하는 자녀는 당연히 데여가야겠지만, 철이 든 자녀는 자칫 권력에 맛을 들일수가 있으니 그를 경계하라는 것이다.

昆弟相憶 以時往來 不可以久居也.

음) 곤제상억 이시왕래 불가이구거야.

해석) 형제간에 우애가 있더라도 오래 머물러서는 안된다.

설명) 이는 친인척 비리 중에서도 형제간의 결탁으로 인한 비리가 과거에도 가장 큰 문제가 되었음을 경계하는 것이다. 이유는 형제는 나이가 비슷하고 같이 자란 탓에 마음도 쉽게 통하기 때문에 권력을 잡은 형제가 마음만 먹으면 큰 비리를 저지른다는 것이다.

貧從雖多 溫言留別 臧獲雖多 良順是選 不可以牽纏也.

음) 빈종수다 온언유별 장획수다 양순시선 불가이견전야.

해석) 손님이 많더라도 따뜻한 말로 헤어질 것이며 따르는 자가 많더라도 성품이 좋은 자를 골라 써야 할 것이다. 사적인 감정으로 사람을 뽑지 마라.

설명) 공과 사를 분명히 하라는 의미로 보면 된다.

內行下來之日 其治裝 宜十分儉約.

음) 내행하래지일 기치장 의십분검약.

해석) 부인이 오는 날에는 행장을 검소하고 작게해야 할 것이다.

설명) 과거 고을에 수령이 내려가면 온 가족이 모두 다 내려가는 것이 아니다. 해서 남편을 보기 위해 부인기 가끔 찾아가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때 간소하게 가라는 것이다. 이는 요즘 말로 하자면, 공직자가 해외 여행을 갈 때 부인을 대동해서 가지 말거나, 나랏돈으로 비용을 쓰지 말라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인천 안상수 시장은 명심해야)

衣服之奢 衆之所忌 鬼之所嫉 折福之道也.

음) 의복지사 중지소기 귀지소질 절복지도야.

해석) 의복을 사치스럽게 하면 귀신도 질투를 할 것이니 이는 복을 깎아 버리는 일이다.

설명) 관리의 부인이 사치를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너무 사치스럽게 치장을 하면 고을 백성들이 이를 비웃고 비난할 것이니 결국은 관리가 욕을 먹게 되는 것이다.

飮食之侈 財之所靡 物之所殄 招災之術也.

음) 음식지치 재지소미 물지소진 초재지술야.

해석) 음식을 낭비하는 것은 재물을 낭비하는 것이니 물자를 소진하는 것이니 재앙을 부르는 길이다.

설명) 사치와 낭비를 하지 말라는 것이다. 나랏돈이기에 펑펑써대는 그런 관리들을 경계하는 말이다.

閨門不嚴 家道亂矣 在家猶然 況於官署乎 立法申禁 宜如雷如霜.

음) 규문불엄 가도난의 재가유연 황어관서호 입법신금 의여뢰여상.

해석) 규수(여인)들이 있는 곳에 규율이 없으면 집안이 어지러워진다. 한 집안도 그러하건데, 관서(官署)는 오직하겠는가. 법을 세우고 천둥과 서릿발같이 시행해야 할 것이다.

설명) 법을 지키는데, 원칙과 규율도 중요하며 이를 시행할 때 단호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干謁不行 苞苴不入 斯可謂正家矣.

음) 간알불행 포저불입 사가위정가의.

해석) 청탁을 멀리하고 뇌물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이는 집안이 바로 잡힌 것이라 할 것이다.

설명) 관직에 있으면 많은 청탁이 들어온다. 근데, 청탁이 들어오지 않는 다는 것은 관료도 일을 잘한 것이지만, 부인과 가족들 역시 청탁을 거절했기때문인 것이다.

貿販不問其價 役使不以其威 則閨門尊矣.

음) 무판불문기가 역사불이기위 즉규문존의.

해석) 물건을 살 때 제값을 주고, 사람을 쓸때는 위압적이지 않으면 가문이 존경을 받을 것이다.

설명) 관직에 있는자가 가격을 깎으려 들면 백성들은 어쩔수 없이 손해를 보게되고, 일을 부려먹기만 하고 사람대접이나 돈을 제대로 주지 않는다면 사람들에게 원망을 듣게 될 것이다.

房之有嬖 閨則嫉之 擧措一誤 聲聞四達 早絶邪慾 毋裨有悔.

음) 방지유폐 규즉질지 거조일오 성문사달 조절사욕 무비유회.

해석) 첩을 두면 조강지처가 질투를 할 것이며, 잘못된 행동을 하면 소문이 따를 것이며, 부정한 정욕을 억제해 후횐이 없어야 할 것이다.

설명) 여색을 탐하지 말라는 뜻이다.

慈母有敎 妻子守戒 斯之謂法家 而民法之矣.

음) 자모유교 처자수계 사지위법가 이민법지의.

해석) 어미지의 가르침이 있고, 아내와 자식들의 규범을 잘 지킬 때 법도가 있는 집안으로 여겨질 것이며, 백성들이 본받으려 할 것이다.

설명) 이는 사회지도층들은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권력을 누리려고만 하지 말고, 자신들부터 처신을 잘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