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조물
( THIS IS THE CREATURE )
라이너 마리아 릴케(RANIER MARIA RILKE) 作
THIS IS THE CREATURE
THIS IS THE CREATURE THERE HAS NEVER BENN
THEY NEVER KNEW IT, AND YET, NONE THE LESS,
THEY LOVED THE WAY IT MOVED, ITS SUPPLENESS,
ITS NECK,ITS VERY GAZE,MILD AND SERENE
NOY THERE,BECAUSE THEY LOVED IT,IT BEHAVED
AS THOUGH IT WERE. THEY ALWAYS LEFT SOME SPACE.
AND IT THAT CLEAR UNPEOPLED SPACE THEY SAVED
IT LIGHTLY REARED ITS HEAD,WITH SCARCE A TRACE
OF NOT BEING THERE. THEY FED IT,NOT WITH COM,
BUT ONLY WITH THE POSSIBILITY
OF BEING.AND THAT WAS ABLE TO CONFER
SUCH STRENGTH,ITS BROW PUT FORTH A HORN,ONE HONE.
WHITELY IT STOLE UP TO A MAID-TO BE
WITHIN THE SILVER MIRROR AND IN HER.
-RANIER MARIA RILKE-
피조물
이것은 일찍이 존재하지 않았던 피조물
그들은 결코 그것을 알지 못해
그들은 내가 움직이는 길과,
그 보충과,그 목과,그 시선과,
온유하고 경건함을 사랑했네
그들은 그것을 사랑했지만
그것은 마치 그것인 것처럼 행동하였으므로 거기엔 없어
그들은 언제나 약간의 공간을 남겨 놓는다네
그들은 그 사람 없는 공간에서
거기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추적의 두려움을 가진 채
약간 그 머리를 기르고
그들은 옥수수가 아닌 음식을
그들에게 먹이지만
그것은 존재의 가능성이 있을 때뿐.
그것은 그러한 힘을 논의할 수 있고
그 숨결은 나팔을 분다, 한번의 나팔.
처녀가 그것을 훔쳐
은빛 거울과 그녀 속의 것이 된다.
-릴케의 "피조물" 中
[라이너 마리아 릴케(RANIER MARIA RILKE) 소개]
- 출처:위키백과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 1875년 12월 4일 ~ 1926년 12월 29일) 오스트리아의 시인이자 작가이다. 20세기 최고의 독일어권 시인 중 한 명이라 할 수 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에서 출생하여 고독한 소년 시절을 보낸 후 1886년부터 1891년까지 육군 유년 학교에서 군인 교육을 받았으나 중퇴하였다. 프라하·뮌헨·베를린 등의 대학에서 공부하였다. 일찍부터 꿈과 동경이 넘치는 섬세한 서정시를 썼다. 본명은 르네 카를 빌헬름 요한 요세프 마리아 릴케(René Karl Wilhelm Johann Josef Maria Rilke)였으나 연인이었던 루 살로메의 조언에 따라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게 되었다.
그의 생애는 대략 4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시집 《가신에게 바치는 제물들》, 《기수 크리스토프 릴케의 죽음과 사랑의 노래》 등을 발표한 시기이며,
제2기는 뮌헨에서 만난 러시아 여자 살로메에게 감화를 받아 러시아 여행을 떠난 후, 러시아의 자연과 소박한 슬라브 농민들 속에서 《나의 축제를 위하여》,《사랑하는 신 이야기》,《기도 시집》,《형상 시집》 등을 발표한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절에 루 살로메를 만나 사랑을 나누고 그녀를 위해 <<그대의 축제를 위하여>>라는 시집을 써서 혼자서 간직한다. 1902년 이후 파리로 건너가 조각가 로댕의 비서가 되었는데, 그는 로댕의 이념인 모든 사물을 깊이 관찰하고 규명하는 능력을 길렀다.
제3기에 그는 조각품처럼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우주와 같은 시를 지으려고 애썼다. 1907년 《신시집》, 《로댕론》을 발표하고 이어 1909년 파리 시대의 불안과 고독, 인간의 발전을 아름답게 서술한 《말테의 수기》를 발표하였다.
제4기는 1913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을 때였다. 그 때까지 작품 활동을 중지하고 있던 릴케는 10년간의 침묵 끝에 1923년 스위스의 고성에서 최후를 장식하는《두이노의 비가》,《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를 발표하였다. 그의 모든 작품들은 인간성을 상실한 이 시대의 가장 순수한 영혼의 부르짖음으로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릴케는 수많은 사람들과 편지로 교류를 하였다. 당시 삶과 예술, 고독, 사랑 등의 문제로 고뇌하던 젊은 청년 프란츠 카푸스에게 보낸 열 통의 편지는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어 독일은 물론 미국에서도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배움 >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디오북] The Awakening; 더 어웨이크닝(자각,각성,인식) by Kate Chopin (작가 케이트 쇼팽)설명 및 듣기 (0) | 2012.03.18 |
---|---|
[오디오북] The Time Machine; 타임머신 by H. G. Wells (작가 허버트 조지 웰스) 설명 및 듣기 (0) | 2012.03.17 |
[오디오북] The War of the Worlds Book 2 ; 우주전쟁 2권 지구, 화성인에게 정복당하다 by H. G. Wells (작가 허버트 조지 웰스)설명 및 듣기 (0) | 2012.03.17 |
[오디오북] The War of the Worlds Book 1 ; 우주전쟁 1권 화성인 침공 by H. G. Wells (작가 허버트 조지 웰스) 설명 및 듣기 (0) | 2012.03.17 |
시) 릴케 - 그대의 어둠 YOU DARKNESS (0) | 2011.06.04 |
시) 릴케 -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RANIER MARIA RILKE - LETTERS TO A YOUNG POET ) (0) | 2011.06.04 |
시) 보리밭 작사가 '박화목' 詩人의 대표 시 '호접 (蝴蝶)', 보리밭 가사 (0) | 2010.11.29 |
시)아인슈타인 시집 – 뜨락 , 가등의 방, 아무렇게나 살아도 (0) | 2010.07.28 |
시)아인슈타인 시집 – 좋은 영화를 보고 오는 밤, 수박밭에서,어떤 개인날 (0) | 2010.07.28 |
시)아인슈타인 시집 – 투명한 바닥, 투명한 창, 투명한 방 (0) | 201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