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전투(錦山戰鬪)는 임진왜란 당시 음력 7월 9일~음력 7월 10일, 음력 8월 18일에 걸쳐 금산에서 의병과 관군들이 싸운 전투로 의병들의 대표적인 혈전으로 꼽힌다.
임진왜란, 의병들의 혈전 패전 아닌 패배 금산 전투(錦山戰鬪), 칠백의총
1.배경
충청도 금산은 전라도로 통하는 길목으로 이곳을 점령하기 위해 일본군 제6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1592년 7월 31일(음력 6월 23일) 이곳을 점령했다. 이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정암진, 웅치, 이치, 우척현 등 여러 전투에서 패하면서 이곳에 머무르게 되었고 각지의 의병들이 이곳을 탈환하기 위해 노력한다.
2. 1차 금산전투
금산을 탈환하기 위해 제일 먼저 나선 의병장은 광주에서 의병을 일으킨 학자 출신 고경명으로 막내 아들 고인후와 의병 7000명을 이끌고 금산을 탈환하기 위해 북상했다. 8월 7일(음력 7월 1일) 충청도 의병장 조헌에게 연락해 금산에서 합류하기로 했다. 이곳을 지키는 일본군 제6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군대는 권율과의 이치 전투를 한창 벌이고 있었는데 고경명의 의병이 몰려온다는 소식을 듣고 전투를 중지하고 금산성을 지키기 위해 달려갔다.
고경명은 전라도 방어사 곽영과도 합류해 금산성을 공격했고 왜군은 조총으로 대항했다. 고경명은 주위에 불을 지르고 비격진천뢰와 30명의 특공조까지 편성해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저녁이 되어 첫 전투가 끝나고 곽영이 철수를 하라는 했으나 고경명은 끝까지 싸우자고 주장해 다음 날 다시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곽영의 관군이 싸울 뜻이 없는 것을 안 왜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곽영의 진을 공격해 곽영이 후퇴하고 관군이 무너지자 의병들까지 무너졌고 고경명의 부하 유팽로와 안영이 싸우다가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고경명도 결국 전사했고 아버지의 목이 일본군의 창 끝에 걸린 것을 본 막내 아들 고인후가 나섰으나 그도 역시 전사해 창 끝에 목이 걸렸다. 전투가 종결되고 고경명의 장남 고종후가 아버지와 동생의 목 없는 시신을 찾아 장례를 치렀다.
3. 2차 금산전투 칠백의총
고경명이 전사한 뒤에도 수많은 관군과 의병들이 금산을 탈환하려 했었는데 왜군은 금산을 탈환하려 북진하려던 보성과 남평의 군대를 공격해 남평 현감 한순을 전사시키는 등 기세를 꺾지 않았다.
이에 청주 전투에서 청주성을 탈환했던 의병장 조헌이 나서 1000명의 의병을 이끌고 충청도순찰사 윤선각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군사만 축낼 것이라 하여 거절하고 전라도관찰사 권율과 경상도의 의병장 곽재우에게도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권율은 중요한 위치가 아니라 거절하고 곽재우도 금산 외에도 중요한 요지가 더 많다고 하여 거절했다.
결국 조헌은 혼자 출발했고 충청도관찰사 허욱이 마지막으로 사람을 보내 가지 말라고 경고를 했으나 이마저도 무시했다. 그리고 관군의 방해로 1000명의 의병이 700명으로 줄었으나 전 청주 전투에서 함께 싸웠고 영규 대사가 와 승병 600명과 합류해 총 1300명의 군사가 되었다.
그리고 금산성 평야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고 화살이 떨어지고 왜군과 육박전을 벌여야 할 상황이 오자 주변 사람들이 조헌에게 피신하라고 말했으나 조헌은 이를 거절하고 직접 불을 치며 군사에게 독전하다가 결국 전사했고 승병을 이끌던 영규 대사도 전사했다.
의병과 승병 모두 전사하고 일본군 역시 피해도 막대해 시체를 옮기는 데 3일이 걸렸으며 이후 700명의 시체들을 모아 '칠백의총' 이란 무덤을 만들었다.
4.전투 결과, 금산전투에 대한 아쉬움
1차 전투에서 관군과 의병이 연합작전을 제대로 펼치지 못한 이유는 전라도 방어사 곽영이 도망치려는 마음가짐에 있었다. 병력차이는 일본쪽이 우세하기는 했지만, 당시 전투 상황은 박빙이었고 만일 곽영이 의병장 고경명과 죽기로 싸웠다면 최소한 패전은 하지 않을 만큼 왜군도 한풀 꺽인 상황이었다. 곽영이 흔들리는 틈을 왜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이 놓치지 않았는데, 만일 곽영이 아닌 고경명이 의병과 관군 전체를 지휘했더라면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후퇴를 했을 것이다. 그랬더라면 금산을 되찾고 2차 금산전투도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1차 금산전투는 승리를 못했을지언정 패전을 하지도 않았을 전투였다.
마지막으로 고경명의 의병과 조선의 칠백의총의 희생은 절대 헛되지 않았다.
금산에 주둔하던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일본군 제6군단은 결국 이치 전투와 웅치 전투에 이어 고경명의 의병과 조헌과 영규의 연합군과의 전투 등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어 음력 9월 7일 무주의 군사를 불러들이고 음력 9월 16일 옥천으로 철수했기 때문이다. 금산전투를 패전으로만 부를 수 없는 이유다.
글 작성/편집 올드코난 (Old Conan)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요즘,트위터,미투데이,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안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역사 > 국사-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의병 이정암의 연안전투 (0) | 2015.03.28 |
---|---|
임진왜란 이순신 수군의 4차 출정 제해권을 장악한 부산포 해전(부산 해전) (0) | 2015.03.26 |
임진왜란, 원주 백성을 살린 영원산성 전투 (0) | 2015.03.26 |
임진왜란, 의병과 승병이 거둔 승리 청주 전투(淸州戰鬪) (0) | 2015.03.26 |
임진왜란 같은날 전라도에서 승리한 안골포 해전, 우척현 전투 (0) | 2015.03.26 |
임진왜란 3대 대첩 세계해전사에 남을 학익진 한산도대첩 (閑山島大捷) (0) | 2015.03.25 |
임진왜란 일본의 전라도 진격을 막은 조선의 승리 이치 전투(梨峙戰鬪) (0) | 2015.03.25 |
임진왜란 장렬한 패전 웅치 전투(熊峙戰鬪) (0) | 2015.03.25 |
임진왜란 4번싸워 되찻은 평양성, 평양 전투(平壤戰鬪) 설명 (0) | 2015.03.25 |
임진왜란 역사적인 참패 용인 전투(龍仁戰鬪) (0) | 201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