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추존왕비 경종의 정비 단의왕후 심씨(端懿王后 沈氏) 설명

왕비 중에서는 요절한 사람들이 많다. 단의왕후 역시 그러했는데, 경종의 정비였던 단의왕후 심씨는 실재 왕비가 아니었다. 간략히 설명해 본다.추존왕비 경종의 정비 단의왕후 심씨(端懿王后 沈氏) 설명 1.출생과 가계단의왕후 심씨(端懿王后, 1686년 7월 11일(음력 5월 21일) ~ 1718년 3월 8일(음력 2월 7일)) 조선 20대 왕 경종(景宗)의 정비. 시호는 공효정목단의왕후(恭孝定穆端懿王后), 전호(殿號)는 영휘(永徽), 능호(陵號)는 혜릉(惠陵). 본관은 청송(靑松). 성은 심(沈). 세종의 장인 심온의 12대손이고, 명종의 장인 심강의 7대손이고 동서분당의 원인을 제공한 심충겸의 6대손이고 심봉서의 손녀이며, 첨정으로 후일 우의정, 영의정 등으로 추증된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 심호(沈浩)의 딸..

역사/인물 2016.03.12

영조의 후견인 숙종의 계비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金氏)

숙종은 여러번 장가를 들었는데 정비 인경왕후 김씨 (仁敬王后 金氏, 1661년 - 1680년)가 일찌 죽은 후 2명의 계비를 얻게 된다. 제1계비는 인현왕후 민씨 (仁顯王后 閔氏, 1667년 ~ 1701년)였고 제2계비는 인원왕후 김씨 (仁元王后 金氏, 1687년 ~ 1757년)로 영조에게는 은인같은 존재인 인원왕후에 대해 설명해 본다.영조의 후견인 숙종의 계비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金氏) 설명 1.개요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1687년 11월 3일/음력 9월 29일 ~ 1757년 5월 13일/음력 3월 26일) 조선 숙종의 두 번째 계비. 휘호는 혜순자경헌렬광선현익강성정덕수창영복융화휘정정운정의장목인원왕후(惠順慈敬獻烈光宣顯翼康聖貞德壽昌永福隆化徽靖正運定懿章穆仁元王后). 본관은 경주(慶州), 경은부원군 김..

역사/인물 2016.03.12

조선 유일의 궁녀 출신 왕비 장희빈 (張禧嬪, 희빈 장씨 禧嬪 張氏) 설명

조선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여인하면 대부분 장희빈을 꼽는다. 경종의 어머니이며 숙종이 사랑을 받았지만, 사약을 받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은 장희빈은 오랫동안 악녀라는 이미지가 강했지만, 최근에는 권력의 희생양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졌다. 장희빈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기에 여기서는 간략히 정리해 본다.조선 유일의 궁녀 출신 왕비 장희빈 (張禧嬪) 과연 악녀였을까? 1.출생 및 가계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 9일 (음력 10월 8일 ~ 10일), 조선 19대 왕 숙종의 빈(嬪), 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 본명은 장옥정(張玉貞) 본관은 인동(仁同). 아버지는 역관 출신 장형(張炯), 어머니는 장형의 후처 윤씨. 역관(驛官) 장현(張炫..

역사/인물 2016.03.10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설명

숙종하면 가장 먼저 장희빈이 떠오르고 이어서 나오는 이름이 인현왕후 민씨다. 대부분 장희빈은 악녀, 인현왕후는 선한 여인으로 알려졌는데, 인현왕후부터 살펴 본다.왕에게 사랑받지 못한 여인,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설명우선 일찍 요절한 숙종의 정비 인경왕후를 간략히 소개한다. [참고: 인경왕후]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 1661년 10월 25일(음력 9월 3일) ~ 1680년 12월 16일(음력 10월 26일)) 조선 숙종의 정비로 본관은 광산(光山), 시호는 광렬효장명현선목혜성순의인경왕후(光烈孝莊明顯宣穆惠聖純懿仁敬王后). 본명은 김진옥(金盡玉)이며, 광성부원군 김만기와 서원부부인 한씨의 딸. 인현왕후와는 친·인척간이다.1670년 10세 때 세자빈에 간택되고 다음해 음력 3월 세자빈..

역사/인물 2016.03.09

조선 현종의 정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설명

이름이 비슷해서 헛갈리는 경우가 간혹있는데, 지금 소개하는 명성왕후가 그러하다. 명성황후 민비와 ‘황’과 ‘왕’의 차이 'ㅎ'의 차이 때문에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지금 소개하는 왕비는 현종의 정비 명성왕후 김씨이다.악처와 악녀로 알려진 조선 현종의 정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설명 1. 가계 및 출생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1642년 6월 13일/음력 5월 17일 ~ 1684년 1월 21일/1683년 음력 12월 5일) 조선 제18대 왕 현종의 정비, 본관은 청풍(淸風). 정식시호는 현렬희인정헌문덕명성왕후(顯烈禧仁貞獻文德明聖王后), 현렬왕대비(顯烈王大妃)로 불리기도 한다. 김육의 아들인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 김우명과 덕은부부인(德恩府夫人) 송씨(宋氏) 사이에서 태어났났다. 숙종의 어머니. 숙종과 명..

역사/인물 2016.03.09

효종의 정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설명

인조에 의해 세자가 죽음을 당하고 둘때였던 봉림대군이 임금이 되어 효종이 된다. 그리고 부인이었던 장씨는 왕비가 되는데, 내조를 잘했다는 정도로만 알려진 정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에 대해 설명해 본다. 1. 출생 및 가계인선왕후(仁宣王后,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 1674년 3월 19일(음력 2월 23일)) 조선 17대 임금 효종의 정비(正妃)이며 현종의 어머니이다. 신풍부원군 우의정 장유의 딸로, 본관은 덕수, 정식 시호는 효숙경렬명헌인선왕후(孝肅敬烈明獻仁宣王后)이다.광해군 10년이던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태어났는데, 아버지 장유(張維)는 인조반정 공신이며 이괄의 난에 인조를 보필한 공으로 신풍부원으로 봉해졌고, 정묘호란때는 인조..

역사/인물 2016.03.08

여성근로자 차별에 맞선 세계 여성의 날 유래 의미 설명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

3월8일은 세계 여성의 날 (국제 여성의 날, International Women's Day)이다. 1909년 시작된 것으로 1910년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와 클라라 체트킨에 의해 세계적 기념일로 제안되었고 1975년부터 국제연합에 의해 매년 3월 8일이 세계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되었다. 정리해 본다.근로자의 권리, 인권, 민주주의와 여성 근로자들의 권익에 큰 영향과 도움을 주고 있는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 (국제 여성의 날) 유래 의미 설명 1.최초의 여성 노동조합산업 혁명과 시민 혁명 그리고 자본주의 발전은 가사만을 하던 여성들에게 노동력을 요구하게 되는데, 문제는 남성보다 더 열악한 노동환경과 조건에 더 낮은 임금에 여성차별까지 심각해 여성노동자들의 불만은 극에 달한다. 결국 1857년 미국 뉴..

조선의 요부 소용 조씨 (귀인 조씨 貴人 趙氏) 설명

조선시대에 많은 독살 음모가 있지만 인조의 장남이었던 소현세자는 실제로 독살된 것으로 보여지는데, 인조가 소현세자빈마저 죽인 이면에는 소용 조씨가 있었다. 정리해 본다.소현세자빈을 죽게 만든 조선의 요부, 인조의 후궁 소용 조씨(귀인 조씨 貴人 趙氏) 1. 개요귀인 조씨(貴人 趙氏, ? ~ 1652년 1월 24일 (1651년 음력 12월 14일))는 조선의 제16대 임금 인조의 총관후궁으로 본관은 순창(淳昌). 조기(趙琦)의 딸로 어머니는 한옥(漢玉)이라고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1630년 여시(女侍: 궁궐 안에서 임금, 왕비, 왕세자를 모시고, 궁중의 일을 보던 여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뽑혀 입궁했다. 2.인조의 총애원래 숙원(淑媛:내명부 종사품)이었다가 1638년(인조 16년) 소원(昭媛), 1..

역사/인물 2016.03.07

인조의 계비 자의대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생애

인조의 계비이며 대왕대비까지 올랐지만, 실재로는 영광 보다는 아픔의 세월을 보냈던 자의대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에 대해 정리해 본다. 1.개요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 조선 16대 왕 인조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 정식 시호는 자의공신휘헌강인숙목장렬왕후(慈懿恭愼徽獻康仁淑穆莊烈王后)이며, 자의대비(慈懿大妃)로도 불린다. 한원부원군 조창원(漢原府院君 趙昌遠, 1583 ~ 1646)의 딸로 조부는 지돈녕부사 증 영의정 조존성(知敦寧府事 贈 領議政 昭敏公 趙存性, 1554 ~ 1668)이다. 아버지 조창원의 영향을 받아 검소하고 재물 욕심이 없는 성품이었다 전한다. 2. 인조의 계비1635년 인..

역사/인물 2016.03.06

조선 인조 정비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인열왕후)는 현명한 왕비였다.

광해군이 폐위되고 능양군이 인조로 즉위를 하고 왕비가 된 인조의 정비 인렬왕후 한씨는 소현세자와 효종의 친모가 된다. 현명한 여인이었던 한씨에 대해 정리해 본다. 현명한 왕비, 조선 인조 정비이며 효종과 소현세자의 어머니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인열왕후) , 만일 10년을 더 살았더라면 조선의 역사는 바뀌었을 것이다. 1. 개요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 원주읍내 우소 출생, 조선 16대 왕 인조의 정비, 소현세자와 제17대 왕 효종의 모후. 정식 시호 정유명덕정순인렬왕후(正裕明德貞順仁烈王后)이며, 본관은 청주 한씨(淸州 韓氏). 한준겸의 넷째 딸로 한준겸은 선조가 영창대군의 보필을 부탁한 유교7신(遺..

역사/인물 2016.03.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