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영국 최초의 성문헌법 옥스퍼드 조례 (Provisions of Oxford) 설명

존왕의 실정으로 마그나카르타가 만들어지는데 존왕의 아들 헨리3세 역시 군주로서는 자질이 부족했다. 이 두왕의 무능은 결국 영국 의회민주주의 시작이 되는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는지. 잉글랜드 왕 헨리 3세가 귀족들이 재정적 지원을 약속한 대가로 1258년 받아들인 개혁안 옥스퍼드 조례에 대해 정리해 본다. 영국 최초의 성문헌법 옥스퍼드 조례 (Provisions of Oxford) 설명 1.무능한 헨리 3세헨리 3세(Henry III, 1207년 10월 1일 ~ 1272년 11월 16일, 재위 1216년 10월 19일 ~ 1272년 11월 16일)는 존 왕의 아들로 9살에 왕이 되는데, 교양과 인정이 많은 사람이었다고는 하지만, 왕으로서의 자질은 부족했다. 외교나 군사 문제에서 결단력이 부족해 문제를..

역사/세계사 2016.02.12

영국 민주주의의 시작 마그나 카르타 (대헌장) 뜻과 의미

한국말로는 대헌장(大憲章)으로 번역되는 마그나 카르타는 영국의 존 왕의 무능에 분노한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템스 강변 러니미드에서 존 왕에게 강제로 승인하게 한 조항으로 왕과 귀족이라고 하는 특권층만의 조약이기는 하지만, 신하가 왕권을 제약할 수 있다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대헌장에 대해 정리해 본다. 영국 민주주의의 시작, 마그나 카르타 (Magna Carta, 대헌장) 뜻과 의미 1.개요마그나 카르타(라틴어: Magna Carta, Magna Carta Libertatum, 영어: the Great Charter of Freedoms, 대헌장(大憲章))은 1215년 6월 15일에 영국의 존 왕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하여 서명한 문서로,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

역사/세계사 2016.02.12

조선 초기 탐관오리 조말생(趙末生)과 조선 최대의 뇌물 수수사건 김도련 노비소송사건 전말

SBS드라마 육룡의 나르샤에 조말생이 등장했다. 태종 때 문과에 장원 급제 태종의 각별한 총애를 받았으며 세종 때까지 활동한 문신으로 조선초기의 대표적인 탐관오리면서도 천수를 누린 인물이다. 개인적으로 무척 싫어하는 인물인데, 조말생이 어떤 인간이었는지 그리고 과연 세종은 왜 이런 인물을 썼는지 정리해 본다. (참고: 이상각의 평가, 조선왕조실록, 세종대왕 전기 등)시대를 잘 만난 조선 초기 탐관오리 조말생(趙末生)의 조선 최대의 뇌물 수수사건 김도련 노비소송사건 전말과 의문 '세종은 과연 성군이었을까?' 1.가계 및 출생조말생(趙末生, 1370년 ~ 1447년) 고려 공민왕 19년(1370년) 출생, 자(字)는 근초(謹初)·평중(平仲), 아호(雅號)는 사곡(社谷)·화산(華山). 본관은 양주(楊州). 아..

역사/인물 2016.02.02

조선 최단명 7일 중종의 왕비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생애

조선의 왕비들 중 가장 짧은 7일간의 재위 후 역적의 딸이라는 이유로 연좌되어 폐출된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에 대해 정리해 본다.조선 역사상 최단명 7일만에 왕비에서 폐비된 중종의 왕비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는 결국에는 중종에게 버림을 받은 것이다. 1. 가계와 출생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1557년 12월 27일(음력 12월 7일))는 조선 중종(中宗)의 정비로 시호는 공소순열단경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이다.좌의정 증 영의정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左議政 贈 領議政 益昌府院君 信度公 愼守勤, 1450~1506)과 정경부인 청원부부인 청주 한씨(貞敬夫人 贈 淸原府夫人 淸州 韓氏)의 딸로,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증조부는 황해도감사 증 영의정 거창부원군 양간공 신전(黃海道監..

역사/인물 2016.02.01

조선 최초의 왕대비 정종 왕비 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金氏) 생애

조선 시대 2대 임금이며 동생 태종(정안군)에게 양위를 하고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의 왕비 정안왕후김씨는 조선 최초의 왕대비였다. 그럼에도 역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은 정종의 치세가 짧기도 하지만, 어떤 논란도 일으킨 적이 없는 욕심 없던 성품때문이었다. 정안왕후에 대해 정리해 본다.조선 최초의 왕대비 정종 왕비 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金氏) 생애 1.개요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金氏, 1355년 1월 22일/음력 1월 9일~ 1412년 8월 2일/음력 6월 25일)는 조선 정종의 왕비로 별호는 덕비(德妃) 시호는 온명장의정안왕후(溫明莊懿定安王后)이다. 월성부원군 김천서(月城府院君 金天瑞)의 딸로 본관은 경주이다. 조선 최초의 왕대비로 안정왕후(安定王后)라고도 한다. 2.생애고려 공민왕 4년 1355년 1..

역사/인물 2016.02.01

박정희가 만든 국민노비문서 국민교육헌장 전문 분석(國民敎育憲章)

최근 그네공주의 간신들이 서서히 마각을 드러내고 있다. 애국가4절에 공무원 임명을 하는데 민주성 대신 애국심을 평가한다. 여기서 애국심은 당연히 권력자에 대한 충성이다. 간신 황교안 국무총리는 어찌 보면 박정희 유신 시대 세뇌를 당한 대표적인 로봇형 인간이 아닐지. 과거 박정희 시절 발표되어 당시 청소년기를 보냈던 우리 세대들이 무조건 외워야 했던 국민교육헌장을 기억하는가. 총 393자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군부독재의 유산으로 아직도 이 전문내용 대부분을 기억하는 내 자신이 놀랍고 한편으로는 두렵다. 국민교육헌장에 대해 정리해 본다.일본천황을 동경했던 박정희가 만든 국민노비문서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1. 국민교육헌장 전문 내용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조상의 빛난 얼을 ..

절대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 고려 간신 이인임(李仁任) 평가

재작년 KBS드라마 사극 정도전에 이인임을 너무 멋지게 표현해낸 것이 내심 불쾌했었다. 이인임은 분명 시대의 간신으로 지탄을 받아 마땅한 인물이었다. 이인임에 대해 정리해 본다.절대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 고려 간신 이인임(李仁任) 평가 1.가계와 출생이인임(李仁任, ? ~ 1388년) 본관 성주(星州) 호(號)는 승암(勝巖) 시호(諡號)는 문숙(文肅)·황무(荒繆).고려 경상도 성주군 고령현 성산면(지금의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에서 대제학 이조년의 손자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성산군 이조년(李兆年)이고, 아버지는 성산후 이포(李褒)로 이포의 아들은 장남 이인복(李仁復), 차남 이인임(李仁任), 이인미(李仁美), 이인립(李仁立), 이인달(李仁達), 이인민(李仁敏) 등이다. 고려 멸망 후 은거한 도은 이숭..

역사/인물 2016.01.27

중국 최악의 매국노 악비를 죽인 간신 남송 진회(秦檜) 설명

진회(秦檜, 1090년 ~ 1155년)는 금나라와 화평을 진행하고 강화를 주창하고 이 과정에서 주전파 악비를 죽여 중국인들에게는 최악의 매국노로 기록되어 있다. 중국 최악의 간신 진회에 대해 정리해 본다, 중국 역사상 최악의 매국노 악비를 죽인 간신 남송 진회(秦檜) 설명 진회는 1090년 현재의 난징인 강녕(江寧) 출신으로 자는 회지(會之)다. 1115년 과거 시험에 합격 순조롭게 출세를 한다. 1127년에 금나라가 송나라를 멸망시키고 휘종, 흠종 황제를 끌고가는 정강의 변이 발생한다. 정강의 변으로 화북지역을 점령한 금나라는 이후 꼭두각시 국가인 초나라를 세우고 북송은 멸망한다.(이후 남송 시대) 이때 진회와 많은 신하들이 포로 신분으로 같이 끌려가게 되는데, 진회가 처세가 뛰어난 간신이었다는 것은 ..

역사/인물 2016.01.26

박정희 유신으로 이어진 1·21 사태 (김신조 사건) 설명

1·21 사태(1.21.事態)는 김일성의 명령으로 1968년 1월 21일 박정희를 암살하기 위해 남파된 북한 공작원(공비) 31명이 청와대를 기습한 사건으로 유일하게 생포되었던 김신조의 이름을 따 김신조 사건이라고도 한다. 이 사건에 대해 설명해 본다.1968년 청와대 기습사건 1·21 사태 (김신조 사건) 박정희 유신으로 이어지다.*주로 김신조의 진실에 의해 정리가 되었음을 알린다. 1.사건 개요1968년 1월 13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보위성 정찰국의 124부대 소속 31명이 조선인민군 정찰국장 ‘김정태로’부터 청와대 습격과 요인 암살 지령을 받았다. 당시 국군의 복장과 수류탄 및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1월 17일 자정을 기해 휴전선 군사분계선을 넘어 야간을 이용 남한 수도권에 잠입하는..

쯔위 대만국기 논란 이유 대만은 공식 국가가 아니다. [대만국기 청천백일기 제대로 알기]

최근 쯔위 사태로 불거진 대만 국기 논란에서 정작 청천백일기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이야기가 없었는데, 바로 어제 JTBC뉴스룸 팩트체크에서 제대로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여기에 보태 대만국기 청천백일기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대만은 공식 국가가 아니다. [대만국기 청천백일기(청천백일만지홍기:靑天白日滿地紅旗) 문제가 되는 이유 자세히 알아 본다.] 1.개요청천백일만지홍기(靑天白日滿地紅旗)의 초안은 쑨원(손문)이 만들고 1928년 중국 국민당의 장제스가 난징에 국민정부를 세웠을 때 당기겸 국기로 쓴 것이 공식적인 시작이다. 청천백일기는 삼민주의 사상을 청색, 적색, 백색의 세가지 색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청색은 청명, 순수, 자유를, 적색은 희생, 유혈, 형제애, 한족을 중심으로 하는 다민족국가인 중국을 ..

역사/세계사 2016.01.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