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한무성세(漢武盛世)의 시대

무제가 즉위할 무렵 한나라는 이미 개국한 지 70년이 지났다. 천하는 이미 태평해졌고 식량과 물자도 풍족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숙제들이 남아 있었다. 안으로는 각 지방 제후들의 저항을 누르고 중앙집권을 강화해 황실의 안녕을 보장하는 문제가 있었고, 밖으로는 국경을 위협하는 흉노의 문제를 해결하고 잃어버린 진(秦)나라 때의 옛 영토를 회복하는 일이었다. 두태후의 죽음으로 황제로서의 진정한 권력을 행사하게 된 무제는 본격적인 성과를 거두며 전한 시대의 전성기를 열게 된다. 우선 할머니 두태후가 죽자 오경박사(五經博士)를 설치하고 최초의 유교식 학교인 명당(明堂)과 태학(太學)을 건립하는 등 자신의 뜻을 거침없이 실행에 옮기고 두태후의 일족을 숙청해버렸다. 전대의 권신들과 외척들을 숙청, 면직시키..

역사/중국 2015.12.25

개혁을 막은 두태후의 도가(道家)와 무제의 유가(儒家) 사상의 대립

기원전 140년 경제가 죽고 16세의 유철이 뒤를 이어 제위(帝位)를 이었다. 어릴 때부터 남다른 능력과 웅대한 포부를 품었던 무제는 즉위 초부터 과감한 개혁을 시도 하지만 초기에는 일부 좌절도 겪어야 했다. 바로 태황태후(太皇太后) 두(竇)씨 두태후 때문이었다. 두 태후는 본시 출신이 미미했다. 원래 유방의 아내 여(呂) 태후의 시녀로 있었는데 태후가 자신의 시녀들을 제후 왕들에게 하사하면서 변방인 ‘대(代)’로 떠나야 했다. 그녀는 조(趙)나라 출신이라 조왕(趙王)의 궁궐에 가고 싶어 담당 관리에게 사전에 부탁까지 해놓았지만 힘없는 설움을 겪으며 멀고 후미진 대 나라로 떠나야 했다. 다행히 대왕(代王)으로 있던 유항(훗날의 문제)의 총애를 받아 1남 1녀를 낳았고 문제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인 경제가 ..

역사/중국 2015.12.25

적장자가 아닌 유철(한무제)이 황제가 되었던 이유

유철(劉徹)은 기원전 156년에 태어났는데 바로 그 해에 부친 한 경제(景帝)가 제위에 올랐다. 그가 출생하기 전 경제는 꿈에 한 마리 붉은 돼지가 구름 속에서 내려와 곧장 궁궐 내 숭방각(崇芳閣)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고 전한다. 깜짝 놀라 잠에서 깨어난 경제가 점괘에 능한 요옹(姚翁)을 불러 이 일에 대해 묻자 요옹은 “이것은 아주 상서롭고 유리한 징조입니다. 숭방각에서 장차 나라의 운명을 주재할 사람이 태어날 것입니다. 그는 북방의 오랑캐들을 평정하고 국운을 융성하게 하여 유 씨 왕조가 가장 흥성한 시기의 영명한 군주가 될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고한다. 경제에게는 부인으로 박황후가 있었는데 어찌된 것인지 적자를 낳지 못했다. 이에 두태후는 넌지시 경제의 동생인 양왕 유무를 다음 황제로 정할것을 ..

역사/중국 2015.12.25

서한(전한)의 전성시대를 연 한무제 유철(漢武帝 劉徹) 개요

중국 역대 황제들 중 재위 기간을 따져 보면 청나라 건륭제(乾隆帝 1736-1795년 재위)와 강희제(康熙帝 1662-1722년 재위)에 이어 한무제가 3번째로 54년간 재위에 있었다. 경제(景帝)가 세상을 떠난 후 아들인 유철(劉徹 기원전 140-87년 재위)이 뒤를 이었다. 한(漢) 왕조에서 한무제(漢武帝) 유철은 고조 유방을 제외하면 가장 유명한 인물이다. 업적만 갖고 논한다면 무제는 역사적으로 필적할 인물이 드물 정도로 무제 시대는 군사, 경제, 사상,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서한(西漢) 왕조의 극성기라 할 수 있다. 흔히 무제는 후대 황제들의 전형을 수립한 인물로 평가된다. 무제 시대는 한(漢) 대의 사상사, 문학사는 말할 것도 없고 사회사, 경제사, 정치사의 영역에서도 획기적인 시대였다. 무제..

역사/중국 2015.12.25

이승만에 의해 공비로 조작된 문경 양민학살 사건 진실

1949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에 자행된 민간인 학살이며 이승만에 의해 공비로 조작된 문경 양민학살 사건에 대해서 살펴 본다. 1.사건 개요문경 양민학살 사건(聞慶良民虐殺事件, Mungyeong Massacre)은 1949년 12월 24일 국군 제2사단 25연대 2대대 7중대 2소대 및 3소대원 70여 명이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석봉리 석달마을을 대상으로 공비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국군이 무차별총격과 불을 지르고 남녀노소 주민들을 살해한 민간인 대량학살 사건을 말한다. 당시 학살로 마을 주민 136명 중 어린이 9명과 여성 44명을 포함해 모두 86명이 목숨을 잃었다. 2.드러난 진실참여정부 들어 발족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의 과거사 청산에 의해 국가의 불법행위임이 명백..

전한 시대 오초칠국의 난(呉楚七国之乱) 과정과 영향 설명

기원전 154년 전한의 제후국 오나라의 왕 유비가 주축이 되어 조(趙)·교서(膠西)·초(楚)·교동(膠東)·치천(菑川)·제남(濟南) 여섯 나라와 함께 전한 중앙 정부에 일으킨 오초칠국의 난(呉楚七国之乱)에 대해 설명해 본다. 전한 시대 오초칠국의 난(呉楚七国之乱) 과정과 영향 설명 1.개요기원전 154년 경제 시대 제후왕의 죄를 빌미로 오나라에도 봉토를 삭감하려 하자, 자신에게 화가 미칠 것을 두려워한 오왕(吳王) 유비(劉濞)가 조(趙)·교서(膠西)·초(楚)·교동(膠東)·치천(菑川)·제남(濟南) 등 여섯 나라와 함께황제 측근의 간신인 조조를 친다는 구실로 반란을 일으킨다. 이 제후왕의 반란은 주아부(周亞夫)가 거느린 정부군에 의해 진압된다. 2.오나라 왕 유비와 경제의 사적감정경제가 황태자 시절 오왕 비 ..

역사/중국 2015.12.23

문경지치의 완성 전한 경제 시대

5대 황제 문제의 뒤를 이어 황제에 오른 경제 역시 훌륭한 임금이었다. 이 두 황제의 시기를 문경지치라고 부른다. 한 무제이 아버지이기도 한 경제에 대해 정리해 본다.문경지치의 완성 전한 경제 시대 1.개요 한 효경황제 유계(漢 孝景皇帝 劉啓,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41년)는 전한의 제6대 황제로, 문제(文帝)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효문황후(孝文皇后)이다. 외척세가(外戚世家)에 따르면 경제는 문제의 제5황자로 태어났는데, 형 네 사람이 모두 문제가 대나라 왕으로 있을 때에 일찍 사망하고 기원전 179년 아버지가 황제에 올라 생모 두씨가 무제의 정실로 승격되면서 문제의 적자(嫡子)가 되었다. 아버지 문제와 더불어 선정을 배풀어 「문경지치(文景之治)」라 불리는 성세를 닦았다. 한무제의 아버지이며 훗날 ..

역사/중국 2015.12.23

도덕 군주 전한 문제 유항

여태후가 죽자 유씨들이 들고 일어난다. 결국 여씨들은 모두 죽음을 당하고 여태후의 후손은 대가 끊긴다. 여태후의 욕심에 결국은 유방의 다른 부인이었던 박씨의 후손들이 대대로 한나라의 황제가 된다. 여씨 시대를 종식하고 한나라를 안정시킨 도덕 군주이며 문경의 치(文景之治)의 시작이었던 한문제에 대해 정리해 본다.전한시대 증흥기를 이끈 도덕 군주 전한 문제 유항 1.개요한 태종 효문황제 유항(漢 太宗 孝文皇帝 劉恆,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57년 6월)은 전한의 제5대 황제(재위 : 기원전 180년 ~ 기원전 157년)로 한 고조 유방의 4남이며 혜제(惠帝)의 이복동생으로, 어머니는 효문태후 박씨(孝文太后 薄氏)다. 대(代)나라 왕이었으며, 여태후의 죽음과 함께, 형제들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아들..

역사/중국 2015.12.23

여태후의 시대

황제로 즉위한 한고조 유방은 봉건제와 군현제를 조화시킨 군국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느정도 나라가 안정이 되자 공신들을 숙청하기 시작하는데, 유방이 가장 경계했던 상대는 한신이었다. 하지만 결국 소하의 계략으로 한신은 처형당하고 많은 공신들이 제거된다. 그리고 그 자리는 유씨들이 차지한다. 그리고 유방에게 가장 큰 위기는 바로 흉노와의 전투였는데, 기원전 200년, 흉노의 묵돌 선우(冒頓單于)를 토벌하려다 오히려 백등산(白登山)에서 묵돌 선우에게 포위되고 만다. 백등산 포위전으로 이로 인해 유방과 묵돌 선우는 흉노를 형, 한을 동생으로 하는 형제의 맹약을하고 매년 조공하는 조약을 맺었으며, 이후 한이 흉노를 건드리지 않기로 합의했다. 이후 회남왕 영포를 칠 때 화살에 맞은 상처가 악화된 유방은 기원전 ..

역사/중국 2015.12.23

드레퓌스 사건(L'affaire Dreyfus)이 한국사회에 주는 교훈

1894년 12월 22일 프랑스 육군 소령이며 유대계 프랑스인 알프레드 드레퓌스가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죄목은 반역죄였다. 일명 드레퓌스 사건(프랑스어: L'affaire Dreyfus)으로 이 사건이 프랑스는 물론 세계사에 끼친 영향은 매우 컸다. 특히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 사건이 왜 중요한지 대략적으로 설명해 본다.프랑스를 변화시킨 드레퓌스 사건(L'affaire Dreyfus)이 한국사회에 주는 교훈 1.유죄판결프랑스 육군 포병 대위 유대인 알프레드 드레퓌스(Alfred Dreyfus, 1859년 10월 9일 - 1935년 7월 12일)는 1894년 12월22일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종신형과 군적 박탈식을 선고 받았다. 드레퓌스는 끝까지 자신의 무죄를 외쳤지만 강제로 불명예 전역된 뒤,..

역사/세계사 2015.12.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