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참고 179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이별

늙은코난(OLD CONAN) 추천 문학, 시, 소설 이 별 아아, 사람은 약한 것이다. 여린 것이다. 간사한 것이다. 이 세상에는 진정한 사랑의 이별은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다. 죽음으로 사랑을 바꾸는 님과 님에게야, 무슨 이별이 있으랴. 이별의 눈물은 물거품의 꽃이요, 도금한 금방울이다. 칼로 베인 이별의 키스가 어디 있느냐. 생명의 꽃으로 빚은 이별의 두견주가 어디 있느냐. 피의 홍보석으로 만든 이별의 기념반지가 어디 있느냐. 이별의 눈물은 저주의 마니주요, 거짓의 수정이다. 사랑의 이별은 이별의 반면에 반드시 이별하는 사랑보다 더 큰 사랑이 있는 것이다. 혹은 직접의 사랑은 아닐지라도 간접의 사랑이라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별하는 애인보다 자기를 더 사랑하는 것이다, 만일 애인을 자기의 생명..

배움/시 2010.07.03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님의 침묵, 생의 예술

늙은코난(OLD CONAN) 추천 문학, 시, 소설 님의 침묵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엣 맹세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에 날아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운명의 지침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 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으로 만들고 마는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배움/시 2010.07.03

시) 만해 한용운 - 복종, 알 수 없어요, 나룻배와 행인

늙은코난(OLD CONAN) 추천 문학, 시, 소설 복종 남들은 자유를 사랑한다지마는, 나는 복종을 좋아하여요. 자유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당신에게는 복종만 하고 싶어요. 복종하고 싶은데 복종하는 것은 아름다운 자유보다 더 달콤합니다. 그러나 당신이 나더러 다른 사람을 복종하라면, 그것만은 복종할 수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복종하려면 당신에게 복종할 수가 없는 까닭입니다. 알 수 없어요 바람도 없는 공중에서 수직의 파문을 내이며,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은 누구의 발자취입니까. 지리한 장마 끝에 서풍이 몰려가는 무서운 검은 구름의 터진 틈으로,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꽃도 없는 깊은 나무에 푸른 이끼를 거쳐서, 옛 탑 위의 고요한 하늘을 스치는 알 수 없는 향기는 누구의 입..

배움/시 2010.07.03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인사말, 나의 길

늙은코난(OLD CONAN) 추천 문학, 시, 소설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인사말, 나의 길 독자에게 (한용운의 인사말) 독자여, 나는 시인으로 여러분의 앞에 보이는 것을 부끄러워합니다. 여러분이 나의 시를 앍을 때에, 나는 슬퍼하고 스스로 슬퍼할 줄 압니다. 나는 나의 시를 독자의 자손에게까지 읽히고 싶은 마음은 없습니다. 그 때에는 나의 시를 읽는 것이 늦은 봄의 꽃 수풀에 앉아서, 마른 국화를 비벼서 코에 대는 것과 같을는지 모르겠습니다. 밤은 얼마나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설악산의 무거운 그림자는 엷어 갑니다. 새벽종을 기다리면서 봇을 던집니다. - 乙丑 8월 29일 밤 - 나의 길 이 세상에는 길이 많기도 합니다. 산에는 들길이 있습니다. 바다에는 뱃길이 있습니다. 공중에는 달과 별의 길..

배움/시 2010.07.03

한방) 침술 설명, 역사

늙은코난의 유익한 정보 * 침술, 그 오묘한 신비 "침을 맞으면 과연 제 병을 고칠 수 있을까요?" 간혹 환자에게 침술 치료를 해야 한다고 하면, 이렇게 반문부터 하는 사람들이 있 다. 그러다가 침술치료를 통해 병이 씻은 듯이 나으면, "거참 신기하군요. 보기에는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은 바늘이 고질병을 감쪽같이 낫 게 하다니..." 하며 연신 혀를 내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침의 효능은 직접 체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까짓 바늘이 무슨 효능이 있을까 하는 의구심 때문일 것이다. 또한 침이라 하면 으레 삔 것을 연상하고, 삔데에만 효험이 있는 걸로 잘못 알고 있 는 사람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그러나 침술은 비단 삔데만이 아니라 내과, 외과, 산부 인과, 소아과, 이비인후..

배움/자료 2010.07.02

연애)4가지 혈액형에 의한 기본 심리와 인간관계

사람의 혈액형은 A 형, B 형, AB 형, O 형 이렇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근데, 혹시 혈액형별로 심리상태가 다르다고 하는 말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어느정도 일리는 있습니다. 한 번 읽어보시고 본인의 혈액형과 맞는 이야기인지 생각해 보세요. (여러군데서 취합한 내용을 누가 정리해서 유포했더군요, 퍼온 글입니다.) 4가지 혈액형에 의한 기본 심리와 인간관계 혈액형 별로 심리상태를 알아보는 것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일정부분 맞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냥 재미 삼아 보시고 참고하세요. 1) A형 A형의 느낌은 사람에 따라 매우 다르게 느껴진다. 그래서 겉모습으로 A형을 판단하기는 무척 어렵다. 그러나 일단 A형과 친밀해진 후에는 무언가 상당히 공통된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 특징에 대하여 살펴 ..

라이프/유머 2010.07.01

키 크는 방법 –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정보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정보 키 크는 방법 (인터넷의 자료들 정리한 것) 키 크는 방법:우유를 하루에 한잔 꼬박꼬박 마시세요 이게 가장 좋은 방법이죠 또 키가 크는 방법은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말고 잠자리의 들 때는 9~10시 사이에 자도록 해요 9~10시 사이는 성장호르몬이 많이 흐르거든요..그리고 수면은 8시간이상은 자도록 해야 해요 2.키 크는 운동:키 크는 운동은요,,음,,일단 기지개 체조가 좋을듯해요 ①천장을 보고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손등을 안으로 향하게 하고 머리 위로 쭉뻗어주세요 이때 손끝을 보듯이 목을 펴고 발끝을 뻗어 주는거죠 ^^* ②전신의 힘을 자연스럽게 배 주시구요. 다시 ①의 자세로 돌아 가 5회반복하면되요 그다음 은요,,잠자리 체조 ①엎드려서 전신의 힘을 빼고 양팔을 어깨 높이까지..

배움/자료 2010.06.30

삼국사기(三國史記) 원본 – 제 50편 끝

三國史記 卷 第五十 完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開府儀同三司檢校太師守太保門下侍中判尙書事兼吏禮部事賢殿太學士監修國史上柱國致仕臣金富軾奉 宣撰 列傳 第十 (弓裔 甄萱) 弓裔 新羅人 姓金氏 考第四十七憲安王誼靖 母憲安王嬪御 失其姓名 或云 四十八景文王膺廉之子 以五月五日生於外家 其時屋上有素光 若長虹 上屬天 日官奏曰 此兒以重午日生 生而有齒 且光焰異常 恐將來不利於國家 宜勿養之 王勅中使 抵其家殺之 使者取於襁褓中 投之樓下 乳婢竊捧之 誤以手觸 其一目 抱而逃竄 勞養育 年十餘歲 遊戱不止 其婢告之曰 子之生也 見棄於國 予不忍 竊養以至今日 而子之狂如此 必爲人所知 則予與子俱不免 爲之奈何 弓裔泣曰 若然則吾逝矣 無爲母憂 便去世達寺 今之興敎寺是也 祝髮爲僧 自號善宗 及壯不拘檢僧律 軒 有膽氣 嘗赴齋 行次有烏鳥銜物 落所持鉢中 視之 牙籤書王字 則秘而不言..

역사/국사 2010.06.30

삼국사기(三國史記) 원본 – 제 49편

三國史記 卷 第四十九 列傳 第九 (倉助利 蓋蘇文) 倉助利 高句麗人也 烽上王時爲國相 時慕容 爲邊患 王謂 臣曰 慕容氏兵强 屢犯我疆 爲之奈何 倉助利對曰 北部大兄高奴子賢且勇 大王若欲禦寇安民 非高奴7子無可用者 王以爲新城太守 慕容 不復來 九年秋八月 王發國內丁男年十五已上 修理宮室 民乏於食 困於役 因之以流亡 倉助利諫曰 天災 至 年穀不登 黎民失所 壯者流離四方 老幼轉乎溝壑 此誠畏天憂民 恐懼修省之時也 大王曾是不思 驅飢餓之人 困木石之役 甚乖爲民父母之意 而況比 有强梗之敵 若乘吾弊以來 其如社稷生民何 願大王熟計之 王 曰 君者百姓之所瞻望也 宮室不壯麗 無以示威重 今相國蓋欲謗寡人 以干百姓之譽也 助利曰 君不恤民 非仁也 臣不諫君 非忠也 臣旣承乏國相 不敢不言 豈敢干譽乎 王笑曰 國相欲爲百姓死耶 冀無後言〔後 恐作復〕 助利知王之不悛 退與 臣謀廢之..

역사/국사 2010.06.30

삼국사기(三國史記) 원본 – 제 48편

三國史記 卷 第四十八 列傳 第八 (向德 聖覺 實兮 勿稽子 百結先生 劍君 金生 率居 孝女知恩 薛氏 都彌) 向德 態川州板積鄕人也 父名善 字潘吉 天資溫良 鄕里推其行 母則矢其名 向德亦以孝順爲時所稱 天寶十四年乙未 年荒民饑 加之以疫 父母飢且病 母又發옹 皆濱於死 向德日夜不解衣 盡誠安慰 而無以爲養 乃 肉以食之 又 母옹 皆致之平安 鄕司報之州 州報於王 王下敎 賜租三百斛 宅一區 口分田若干 命有司 立石紀事 以標之 至今人號其地云孝家 聖覺 菁州人 史矢其氏族 不樂世間名官 自號爲居士 依止一利縣法定寺 後歸家養母 以老病難於蔬食 割股肉以食之 及死 至誠爲佛事資薦 大臣角干敬信-伊 周元等 聞之國王 以熊川州向德故事 賞近縣租三百石 論曰 宋祁唐書云 善乎韓愈之論也 曰父母疾烹藥餌 以是爲孝 未聞毁支體者也 苟不傷義 則聖賢先衆而爲之 是不幸因而且死 則毁傷滅絶..

역사/국사 2010.06.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