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정지용의 생애
정지용 연보
1902(1세)
음력 5월 15일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면 하계리에서 아버지 연일정씨 정태국과 하동정씨 정미하사이에 독자로 태어남. 지용의 아명은 못에서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태몽을 꾸었다하여 지용이란 같은 발음의 한자에 맞춘 것임.
1913(12세)
동갑인 은진송씨인 송재숙과 결혼.
1918(17세)
휘문고보에 입학, 이때부터 습작활동을 시작함.
1919(18세)
12월 <서광> 창간호에 소설 (삼인)이 발표됨 지용의 유일한 소설.
<요람> 동인지를 김화산, 발팔양, 박소경 등과 함께 주도하였음.
1922(21세)
휘문고보를 졸업. 이때까지 계속 아버지 친구인 유복영의 집에서 생활함.
1924(23세)
휘문고보의 교비생으로 일본으로 유학하여경도에 있는 동지사대학영문과에 입학.
1926(25세)
공적인 문단활동이 시작됨. <학조>창간호에 (카페, 프란스)를 비롯하여 동시및 시조를 발표함. 1929년 동지사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일본 문예지 <근대풍경>에 일본어로 된 시들도 많이투고하여 일본의 대표적인 시인 북원백추의 관심을 받게 됨. 이 시기의주요 작품으로 (기차), (해협), (다시 해협), (슬픈 인상화), (풍랑몽), (옛 이야기구절), (호면), (새빨간 기관차), (뻣 나무열매), (오월 소식), (발열), (말), (내 마음에 맞는 이), (무어래요), (숨ㅅ기내기),(비둘기) 등이 있음.
1928(27세)
장남 구관이 태어남(음력 2월 1일).
1929(28세)
동지사대학교을 졸업. 휘문고보의 영어 교사로 이후 16년 간을 재직함. 시(유리창)을 씀.
1930(29세)
<시문학>동인으로 참가, 1930년대 사단의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됨. 주요 작품으로는(이름 봄 아침), (Dahlia), (경도 가모가와), (선취), (바다), (피리), (저녁 got살), (갑판 우), (홍춘), (호수 1, 2)등이 있음.
1933(32세)
<카톨릭 천년>의 편집고문을 맡음. <구인회> 문학친목단체를 결성 (해협의 오전 3시), 산문 (소곡) 등을 발표.
1934(33세)
장녀 구원이 태어남.
1935(34세)
제 1시집 <정지용 시집>을 시문학사에서 출간.
1937(36세)
음력 3우러, 북아 현동 자택에서 부친돌아가심.
1939(38세)
<문장>지 추천위원이 되어 조지훈, 박두진,박목월, 김종한, 이한직, 박남수 등을 등단시킴.
1941(40세)
제 2시집 <백록담>을 문장사에서출간.
1945(44세)
이화여자전문학교(현 이화여자대학교)로 직장을 옮김. 담당과목은 한국어와 나전어.
1946(45세)
경향신문의 주간이 됨. <지용시선>이 을유문화사에 출간.
1947(46세)
경향신문사의 주간직을 사임하고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로 복직함. 서울대 문리과대학강사로 출강하여 <시경>을 강의함.
1948(47세)
2월 이화여자대학교를 사임하고 녹번리 초당에서 서예를 하면서 소일함.
1949(48세)
<문학독본>이 박문출판사에서,<산문>이 동지사에서 출간됨.
1950(49세)
1,25동란이 일어나자 정치보위부에 구금되어 서대문 형무서에 정인택, 김기림, 박영희등과 같이 수용되었다가 평양 감옥으로 이감, 이광수, 계광순 등 33인이 같이 수감되었다가 그 후 폭사당한 것으로 추정(부인송재숙씨는 70세 일기로 1971년 4월 15일별세).
'배움 >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잠 없는 꿈, 착인 (0) | 2010.07.08 |
---|---|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포도주, 진 주, 자유정조(自由貞操) (0) | 2010.07.08 |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길이 막혀, 달을 보며, 후 회 (0) | 2010.07.08 |
시) 정지용 作 - 해바라기씨, 지는 해, 띠, 산너머 저쪽, 홍시 (0) | 2010.07.07 |
평가) 시인 정지용에 대한 평가 – 문혜원 평론가의 평 (0) | 2010.07.06 |
시) 변영로 - 논개 (0) | 2010.07.06 |
시)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봄길 (0) | 2010.07.06 |
시) 이병기 - 난초, 아차산, 오동꽃 (0) | 2010.07.06 |
시)서정윤 시집 홀로서기 中 눈 오는 날엔 (0) | 2010.07.06 |
시) 만해 한용운(韓龍雲) – 님의 얼굴, 최초의 님, 님의 손길 (0) | 2010.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