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징비록의 저자 문충공 류성룡(유성룡) 생애와 평가

이황의 문하에서 조목(趙穆)·김성일과 동문 수학하였으며 성리학에 정통하였다. 과거를 통해 관료로 등용되어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를 계기로 강경파인 이산해, 정인홍 등과 결별하고 남인을 형성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직전 군관인 이순신을 천거하여 임진왜란 당시 열세였던 조선의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공을 세웠고, 죽을 때까지 청렴하고 정직한 삶을 살아 ‘조선의 5대 명재상(名宰相)’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순신과는 어려서부터 같은 동네에서 함께 자라 절친한 사이로서 후견인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 때 겪은 후회와 교훈을 후세에 남기기 위해 《징비록》을 저술하였다. 징비록의 저자 문충공 류성룡(유성룡 文忠公 柳成龍) 생애와 평가1. 출생과 가계류성룡(柳成龍, 15..

역사/인물 2015.03.12

조선의 명재상 황희(黃喜) 정승 생애와 평가

[들어가기전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 정승 요약]고려 개경(경기도 개성) 출신으로 초명은 수로(壽老), 자(字)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 시호는 익성(翼成)이다. 본관은 장수(長水).1389년(창왕 1년) 별장으로 과거에 급제했으나, 1392년(공양왕 3년) 고려 멸망 후 은거하였다. 그러나 동료들과 이성계의 부름으로 조선에 다시 관직에 올라 성균관학관으로 출사해 형조판서, 사헌부대사헌, 이조판서 등을 거쳐 영의정부사에 이르렀다. 사후 1455년(세조 1년) 증 순충보조공신(純忠補祚功臣)에 책록되고,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에 추봉되었다.성격이 원만하여 존경 받았으며, 시문에도 뛰어났고 관료생활 중 많은 치적과 일화를..

역사/인물 2015.03.12

고려 왕규의 난, 왕식렴과 정종(왕요)의 음모가 아닐까

승자의 왜곡된 역사의 기록. 고려 왕규의 난, 왕식렴과 정종(왕요)의 음모가 아닐까 -우선 역사에 기록된 내용을 정리해 본다. 1.왕규의 음모왕규는 고려 초기 광주(廣州)의 대호족으로, 양근 함씨였으나 개국공신으로 왕씨 성을 하사 받게 된다. 고려 태조 당시 벼슬이 대광(大匡)에 이르렀다. 태조는 왕규의 두 딸을 맞아들여 제15비(妃)와 제16비를 삼았다. 제16비가 아들을 낳았는데 광주원군(廣州院君)이었다. 서기 945년 혜종 2년 왕규는 2대 임금 혜종(惠宗)에게 동생 요(窯)와 소(昭)가 딴 마음을 품고 있다 무고한다. 혜종은 거짓말임을 알고 더욱 동생들을 사랑하였다고 전한다.점복(占卜)에 밝은 최지몽(崔知夢)이 하늘의 별을 보고 나라에 역적이 일어나겠다 하니 임금은 왕규가 자기 동생들을 해치려는 ..

역사/국사 2015.03.12

중국 최초의 황제 진시황제(秦始皇帝) 시대

진 시황제(중국어: 秦始皇帝, 병음: Qín Shǐ Huáng Dì, 기원전 259년 1월 ~ 기원전 210년 음력 7월 22일) 진나라의 제31대 왕, 중국 최초의 황제. 성은 영(嬴), 이름은 정(政) 영정이이다. 조(趙)라고도 하여 조정(趙政), 혹은 여불위의 아들이라는 설대로 여정(呂政)이라고도 한다. 공식적으로는 진 장양왕 영자초의 아들. 기원전 246년부터 기원전 210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기원전 246년부터 기원전 241년까지 여불위(呂不韋)가 섭정을 하였고 기원전 241년부터 기원전 210년 붕어할 때까지 친정을 하였다. 불로불사에 대한 열망이 컸으며, 대규모의 문화탄압사건인 분서갱유사건을 일으켜 수 양제와 더불어 중국 역사상 최대의 폭군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도량형을 통일하였고 전..

역사/중국 2015.03.10

중국 첫 통일제국 진나라 요약

통일 진나라(秦,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6년)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통일 국가이다. 전국 시대 때 상앙의 개혁에 의해 강성해졌고 기원전 3세기 중후반에 진나라는 국력이 약했던 주나라를 시작으로 전국 칠웅을 모두 멸망시키고 통일을 이룩했다.진나라의 지배기간동안, 진은 무역을 증가시켰고, 농업을 발전시켰으며 치안을 강화했다. 이는 토지 지주제를 폐지했기 때문인데, 이로써 중앙정부가 국민들을 직접 통치할 수 있었다. 이는 만리장성과 같은 대형 공사들을 할 수 있게 된 토대가 되었다. 진제국은 또한 화폐, 도량형 통일 등의 많은 개혁을 했다. 군사력 역시 발전하여, 전술이나 무기, 운송체계 등이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예전 나라들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분서갱유와 같은 일도 벌였다.진기원전 210년, 진..

역사/중국 2015.03.10

전국 칠웅(戰國七雄) 국가 설명

전국 칠웅(중국어 정체: 戰國七雄, 간체: 战国七雄)은 전국시대부터 진나라의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할 때까지 멸망하지 않고 살아남은 일곱 나라를 지칭한다. 전국시대에는 그 외에도 여러 나라들이 있었으나, 이들 일곱 나라가 가장 강력했고 중국사에서 중요하게 취급된다.전국 칠웅(戰國七雄) 7개 국가 멸망순서로 요약 정리 1. 한나라(韓,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30년) 진(晉)에서 분리된 삼진(三晉) 중 하나. 수도는 초기에는 양책, 후기에는 신정(新鄭)이었다. 다른 명칭으로는 소한(小韓)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영토는 북쪽으로는 지금 중국의 하남성(河南省), 서쪽으로는 지금의 호북성(湖北省)에 이르렀고, 영토의 길이가 구백 리에 달했다고 했다. 갑병 30만을 낼 수 있고, 무기가 뛰어났다. 한나라 왕실의..

역사/중국 2015.03.10

전국 시대(戰國時代) 개요

전국 시대(戰國時代: 기원전 403~221)는 기원전 403년부터 진(秦)이 중국 통일을 달성한 기원전 221년까지의 기간을 가리키며, 전국책(戰國策)에서 유래되었다. 전국시대는 기원전 403년 진(晉)나라의 대부 조(趙), 위(魏), 한(韓) 3가문이 주(周)나라 왕실로부터 정식 제후로 공인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조(趙), 위(魏), 한(韓) 3국이 후(侯)라고 칭해졌다는 것은 단순히 하극상을 의미한 것만이 아니라 주왕이 이를 인정하고 스스로 종법제(宗法制)를 번복해 주왕실의 권위가 무너졌기 때문이다. 이후 강력한 제후들은 스스로 왕(王)을 칭하게 되고 전국시대 이전까지 중원에서 나름대로의 사회적 질서와 정치적 균형을 유지시켜오던 봉건제도가 무너지게 된다. 얼마 후 제(齊)나라도 기존의 강씨(姜氏)를 대..

역사/중국 2015.03.09

오와월의 대결: 오왕 합려(闔閭), 오왕 부차(夫差), 월왕 구천(句踐)

초장왕 (楚莊王)이 죽은후 절대강자가 없는 소강상태가 되는데, 초(楚)와 진(晉)이 남북으로 대치하고 제(齊)와 진(秦)이 동서도 견제하는 4강시대가 된다. 이시기에 남쪽에서 오(吳)와 월(越)이 본격적으로 등장을 하게되는데, 주요한 인물은 춘추오패에서 4번째 패자가 되는 오왕 합려와, 마지막 패자 월왕구천, 그리고 오왕합려의 둘째 아들로 춘추오패에 넣기도 하는 오왕 부차가 이 시기에 등장한다.오와 월의 등장과 대결, 춘추시대 마지막 패자들: 오왕 합려(闔閭), 오왕 부차(夫差), 월왕 구천(句踐) 1.오와 월 개요오, 월 스스로는 황제 후손을 주장하였다. 현재는 오는 주나라 희성, 월은 하나라 사성으로 정의 된다. 사마천은 사서에서 월나라 국성은 사(姒)씨로서 하왕조에서 나왔다고 한다. 오(吳)나라는 ..

역사/중국 2015.03.09

불비불명 춘추오패 세 번째 패자 초장왕

초 장왕(楚 莊王, ? ~ 기원전 591년, 재위 : 기원전 614년 ~ 기원전 591년)은 초나라의 제 23대 왕이며,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이다. 성(姓)은 미(羋). 씨(氏)는 웅(熊). 휘(諱)는 려(侶)이다. 초나라의 역대 군주 중에서도 최고의 명군으로 여겨져며 춘추 오패의 한 명으로 꼽힌다. 성왕(成王) 원(員)의 손자로, 폭군이었던 목왕(穆王) 상신(商臣)의 적자. 공왕(共王) 심(審)의 아버지이다.불비불명(不飛不鳴) 춘추오패 세 번째 패자 초장왕 (楚莊王) 초장왕은 아버지 목왕이 사망후 왕위에 오른 직후, 공자(公子) 섭(燮)이 모반을 일으켰다. 일단은 수도와 왕실을 완전하게 지배하여 스스로 왕을 자칭했지만 반대 세력의 확대로 신변의 위험을 느껴 왕인 장왕을 가두고, 북방으로 도망쳤..

역사/중국 2015.03.09

춘추오패 두 번째 패자 진 문공(晉文公)

진 문공(晉文公, 기원전 697년 ~ 기원전 628년, 재위 : 기원전 636년 ~ 기원전 628년) 진나라의 제24대 공작. 성은 희(姬), 휘는 중이(重耳), 시호는 문공(文公). 진 헌공의 아들. 헌공의 뒤를 잇지 못한 채 진나라를 떠나 19년간 전국을 유랑하였다. 유랑하는 동안 그의 인덕과 능력이 눈에 띄어 많은 명성을 얻었으며, 결국 타국의 도움을 받아 진나라에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636년 자리에 올라 죽을 때까지 집권하였으며, 각종 개혁정책과 군사활동으로 인해 춘추오패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재위 9년만에 이룩한 춘추오패 두 번째 패자 진 문공(晉文公) 중이의 가계는 원래는 진나라(晉) 방계 왕족이였지만, 무공(武公) 때 직계 왕족을 멸하고 스스로 진나라 공이 되었다. 중이는 무공의..

역사/중국 2015.03.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