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제2차 소련-핀란드 전쟁, 계속 전쟁 (Continuation War)

1939년 11월 30일부터 1940년 3월까지 4개월여걸쳐 일어났던 제1차 소련-핀란드 전쟁 즉 겨울전쟁(Winter War)이 종전되면서 모스크바 평화조약을 통해 핀란드는 소련에게 많은 것을 내어 준다. 핀란드인들은 소련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하고 소련에게 반드시 설욕하려 마음을 먹고 있었다. 그리고, 1년후 핀란드는 소련과 2번째 전쟁을 벌인다. 이를 계속전쟁이라 부른다.제2차세계대전 제2차 소련-핀란드 전쟁, 계속 전쟁 (Continuation War: 1941년 6월 25일 ~ 1944 9월 19일) 1.명칭핀란드에서는 1940년에 종전한 겨울 전쟁(제1차 소련-핀란드 전쟁)에 이어 1년 만에 양국이 다시 전쟁에 들어갔다고 하여 계속 전쟁이라고 한다. 소련 입장에서는 대조국 전쟁(제2차 세계 대..

역사/세계대전 2015.09.16

히틀러가 소련을 얕보게 만든 제1차 소련-핀란드 전쟁 겨울전쟁 (Winter War:1939~1940)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중이던 해 1939년 11월 30일 소련은 핀란드를 침공한다. 이를 제1차 소련-핀란드 전쟁 혹은 겨울 전쟁(핀란드어: talvisota, 러시아어: Советско-финская война, 스웨덴어: vinterkriget)이라고 부른다. 세계대전이 아직 전면적으로 시작하지 않은 상황에서 겨울 전쟁은 당시 진행되던 유일한 전쟁이었다.스탈린은 1939년 말까지 핀란드 정복을 낙관했고 핀란드는 1940년 3월까지 버티다 휴전 협정을 맺고, 소비에트 연방에 카리알라 동부 지역(핀란드 영토의 10%, 산업능력의 20%에 해당)를 넘겨주고 소비에트 연방은 이 땅과 카리알라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을 합쳐 카리알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세웠다. 이 협정으로 핀란드는 이웃 발..

역사/세계대전 2015.09.13

제2차 세계대전, 가짜 전쟁(Phoney War) 발발 이유

독일이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다. 문제는 독일이 폴란드를 점령했음에도 서방 연합국은 나치 독일을 상대로 적극적인 자세로 전쟁을 벌이지 않았고 큰 전투도 일어나지 않았다. 이를 가짜전쟁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 본다. 제2차 세계대전, 가짜 전쟁(Phoney War) 발발 이유 1.개요독일이 폴란드 침공을 하고 영국과 프랑스가 선전포고한 1939년 9월부터 프랑스 공방전이 시작된 1940년 5월까지 영합국 측과 독일 측은 서로 선전 포고를 했지만 폴란드에 대한 어떤 지원도, 독일에 대한 아무런 공세도 취해지지 않았다. 영국-폴란드 군사동맹과 프랑스-폴란드 군사동맹 조약에는 자동 참전 조항이 있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을 상대로 싸울 생각을 하지 않았다. 겉으로는 싸울 듯이 떠들..

역사/세계대전 2015.09.07

제2차 세계대전 발발 독일 폴란드 침공(Invasion of Poland)

강철조약과 독소불가침조약 체결이후 히틀러는 폴란드 침공을 명령한다.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 폴란드를 즉각 지원할 것이라고 경고를 하지만 히틀러는 무시한다. 당시 히틀러가 폴란드를 점령하려는 야심은 그저 허황된 것이 아니었다. 확신이 있던 결정이었고, 히틀러는 과감하게 폴란드를 침공한다.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독일 폴란드 침공(Invasion of Poland) 1.폴란드 침공 개요폴란드 침공(Invasion of Poland)은 9월 전역, 1939년 방어전, 폴란드의 4차 분할, 폴란드에서 (폴란드어: Kampania wrześniowa 또는 Wojna obronna 1939 roku, IV rozbiór Polski), 나치 독일에서는 (독일어: P..

역사/세계대전 2015.08.24

독일과 이탈리아의 동맹 강철 조약(鋼鐵條約, Pact of Steel)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기전에 독소 불가침 조약 (몰로토프-리벤트롭 조약 Molotov–Ribbentrop Pact)을 체결했는데 그 전에 독일과 이탈리아 양국이 조약을 맺는데, 이를 강철조약이라 한다. 강철조약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본다.독일과 이탈리아의 동맹 강철 조약(鋼鐵條約, Pact of Steel) 1.요약강철 조약(鋼鐵條約, Pact of Steel, 독일어: Stahlpakt, 이탈리아어: Patto d'Acciaio)은 1939년 5월 22일 나치 독일과 파시의 이탈리아 양국이 맺은 조약으로 독일의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와 이탈리아의 갈레아초 치아노가 이 조약에 서명했다. 이 조약의 원래 이름은 피의 조약이었으나 이탈리아 측이 조약의 이름이 좋지 않다고 지적하였고 베니토 무솔리니가 강철 조약..

역사/세계대전 2015.08.23

독소 불가침 조약 (몰로토프-리벤트롭 조약 Molotov–Ribbentrop Pact) 내용 설명

독일이 체코 지역을 점령하면서 영국과 프랑스도 이제는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하게된다. 뮌헨 회담같은 회유나 당근 정책은 없음을 분명히했고, 영국은 징병제를 도입 군사력을 보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독일은 폴란드를 점령하기 위한 계획을 실행에 옮기려 하는데, 이러한 때에 히틀러는 전세계를 놀라게 한 몰로토프-리벤트롭 조약(Molotov–Ribbentrop Pact)을 체결한다. 제2차 세계대전 폴란드 침공 직전 히틀러와 스탈인이 체결한 독소 불가침 조약 (몰로토프-리벤트롭 조약 Molotov–Ribbentrop Pact) 내용 설명 1.조약 체결전1939년 독일과 소련은 상호 불가침을 위한 독소 불가침 조약(獨蘇不可侵條約)을 체결한다. 조약에 서명한 소련 외무 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와 독일 외무 장..

역사/세계대전 2015.08.15

실패한 유화책의 대명사 뮌헨 회담 (Munich Agreement)

1938년 3월 오스트리아를 합병한 독일은 체코슬로바키아 주데텐란트 할양을 요구한다. 세계 대전의 발발을 피하고자 했던 영국과 프랑스는 1938년 9월 30일 독일 뮌헨에서 뮌헨 회담 (뮌헨 협정, Munich Agreement *독일어 Münchner Abkommen)을 열어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이 참석한 가운데 히틀러의 요구대로 독일이 주데텐란트를 합병하도록 승인하는데, 당사국인 체코슬로바키아는 이 회담에서 배제된다. 훗날 뮌헨 회담은 실패한 유화책의 대명사로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정리해 본다. 실패한 유화책의 대명사 뮌헨 회담 (Munich Agreement) 1.주데텐란트(Sudetenland)20세기 초반 체코슬로바키아 서부 지역의 독일 민족이 다수 거주하던 지역을 일컫는 말로..

역사/세계대전 2015.08.15

1938년 니치 독일 오스트리아 병합 과정과 의미

2차대전 전해인 1938년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강제로 병합한다.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한다.1938년 니치 독일 오스트리아 병합 과정과 의미 1.배경오스트리아와 독일은 거의 같은 민족이다. 히틀러가 오스트리아에서 출생했지만, 독일과 같은 게르만 민족이라고 하는 유대감을 갖고 있었고, 당시 다른 유럽인들도 이들 나라는 같은 나라가 되어도 괜찮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역사적으로도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합쳐지다가 갈라서기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에서 이들은 같은 민족이기도 하지만, 다른 국가라는 생각 또한 갖게 된다. 그래서 독일과 오스트리아 합병을 반대하는 오스트리아인들이 실재로는 더 많았던 것이다. 2. 이유왜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병합하려고 했는가하는 이유는 히틀러 개..

역사/세계대전 2015.08.15

2차대전 독일의 첫 희생양 폴란드 전쟁전 상황

제1차 세계대전 (1914년 7월 28일 ~ 1918년 11월 11일)이 끝나고 유럽의 지형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폴란드는 이때 독립을 했다. 2차대전의 시작이며 독일이 첫 희생양이었던 폴란드의 전쟁전 상황을 정리해 본다.제2차 세계대전 독일의 첫 희생양 폴란드 전쟁전 상황 1. 폴란드의 독립18세기 후반 폴란드는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러시아 3국에 의해 분할 통치되고 있었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나 독립할때까지 123년간 폴란드인들은 나라 없는 설움을 겪어야 했다. 게다가 1차대전 중에는 같은 민족임에도 독일군과 오스트리아군 그리고 러시아군에 각기 징병되어 서로에게 총을 겨누어야 하는 비극을 겪게 된다. 1918년 전쟁이 종식되고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폴란드는 드디어 독립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정부..

역사/세계대전 2015.08.14

제2차 세계대전 원인, 대공황과 무능한 프랑스 군대

2차 세계대전의 발생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개인적으로는 최대 이유 2가지를 생각해 봤는데, 하나는 당시 세계대공황이었고, 두 번째는 무능했던 프랑스 군대였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본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최대 원인: 세계 경제 대공황과 무능한 프랑스 군대 (육군) 1.대공황(大恐慌, Great Depression)1차 세계대전이 끝난후 세계는 다시 경제적으로 호황이 시작된다. 하지만 1928년 일부 국가에서 시작된 경제공황이 1929년 10월 24일 목요일 뉴욕 주식시장의 대폭락 (검은 목요일)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대공황이 발생하게 된다. 짧은 시간에 많은 기업들이 도산하고 대량 실업과 디플레이션이 야기되었는데 정부에서 통제할 차원이 아니었다. 이런 상황에서 극우주의자들이 ..

역사/세계대전 2015.08.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