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항우의 등장, 회계 군수가 된 항량

1. 항우의 출신 배경항우(項羽)의 본명은 항적(項籍)이며 하상(下相) 사람으로 자(字)가 우(羽)이다. 항씨 집안은 대대로 초(楚)나라의 명문가로 부귀영화를 누렸다. 항우의 조상이 지금의 하남성 침구현(沈丘縣)에 해당하는 항(項) 지역 제후로 봉해졌기 때문에 성을 항으로 삼았다. 2.조부 항연의 장렬한 최후기원전 223년 진왕(秦王 훗날의 진시황)의 명령을 받은 진(秦)나라 장군 왕전(王翦)이 초나라를 공격해왔다. 이 전투에서 크게 패한 초나라는 형왕(荊王)이 포로가 되었고 멸국의 위기에 처했다. 이때 초나라 장수 항연(項燕)이 분연히 떨쳐 일어나 창평군을 왕으로 옹립하고 회하(淮河) 남쪽에서 진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그러나 이듬해 재개된 왕전, 몽무(蒙武)의 파상공격에 창평군이 전사하자 항연 역시 자..

역사/중국 2015.12.06

유방과 항우의 성격상 차이점

진나라는 분열되고 사실상 멸망의 길을 가고 있었고, 여기에 많은 반란과 군웅 할거가 시작되고, 최후에는 유방과 항우의 대결로 압축된다. 시대가 낳은 난세의 영웅, 초한지의 주인공인 항우와 유방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고, 우선, 항우와 유방의 성격상 차이점부터 알아 본다.유방과 항우의 등장, 이들의 성격상 차이점. 1.항우 요약항우(項羽, 샹위, 기원전 232년 ~ 기원전 202년)는 중국 진나라 말기의 군인으로, 우는 자이며 이름은 적(籍)이다. 초나라의 명장 항연(項燕)의 후손으로, 처음에는 숙부 항량을 따르며 진왕 자영을 폐위시켜 주살한 후로 서초 패왕(西楚 覇王)에 즉위함으로써 왕이 되었고 초 의제를 섭정으로 도와 통치했으나 그 뒤에 초 의제(서초 의제)가 급사하자 보위를 찬탈, 황제로 등극하였다...

역사/중국 2015.12.06

진나라 마지막 황제 진삼세황제 영자영(秦三世皇帝 嬴子嬰) 진왕 자영 설명

진 삼세황제 영자영(秦三世皇帝 嬴子嬰, 子婴, 기원전 240년? ~ 기원전 206년) 혹은 진왕 영자영(秦王 嬴子嬰)은 중국 진나라의 제33대 국왕이며 진제국의 제3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이다. 사후에 후세 사람들이 상제(殤帝)라는 사시(私諡)를 올렸다진 마지막 황제 자영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본다.진나라 마지막 황제 진삼세황제 영자영(秦三世皇帝 嬴子嬰) *진왕 자영 설명 1.출신설영자영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출신 설이 있는데, 진 시황제(秦始皇帝)의 손자이며, 시황제의 적장남이자 황태자였던 부소(扶蘇)의 장남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이 외에도 진 장양왕(秦莊襄王) 영자초(嬴子楚)의 아들로 시황제의 아우라는 설, 진 시황제의 아들이자 진 이세황제(秦二世皇帝) 호해(胡亥)의 형이라는 설, 진 시황제의 동..

역사/중국 2015.12.06

진나라 멸망의 원인 진이세황제 호해 (秦二世皇帝 胡亥) 시기 설명

진시황제가 죽은후 진 이세황제 호해가 황제가 된다. 이는 당시 환관 조고(趙高)와 승상 이사에 의해 조작된 유서에 의한 결과로 이세황제는 시기는 사실상 진 제국을 몰락시킨 때였다. 이세황제에 대해 정리해 본다.진나라 멸망의 원인 진이세황제 호해 (秦二世皇帝 胡亥) 시기 설명 1.개요진 이세황제 영호해(秦二世皇帝 嬴胡亥, 기원전 229년 ~ 기원전 207년)는 진 시황제의 18남으로 진(秦)나로로는 제32대 왕이고 전국통일이후로는 제2대 황제로 기원전 210년에서 기원전 207년까지 재위에 올랐다. 이 기간은 사살상 환관 조고(趙高)가 섭정을 하면서 국정을 파탄에 이르게 한다. 2. 조작된 시황제의 유서시황제가 전국 순행 도중 병에 걸려 유서를 내렸을 당시 황태자인 부소에게 황위를 이으라 적혀 있었으나 시..

역사/중국 2015.12.06

3일천하 갑신정변(甲申政變) 원인과 배경, 실패 이유, 평가

JTBC 뉴스룸이 소개하는 오늘의 역사- 1884년 12월4일 발생한 갑신정변에 대해 나왔는데, 이에 대해 대략적으로 정리해 본다. 3일천하로 끝난 갑신정변(甲申政變) 원인과 배경, 실패 이유, 평가 1.갑신정변 개요갑신정변(甲申政變) 혹은 갑신혁명(甲申革命)이라고도 불린다. 1884년 12월 4일(고종 21년 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으로 진압 후, 갑신난, 갑신전란으로 불리다가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이를 갑신혁명당의 난(甲申革命黨의 亂)이라 불렀다. 2. 갑신정변 시대적 배경조선 후기 안동김씨로 시작된 세도정치와 오랫동안 조선시대를 지탱하던 계급사회는 조선의 정치 사회..

YH 무역 사건 (YH 무역 여공 농성 사건) 내용과 평가

YH 사건은 가발수출업체였던 YH 무역 회사 여성 근로자들이 회사 폐업조치에 항의해 1979년 8월 9일부터 8월 11일 사이에 당시 야당인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시위를 벌였는데 경찰이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여공 1명이 추락사한 사건으로 이 사건의 영향으로 김영삼 의원제명 파동과 부마민중항쟁, 10·26 사태로 이어지는 박정희 정권 종말의 도화선이 되었다고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이 당시 김영삼 전 대통령이 한 말인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독재에 굴하지 않는 명언으로 남아있다. 어제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분향소에 YH 무역사건 당사자였던 여공들이 분향소를 참배했다. 36년 전 부당해고를 외치던 당시 20대 여공들은 이제는 할머니 되었다. YH 사건은 왜 일어났고,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민주화 업적은 인정해 주어야 한다.

2015.11.22. 0시 21분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숨을 거두었다. 그의 인생을 한 페이지에 담을 수가 없어, 여기에는 생전의 잘한 부문에 대한 평가만을 다루어 보겠다.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과도 있었지만 공도 있었다.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앞장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업적은 인정해 주어야 한다. 고인의 명복을 빌며. 1.개요故 김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1927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거제(통영군)에서 아버지 김홍조와 어머니 박부련 사이에서 1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김녕(金寧) 김씨 28대손으로 사육신 사건 무렵 살해된 김문기의 후손이다. 1954년 거제에서 제3대 민의원 선거에 출마해 28세로 당선 역대 최연소 ..

조선 태종(이방원)의 정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생애와 평가

최근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가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등장인물 중에 훗날의 원경왕후 민씨가 등장했는데, 개인적으로 원경왕후하면 KBS사극 ‘용의 눈물’에서 최명길이 연기했던 모습이 가장 먼저 떠 오른다. 원경왕후에 대해 가장 잘 표현한 배우가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그럼 원경왕후 민씨에 대해 정리해 본다.남편을 왕으로 만든 댓가는 멸문이었다.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조선 태종 이방원의 정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생애와 평가 1.원경왕후 요약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년 7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420년 8월 18일 (음력 7월 10일))는 여흥부원군 문도공 민제(驪興府院君 文度公 閔霽)의 둘째 딸로,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개경 철동에서 태어났다. 조선..

역사/인물 2015.11.18

수에즈 운하 (Suez Canal) 아시아와 한국에 끼친 영향

JTBC 오늘의 역사 수에즈 운하: 1869년 11월17일 세계 최대의 운하 수에즈 운하(Suez Canal)가 개통되었습니다. 먼 곳에 있어서 우리가 크게 관심이 갖고 있지 않았지만,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이 곳은 한국에게도 아주 중요한 곳입니다. 수에즈 운하(Suez Canal)에 대해 우리가 미처 몰랐던 이야기들들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수에즈 운하에 대한 개요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수에즈 운하 개요]수에즈 운하(아랍어: قناة السويس)는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운하로 1869년 11월 17일에 공식 개통되었다. 지중해와 홍해 사이를 지날 때 육로로 혹은 아프리카로 우회해서 갈 필요 없이 유럽과 아시아를 해상로로 바로 연결해준다. 운하의 북쪽 종착지는 시나이 반도 서쪽인 포트 사이드이며, ..

역사/세계사 2015.11.17

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선감도 선감학원 편, 박정희 시대가 만든 지옥이었다.

11월 13일 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사상 최악의 소년 인권 유린 사건 '선감학원' 편이 방송되었다. 방송에서 나온 내용은 실재 그곳에서 자행된 사건들을 모두 다 보여주지는 못했다. 방송내용을 요약해 보며,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선감도 선감학원 진실편, 요약 정리 및 같이 생각해 볼 점을 정리해 본다. 누가 이 지옥을 만들었는가! 박정희 독재시대의 유산인 것이다. 1.선감학원 설립선감도에 선감학원(仙甘學園))이 세워진 것은 일제강점기였던 1942년이었다. 1942년 부랑아 수용시설로 설립되었는데, 소년범죄의 절멸과 부랑아동들의 갱생을 꾀하기 위한다는 명분을 내세웠고 소년의 낙원 선감학원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관련자료 매일신보 1942년 4월 17일) 이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