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아돌프 히틀러 실체를 제대로 알지 못했던 영국과 프랑스

히틀러의 군사대국화 과정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어떤 대응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 만일, 히틀러 집권 초기 히틀러를 제대로 견제를 했더라면 2차 세계대전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연합국은 왜 히틀러를 막지 않았을까.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아돌프 히틀러 실체를 제대로 알지 못했던 영국과 프랑스, 2차세계대전을 막지 못한 것이 아니라 회피했던 것이다. 히틀러를 막을 수 있었다. 우선, 히틀러가 권력을 잡을 당시부터 살펴보면 전세계대 공황상태였다. 세계대공황이라고 하는 최악의 경제 상황에서 강대국이 독일 문제에 신경을 쓸 겨를이 없었다. 특히, 독일은 1차대전 패전국 지위여서 상황이 더 나빴다. 이점을 영국에서는 조금 동정을 하고 있던 입장이었다. 프랑스는 독일이 강해지는 것을 두려워하고는 있었지만, 히틀러가..

역사/세계대전 2015.08.14

히틀러에게 날개를 달아준 라인란트 진주와 강대국의 무대응

1934년 8월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 사후 총통(Führer)이 된 히틀러는 독일의 최대 권력자가 된다. 그리고 그의 야심은 독일안에 머무르지 않았다. 차근차근 전쟁준비를 수행하는 히틀러, 문제는 이를 애써 모른척했던 강대국들의 태도였다.전쟁준비를 시작하는 히틀러에게 날개를 달아준 라인란트 (Rheinland) 비무장지대 독일군 진주와 강대국들의 무대응. 우선 히틀러는 총통이 되기전인 1933년 10월 14일 국제연맹을 탈퇴한다. 1차 대전 종전후 창설된 국제연맹은 유명무실한 존재로서 독일이 탈퇴를 한다고 해서 크게 긴장하는 국가는 사실 없었다. 문제는 이후의 행보인데, 1차대전 패전으로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엄청난 배상책임과 3류국가로 전락해 버린 독일인들에게 히틀러는 희망의 상징이 되어가고 있다..

역사/세계대전 2015.08.14

중국의 제1차 국공내전(國共内戰) 설명

국공 내전(중국어 정체: 國共内戰, 간체: 国共内战, 병음: guógòng neìzhàn, 영어: Chinese Civil War)은 1927년 이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일어난 두 차례의 내전을 말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해방전쟁이라고도 부른다. 1927년에서 1936년까지를 제1차 국공 내전, 1946년부터 장제스의 중국 국민당이 타이완 섬으로 옮긴 1949년까지를 제2차 국공 내전으로 구분한다. 여기서는 1차 국공 내전을 설명한다.중국의 제1차 국공내전(國共内戰) 설명 1.제1차 국공합작1911년 청나라가 공식적으로 무너지고 중국은 군벌들이 난립을 하는데 이중 가장 큰 세력을 가졌던 인물이 위안스카이였다.개혁가 쑨원(손문)은 군벌지배를 종식시키고 중화민국의 통치권을 확립하기 위해 서구..

역사/세계대전 2015.08.13

경제대공항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총통이 된 히틀러

2차세계대전의 가장 큰 책임이 누구냐하면 당연히 히틀러를 꼽을 것이다. 히틀러는 원래 화가를 꿈꾸던 청년으로 그의 남겨진 작품들은 수준이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역사상 최악의 독재자로 일컬어지는 히틀러가 권력을 잡은 결정적인 계기는 경제대공황이었다. 그 과정을 간략히 정리해 본다.경제대공항으로 독일의 모든 권력을 장악하고 총통이 된 히틀러 1. 히틀러의 등장히틀러는 1919년 9월 독일 노동자당(Deutsche Arbeiter Partei, DAP)에 입당하고 곧 당내에서 뛰어난 연설로 지도위원회의 위원으로 일하게 되었다. 1920년 초, 히틀러는 독일 노동자당 선전부 책임자가 된다.1920년 2월 24일, 뮌헨의 커다란 맥주홀인 호프브로이하우스에 모인 2천 명에 가까운 사람들 앞에서 히틀러는 ..

역사/세계대전 2015.08.13

무솔리니의 로마진군 이탈리아를 장악한 파시스트

이탈리아 독재자 베니토 안드레아 아밀카레 무솔리니(이탈리아어: Benito Andrea Amilcare Mussolini, 1883년 7월 29일 ~ 1945년 4월 28일)는 이탈리아 국가 파시스트당을 창당하고 1922년 이탈리아의 총리로 오르며 권력을 장악한다. 이는 히틀러에게도 영향을 주고 독일에도 파시정권이 들어서게 만드는데, 일단 무솔리니의 권력장악 과정을 살펴본다.무솔리니의 로마진군 이탈리아를 장악한 파시스트 1.이탈리아 파시즘의 성립 과정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무솔리니는 전후 사회주의는 실패한 이론이라 단정짓고 영국의 정치가 사무엘 호르의 도움으로 영국 정보부 MI5로부터 주당 100파운드의 보조금을 받으며 정치 활동을 시작하고. 1919년 3월 23일 무솔리니는 밀라노에서 200여명으로 ..

역사/세계대전 2015.08.13

파시스트의 등장, 파시즘 설명

1차 대전이후 유럽에는 공산주의와 파시즘이 등장하고, 공산당과 파시즘의 파시스트들의 권력을 잡게 된다. 러시아는 공산국가가 되고, 이탈리아와 독일은 파시시트들이 정권을 잡게 된다. 공산주의에 대해서는 다들 알고 있겠지만, 파시즘에 대해서는 확실히 이해를 못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간략히 정리해 본다. 무엇보다 2차 세계대전을 이해하려면 파시즘에 대해서는 알 필요가 있다.파시스트의 등장과 권력장악, 파시즘 설명 1.파시즘 어원영어로는 파시즘(fascism)이고 이탈리어는 파시스모(fascismo)이다. 이 말은 이탈리아어 낱말 파쇼(fascio)에서 나온 말로 라틴어 낱말 파스케스(fasces, 속간)에서 나왔다. 뜻은 "묶음"이다. 1910년대 이탈리아어에서 노동 조합을 이르는 구어 표현 '운 파쇼'(un ..

역사/세계대전 2015.08.13

1차세계대전의 끝은 2차세계대전의 시작이었다.

2차 세계대전은 1차대전과는 별도의 전쟁으로 볼수는 없다. 전쟁 원인은 분명한 차이가 있지만, 1차 대전이 2차대전으로 이어진 것이다. 갑작스럽게 전쟁이 밣생한 것이 아니다. 1차 대전에 대해서는 차후 정리를 해 보고, 왜 1차 대전이 2차 대전을 불러왔는지 간략히 정리해 본다.1차세계대전의 끝은 2차세계대전의 시작이었다. 2차 세계대전은 이전에 발생한 제1차 세계대전 결과에서 이미 시작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 결과 유럽과 세계의 강대국 지위와 정치를 완전히 바꿔 놓았는데, 패배국인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은 과거의 영광을 끝내고 해체가 되어 버린다. 이들 보다 먼저 승전국이었던 러시아는 1차대전 중이던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 러시아 제국이 몰락..

역사/세계대전 2015.08.13

제2차 세계 대전 개요

2015년은 2차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이며,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되찾은 광복 7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이 뜻 깊은 해를 맞아 2차 세계대전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을 차근 차근 정리해 나가겠습니다.종전70주년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1945년 8월 15일 종전된 제2차 세계 대전(第二次世界大戰, 영어: Second World War 또는 World War II)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파괴적인 전쟁으로 통상적으로 전쟁이 시작된 때는 1939년 9월 1일 새벽 4시 45분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독일군이 폴란드의 서쪽 국경을 침공하고,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이 1939년 9월 17일 폴란드의 동쪽 국경을 ..

역사/세계대전 2015.07.29

정유재란,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露梁海戰)

노량해전(露梁海戰)은 임진왜란 당시 1598년(선조 31년) 음력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이순신이 이끈 조선과 명나라의 연합수군이 노량해협에서 일본의 함대와 싸워 크게 무찌른 대첩으로서, 이순신의 마지막(전사한) 해전이기도 하다정유재란,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이며 이순신의 마지막 해전이었던 노량해전(露梁海戰) 결과 설명 1. 배경명과 왜의 협상이 결렬되자 1597년 왜군은 15만 대군을 동원 조선을 다시 침공했다. (정유재란 丁酉再亂) 초기에는 원균의 조선 수군을 궤멸시키고 하삼도를 유린하던 왜군은 이순신의 복귀와 명나라의 원병, 조선 의병의 활약으로 전세를 역전당하고 본국으로 돌아가기를 학수고대하는 상황이 되었다. 정유재란 발발 다음해인 1598년 음력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

정유재란, 순천왜성 전투 이순신 최후의 승리 장도해전(獐島海戰) 설명

사로병진작전으로 사천성 전투가 벌어지던 때에 순천 왜성에서 전투가 벌어진다. 하지만, 실재로는 육지에서 전투는 벌어지지 않고 바다에서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를 장도해전이라고 한다. 정리해 본다.정유재란, 순천왜성 전투 혹은 왜교성 전투(倭橋城 戰鬪)와 이순신 장군 최후의 승리 장도해전(獐島海戰) 설명 1. 풍신수길의 사망과 왜의 철군 결정1598년 8월 18일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 직후 고부교(奉行)과 고다이로(大老)는 일본군의 철병을 결정한다. 2. 사로병진작전풍신수길의 사망과 철군 소식이 조선 조정에 알려지고 조·명 연합군은 철병하는 왜군을 추격하는 것으로 전략을 변경한다.1598년 7월 경략(經略) 형개(邢驚)가 한성으로 당도하고 명군은 조선..

반응형